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스페셜
"
필자
"(으)로 총 1,491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세요? 암모니아 합성에 인류 에너지의 2%가 들어간다는 사실을
2014.08.18
생명체가 쓸 수 있는 형태다)가 부족한 토양에서는 농작물이 제대로 자라지 못한다.
필자
를 비롯해 요즘사람들이야 화학비료를 색안경을 끼고 보며 ‘유기농산물’을 찾지만 사실 이건 배부른 얘기다. 글자 그대로 ‘굶어죽을 수도 있는’ 처지의 사람들이 수두룩했던 한 세기 전에 암모니아로 만든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책으로
필자
가 1995년 구매했다. 무려 19년 만에 다시 책상위에 놓인 것이다. 차례를 보니
필자
의 기억이 정확했다. 5장에서 53쪽에 걸쳐 1976년 에볼라가 등장하던 상황을 다루고 있다. 그리고 다른 장들 곳곳에서도 에볼라를 언급하고 있다. 이야기가 너무 심각하고 긴박해서 ‘손에 땀을 쥐며’ ... ...
뇌전증의 과학
2014.07.28
정확히 모르지만 뇌전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필자
가 다소 장황하게 ‘네이처’의 뇌전증 특집을 소개한 건 이 질환을 앓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을 뿐 아니라 수천 년에 걸친 편견으로 일반인 뿐 아니라 의사조차도 왜곡된 시각에서 자유롭지 못할지 모른다는 ... ...
글루텐을 위한 변명
2014.07.07
책에 로버트슨이 ‘타르틴 빵(Tartine Bread)’이라는 책을 펴냈다는 내용이 있다. 결국
필자
는 이 책을 사고야말았는데, 받아보니 너무나 아름다운 책이었다! 하드커버이면서도 속에 쿠션을 넣어 마치 빵처럼 폭신폭신한 이 책은 요리학교를 다니던 한 청년이 우연히 현장실습을 간 천연발효종 빵집 ... ...
물고기 복지에 대한 고찰
2014.06.23
(Can fish really feel pain?)’라는 제목의 37쪽에 이르는 긴 논문을 기고하기도 했다. 솔직히
필자
는 논문을 읽지는 못했지만(브라운 교수의 논문도 17쪽 짜리다!), 요지는 물고기의 뇌에는 신피질이 없기 때문에 의식도 없다는 것. 즉 물고기는 뇌에 인지적 복합성이 자리 잡을 하드웨어가 없기 때문에 ... ...
단식의 과학
2014.06.16
있으므로)을 액면 그대로 믿기는 어렵지만, 1일1식 같은 방법보다는 꽤 그럴듯해 보인다.
필자
는 BMI가 19가 채 안 돼 굳이 분류하자면 저체중라고 볼 수도 있지만, 다이어트 측면이 아니라 진화적 관점의 건강 증진 측면에서 한 번 해보고 싶은 충동이 든다. 물론 5:2 다이어트는 무리일 것이고 6:1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공급받을 수 있다. 미량만이 필요한 다른 원소들처럼 브롬 역시 과유불급이다.
필자
는 20여 년 전 유기화학 실험을 할 때 브롬이 불임을 유발하는 기체라는 말을 들은 적이 있다. 상온에서는 브롬은 산소처럼 두 원자로 이뤄진 분자(Br2)로 존재하는데, 적갈색 액체이지만 끓는점이 58.8도이기 ... ...
암흑물질의 실체는 ‘불임 뉴트리노’?
2014.06.04
모른다고 발표했지만 다른 해석도 가능하기 때문에 아직은 때 이른 감이 있다.
필자
들은 글 후반부에서 암흑물질의 후보를 좀 더 확대해 찾아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즉 차가운 암흑물질뿐 아니라 좀 더 ‘따뜻한(warm)’, 즉 입자의 속도가 다소 빠른 암흑물질도 고려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 ...
습관의 뇌과학
2014.05.26
안 좋다는 걸 계속 ‘의식’하고 있어야 의지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 글을 쓰고 있는
필자
는 양심상 며칠이라도 나쁜 습관을 버려야 하겠지만 어쩌겠는가. 바로 좀 전에도 점심을 먹고 바둑 한 판을 둔 뒤(졌다!) 지금 글을 마무리하고 있는 것을. ... ...
존재의 이유, Y염색체의 경우
2014.05.20
남성에게는 자신들의 성정체성을 위해 존재하는 부분이 있다. 바로 Y염색체다. ‘이
필자
이상한 사람이네. 여성 정체성을 위해 존재하는 X염색체는 왜 얘길 안 하나?’ 이렇게 생각하는 독자도 있을지 몰라 덧붙이자면 X염색체의 경우는 얘기가 좀 다르다. 남성도 X염색체가 하나는 있기 때문이다. ... ...
이전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