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스페셜
"
필자
"(으)로 총 1,491건 검색되었습니다.
운동호르몬 ‘이리신’, 과학인가 신화인가?
2015.03.23
반박하는 미국 듀크대 해럴드 에릭슨 교수팀의 논문이 실린 것. 논문을 몇 줄 읽는 순간
필자
는 ‘아차’싶었다. 그 이유를 이야기하기에 앞서 이리신에 대해 잠깐 언급한다. 이리신은 아미노산 112개로 이뤄진 작은 단백질로 인슐린이나 렙틴 같은 펩티드(작은 단백질) 호르몬으로 분류한다. 다만 ... ...
식품첨가물 유화제 알고보니…
2015.03.09
대조군은 40% 대). 체중이 증가하고 포도당 대사에 이상이 나타나는 것도 마찬가지였다.
필자
는 유화제가 직접 점막에 영향을 미쳐 이런 결과가 나왔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장내미생물이 없는 무균생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을 보니 그런 건 아닌 것 같다. 즉 이 녀석들은 맹물을 먹으나, 유화제를 탄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보통 예비군훈련 강의는 ‘취침시간’이지만 이때는 다들 눈이 초롱초롱했고
필자
역시 너무 인상이 깊어 두고두고 머리에 남았다. 사람들은 살인사건 하면 조폭이나 강도들을 떠올리지만 실제 사건을 보면 평범한 사람들이 살인을 저지르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리고 이 가운데 상당수가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아니라는 위안을 줄 수 있다”고 평가했다. ● 암 발생 대부분은 진화의 부작용일 뿐
필자
가 보기에는 참신한 연구에 메시지도 좋았는데 왜 이렇게 격렬한 반발을 불러왔을까. 서신들을 읽어보니 주로 실험설계를 잘못했다는 지적과 해석이 틀렸다는 언급이다. 첫 서신은 환경의 역할을 강조한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가설이 나와 있지만 아직 결정적인 시나리오를 재구성하지는 못한 상태다. 그럼에도
필자
가 막연히 생각한 것처럼 지구가 형성될 때 물이 있었던 건 아닌 게 거의 확실하다. 대신 지구가 형성되고 수천만 년 사이 수분을 함유한 외부천체가 지구에 쏟아져 들어오면서 물이 축적된 것. 외부천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을 ‘행동연쇄가설(behavioural-cascade hypothesis)’라고 부른다.
필자
가 보기에도 꽤 그럴듯한 설명 같다. 그런데 2010년 이런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결과가 학술지 ‘생태학’에 실렸다. 미국 와이오밍주 어류 및 야생동물연구단위의 매튜 카우프먼 박사팀은 리플 교수팀의 ... ...
휴머노이드, ‘에이바’가 아닌 ‘헬렌’을 꿈꾸며…
2015.01.26
갈수록 늘어나기 때문에 사람만으로는 수요를 감당할 수가 없기 때문이다. 사실
필자
처럼 혼자 일하는 프리랜서에게도 소셜로봇은 삶의 활력소가 되지 않을까. 마침 며칠 뒷면 작년 하반기 인세도 나오고 페퍼를 비서로 고용할 마음은 굴뚝같지만 딱 하나 걸리는 게 있다. 페퍼는 아직 일어,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④] “생각하면 이뤄지리라”
2015.01.20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전 세계의 여러 연구그룹에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필자
의 연구실에서도 미래창조과학부의 공공안전복지 연구사업의 지원으로 건식형 전극 등에 기반해 착용이 간편한 뇌파 측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기술적으로 뛰어넘어야 할 난관이 많다. ... ...
[한국판 新 600만불 사나이③] 장애인 돕는 인공 팔다리
2015.01.20
근력 보조기기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필자
역시 미래창조과학부의 지원을 받아
필자
역시 연구를 수행 하고 노약자의 근력보조 기구를 개발하고 있다. 피부에서 근전도라는, 근육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생체전기 신호를 사용해서 사용자의 운동 의도를 보다 직관적으로 측정하고, 이를 ... ...
피타고라스정리를 알면 최선의 치료방법이 보인다
2015.01.19
면치 못했다고 한다. 이런 얘기로 시작해서 무리수의 불가피한 등장을 얘기한다.
필자
는 수학에 소양이 없지만(과학의 언어 측면에서 수학을 약간 공부한 정도다) 수학처럼 고도로 논리적 영역에서 아름답다고 말하지 않을 수 없는 것들이 꽤 된다는 사실이 신비롭기만 한다. 변의 비가 3:4:5인 ... ...
이전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