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스페셜
"
필자
"(으)로 총 1,491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인터스텔라’의 인기가 훨씬 높은 걸로 봐서 영화 얘기는 여기서 그만두는 게
필자
를 위해서도 좋을 듯하다. ●별의 십중팔구는 왜성 학술지 ‘네이처’ 11월 6일자에는 성간 공간과 관련된 흥미로운 글이 실렸다. 즉 성간 공간에서 탄생하는 별들은 얼마까지 클 수 있냐는 것이다. 즉 별의 ... ...
우리가 정말 행복했을까?
2014.11.10
삶을 음미하는 태도가 중요하다는 건 심리학 분야에서 잘 알려진 사실이다. 수년 전
필자
는 ‘Savoring(음미)’이라는 책을 샀는데, 순전히 책 제목을 ‘음미’하다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한 게 이유다. 삶을 소비할 것인가 음미할 것인가? 미국 로욜라대의 프레드 브라이언트 교수와 미시건대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먹어도 포만감이 느껴지게 해 살을 빼는 효과가 있는 거라고 막연하게 생각하고 있던
필자
는 글을 읽으며 복잡한 내용에 약간 머리가 아팠다. 하긴 그렇게 간단한 문제라면 굳이 ‘네이처’ 같은 일급 저널이 세 쪽이나 되는 지면을 할애하지는 않았을 것이다. ● 1952년 처음 시도 이번에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비슷비슷할 경우 결국은 평균이 바뀔 뿐 상대적인 분포는 유지되는 것 같기 때문이다. 즉
필자
가 한 세대 뒤에 태어났더라도 키가 지금보다 5센티미터 더 커질 뿐 평균과의 차이는 비슷할 거라는 얘기다.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비중이 15~20%이고 주중 낮에 근무하는 ‘일반적인’ 직장인은 25%에 불과하다고 한다.
필자
가 우리나라 젊은 여성들의 유방암 발병률이 급증한다는 데서 일주리듬 교란을 주목한 것도 밤낮을 바꿔 사는(또는 반복적으로 시차 변화를 겪는) 여성 대다수가 이삼십 대 젊은이이기 때문이다. 이번 ... ...
2014 노벨생리의학상은 ‘노르웨이판 퀴리 부부’에게
2014.10.13
인공방사성원소를 만드는데 성공해 이듬해인 1935년 노벨화학상을 공동수상했다.
필자
는 모세르 부부가 이들에 이어 세 번째라고 생각했지만 혹시나 해서 노벨재단 사이트를 살펴보다가 또 다른 부부 수상자가 있다는 걸 발견 하고 깜짝 놀랐다. 자칫 망신을 당할 뻔 했다. 주인공은 1947년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빈과와 토종 능금(말루스 아시아티카) 재배는 몰락의 길을 걷고 마침내 사라졌다고 한다.
필자
가 추억에 잠겨 매년 가을이 오면 기다리던 홍옥, 아니 조나단이 한반도에 진출한 일본 제국주의의 선봉대로 토종 사과들이 사라지는데 일조했다니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 ...
바나나 껍질을 밟으면 미끄러지는 이유
2014.09.29
영화 ‘폭풍의 언덕’의 각색 작가인 찰스 맥아더가 찰리 채플린에게 뻔한 장면을 어떻게 참신하게 만들 수 있을지 물었다. “예를 들어 뚱뚱한 여자 ... 다른지 실험해보고 싶은 생각이 문득 들지만, 안 그래도 오래 앉아있어 허리가 안 좋은
필자
가 화를 자초하는 것 같아 자제해야겠다 ... ...
네안데르탈인은 언제 사라졌을까
2014.09.22
필자
같은 사람으로서는 최신 데이터를 기준으로 글을 써야 할 것이다. 혹시나 해서
필자
의 글을 검색해보니 심지어 ‘현생인류와 가장 가깝다는 네안데르탈인조차 2만4000년 전에 멸종했는데’라는 문구도 있다(하필 에세이집에도 실린 글인데 뭘 보고 그렇게 썼는지 모르겠다). 다음에 인쇄를 하게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자발적으로 특정한 구조를 갖는 조직이나 기관이 형성된다는 것. 리뷰 논문을 읽다
필자
는 문득 사사이 박사가 오보카타를 적극 돕게 된 이유를 알 것 같았다. 즉 오보카타가 수소이온농도(pH) 변화나 모세관 같은 공간적인 제약 등 물리적인 변화가 세포의 성격을 바꾼다는 발견을 한 게 평소 배양 ... ...
이전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