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7 모집] 지구사랑탐사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앱이 꼭 필요해요. 총 6중 중 3종 이상의 생물종 탐사를 수료하면 수료식에서 생명다양성재단의 인증서를 받을 수 있답니다.Q 정기구독자만 신청할 수 있나요?정기구독자가 아니라도 지사탐 신청은 가능해요. 단, 어과동 정기구독자가 있는 팀이 우선적으로 선발되고 탐사 물품등 ... ...
- Part 2. 살아 있는 연구실, 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닭이 먼저일까? 달걀이 먼저일까?우선 달걀은 어떻게 만들어질까요?가장 먼저 만들어지는 건 노른자예요. 이후 흰자가 노른자를 에워싸고 얇은 막이 둘을 감싸면, 자궁에서 달걀 껍데기가 만들어지지요. 이때 ‘오보클레디딘-17(OC-17)’이라는 단백질 성분이 달걀 껍데기를 만드는 과정에서 중요한 ... ...
- [과학뉴스] 네이처, 올해 저널 5개 창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네이처 의생명공학은 의학과 생물학, 재료공학 등 다양한 분야를 넘나드는 현대 의생명공학의 흐름을 반영해 실험실과 병원, 그리고 산업계를 연결한다. 네이처 인간행동은 기초적인 심리학 연구뿐만 아니라 기후변화, 빈곤, 경제성장 등과 얽힌 인간의 대응 방식에도 주목할 계획이다. 네이처 ... ...
- [Future] 인류 최후의 날을 대비한다 재난 기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기술력을 뽐내기 위한 장치가 아니었다. 감당하기 어려운 자연재해에 맞서 삶의 공간과 생명을 지키기 위한 중요한 임무를 담당하고 있었다. 알게 모르게, 우리는 재난 기계의 보호 안에서 살아가고 있는것이다 ... ...
- Part 2. 인간의 최대 수명은 150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40년 전보다 20년 더 산다!지난 2015년 통계청의 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사람들의 평균 수명은 81.8세였어요. 1970년 남성의 평균수명은 58.7세, 여성의 평균수명은 65.6세였으니 지난 40년 동안 20살이나 늘어난 거예요. 또 구석기시대 원시인의 수명이 18세였던 것과 비교하면, 수명이 4배 이상 늘어난 셈 ... ...
- [과학뉴스] 100일 동안이나 꽃 피는 무궁화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어떻게 무궁화가 100일 동안이나 꽃을 피울 수 있는지 몰랐어요. 그런데 최근 한국생명공학연구원과 서울대학교, 경상대학교 공동연구팀이 그 이유를 알아냈답니다. 무궁화의 유전자를 분석한 결과, 꽃을 피우는 개화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다른 식물보다 많다는 것이 밝혀졌거든요.무궁화는 2200만 년 ... ...
- Intro. 진실 혹은 오해?! 알고 나면 깜닭!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꼬꼬댁~ 꼬꼬!”2017년 닭의 해가 밝았어요! 이런 기쁜 날 황금알까지 순풍 낳았더니 기분이 좋아 절로 노랫소리가 나오네요. 그런데 닭에 대해 아직도 ‘멍청하다, 겁쟁이다’ 등 안 좋은 이야기들을 많이 하더라고요! 12년 만에 찾아온 닭의 해를 맞아 어과동에서 우리의 억울함을 풀어 준다기에 ... ...
- 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성향이 적다는 사실을 알아냈지요.코엔 판메헬렌은 “모든 생명이 살기 위해 다른 생명체의 도움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유전자와 문화적 다양성이 중요하다”고 말했어요. 그래서 닭을 교배하는 실험을 계속하는 한편, 관련 사진과 조각품 등을 전시하고 있답니다. 지난 해 11월, 조류독감이 최초로 ... ...
- [과학뉴스] 만성통증, 새로운 치료 가능성 발견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연구진이 비정상적으로 과도한 통증을 조절하는 메커니즘을 밝혀냈다.정은지 연세대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시상신경세포가 과하게 활성화되면 이를 억제하는 음이온채널 ‘아녹타민-2 (ANO2)’에 주목했다. 시상신경세포는 뇌 시상하부에서 대뇌피질로 감각 정보를 전달한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 ...
- [포커스 뉴스] 로봇 = 다른 인간 종?과학동아 l2017년 02호
- 휴먼’이라는 책도 발간했다. ‘포스트휴먼법의 체계와 이슈’,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생명·신체의 안전보호를 위한 공법의 대응’과 같은 글을 실었다. 이에 참여한 김 변호사는 “한국도 국민의 공감대를 충분히 형성한 뒤 결의안과 비슷한 방향으로 법적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이전1451461471481491501511521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