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스페셜
"
필자
"(으)로 총 1,491건 검색되었습니다.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모르고 있었던 셈이다. ● 항암제 탁솔, 주목에 사는 곰팡이도 만들어 약간 당황한
필자
는 책장 한 구석에서 식물학 분야에서는 유명한 교재인 ‘타이즈와 자이거의 식물생리학(2009년 번역출간된 4판)’을 꺼내 질소고정을 다룬 부분을 읽어봤다. 자연계에서 연간 1억 9000만t의 질소가 ... ...
여섯 번째 DNA염기 존재하나?
2015.06.29
위키피디아 제공 DNA 염기의 분자구조를 외웠다가 돌아서면 까먹는 일을 무수히 반복해온
필자
로서는 좀 허탈한 관점이었지만 사실 당연한 말이다. 그럼에도 생명과학 연구를 하는 사람들은 DNA 염기의 분자구조를 알 필요가 있다. 유전정보를 기록하는 일이 염기가 존재하는 이유의 전부는 아니기 ... ...
병원체에 대한 고찰
2015.06.22
평가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론이 개발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참고문헌을 보면
필자
들이 2003년 학술지 ‘네이처 미생물학 리뷰’에 실은 논문이 있는데 미생물 감염으로 일어난 숙주의 손상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감염질환으로 인한 손상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하나는 ... ...
잃어버린 기억을 찾아서…
2015.06.08
찾아온다고 한다. 먼저 고유명사부터 까먹는다는 얘기를 어디서 본 적이 있는데
필자
경험상 그런 것 같다. 뻔히 아는 사람을 마주보고도 이름이 생각이 안나 당황했던 적이 한두 번이 아니다. 입안에서 맴돌 뿐 도저히 생각이 안 나 진땀이 난다. 상대가 눈치 안채게 대화를 하느라 고생을 하고 ... ...
홍역백신, 없어서 못 맞히고 있어도 안 맞히고
2015.05.18
탄자니아는 이들 나라는 아니지만 사진의 분위기가 논문과 잘 맞아떨어져 쓴 것 같다.
필자
가 ‘사이언스’에 실린 사진을 보고 직접 그린 ‘기다림’(2015). 캔버스에 유채. 53×45cm. - 강석기 제공 ● 의료체계 붕괴로 백신접종률 떨어져 미국과 영국, 스웨덴의 공동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 ...
고세균 로키, 진핵세포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인가
2015.05.11
학술지 ‘사이언스’는 매년 마지막호에 ‘올해의 10대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필자
생각에 올해 들어 발표된 연구들 가운데 이번 로키아케오타 발견이 1위 후보가 아닌가 한다. 그리고 남은 7개월 동안에도 이보다 더 놀라운 발견이 있을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문득 든다. ... ...
수성 탐사선 ‘메신저’여 편히 잠드소서!
2015.05.04
미소를 짓게 한다. “어머! 우린 ‘뚜벅이 사랑’이네요. 호호….” 아무튼 1996년
필자
도 마지막으로 차를 샀는데 그 차를 지금까지 타게 될 줄은 그때는 정말 몰랐다. 차를 조립할 때 근로자들의 컨디션이 최상이었는지 처음 10년 동안은 고장 한 번 안 났고 그 뒤에도 잔고장만 몇 번 있었을 뿐 ... ...
DDT, 그 영욕(榮辱)의 역사
2015.04.20
건강과 환경을 위해서는 오히려 더 해로운 결과를 낳게 했다는 것이다. 책을 읽으며
필자
는 저자의 입장에 100%로 공감할 수는 없지만 나름 타당한 면도 꽤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 ...
‘비스페놀A 프리’의 진실
2015.04.13
구리가 수중 생태계에 미치는 독성은 아직 충분히 규명되지 않은 상태라고 한다.
필자
들은 “많은 경우 기능은 유지하면서도 독성은 바람직한 수준으로 떨어진 대체물은 이직 발명되지 않았거나 발견되지 않았고 심지어 떠올릴 수도 없다”며 안전한 화학으로 갈 길이 여전히 멀다고 고백하고 ... ...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지각’이라는 글에서 맛의 이런 측면에 대한 최근 연구결과들을 소개하고 있다. 그런데
필자
가 앞 문장에서 쓴 풍미와 맛 모두 영어 ‘flavor’의 번역어로 넓은 뜻에서의 맛이다. 좁은 뜻, 즉 미각을 통한 맛은 ‘taste’다. 예를 들어 ‘매운맛은 맛이 아니다’라고 할 때 맛이 좁은 의미의 맛이다. ... ...
이전
135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