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지나야 한다. 영하 20℃의 장기저장고로 바로 들어갈 경우 종자가 충격을 받아 생명력을 잃거나 활력이 떨어질 수 있다. 보통 1~2시간 정도 전실에 종자를 보관해 안정시킨 뒤 저장고 안이나 밖으로 옮긴다.전실에서 두꺼운 패딩 점퍼로 갈아입고 장갑을 낀뒤 장기저장고의 문을 열자, 몸속까지 ...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찾을 수도 있다. 폐에 뚫린 구멍 크기의 분포에서 프랙탈 찾다황정은 서울아산병원 의생명연구소 연구원은 만성폐쇄성폐질환을 정밀하게 진단하고 치료하는 방법을 찾고 있다. 이 질환에 걸리면 기관지에 염증이 생기고 폐에 구멍이 뚫려(폐기종) 폐기능이 떨어지면서 숨이 차고 일상생활이 ...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인류의 중요한 성취 중 하나로 꼽히는 것이 도구 사용이다. 그만큼 중요한 능력이다. 그런데 최근 영장류도 도구를 사용할 줄 안다는 다양한 연구 결과가 나오고 있다. 특히 일부 야생 원숭이는 석기를 만들 줄 안다는 보고까지 나오면서 영장류의 도구가 새롭게 조명 받고 있다.인간의 고고학적 기 ... ...
- [Info] “노벨상 수상 업적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조만간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 것”이라고 말했다.두 번째 강연은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과 교수가 나섰다. 후성유전학과 오토파지 분야 전문가인 백 교수는 오토파지 현상이 특히 암과 치매와 긴밀히 연결돼 있다고 설명해 청중의 관심을 모았다. 백 교수는 “뇌에서 오토파지의 활성이 떨어지면 ... ...
- [새 책] 재난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는…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트라우마를 개인 문제가 아닌 사회 문제로 확장해서 들여다봐야 한다고 주장한다.무고한 생명 수백을 그렇게 허망하게 잃고 아무것도 배우지 못한다면, 그것이야말로 이 사회의 재앙이다.사고실험만으로 이뤄진 위대한 탐구시간여행의 ‘모친 살해 역설’을 한번쯤 들어봤을 것이다. “타임머신을 ... ...
- Intro.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몸속에 잔뜩 웅크리고 있는 거대한 우주를 만날 수 있다. 현대 의학은 프랙탈을 활용해 생명의 신비를 푸는 한편, 난치병을 해결하고자 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프랙탈 의학Part 1. 우리 몸에는 프랙탈 나무가 자란다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프랙탈 구조!기관지는 어떤 프랙탈 구조를 이루고 있을까. 황정은 서울아산병원 의생명연구소 연구원은 기관지가 하천과 마찬가지로 기관지 내부에 흐르는 기체의 압력 손실이 적은 쪽으로 자랄 것이라고 가정했다.유체역학에 따르면 기관지는 난류영역, 세기관지는 층류영역인데, 공기가 흐르면서 ... ...
- [Tech & Fun] 고요한 시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것이라 믿는 사람들만이, 삶을 축제로 여기리라 다짐하는 사람들만이 가질 수 있는 생명력으로 넘쳐났다.그릇이 없으면 물은 어디에 담길까. 담길 자리가 없으면 마음은 어디로 갈까.물, 계곡, 실개울, 도랑, 낙수, 빗방울, 이파리에서 떨어지는 이슬, 생각의 강이 사람의 계곡을 따라 흘렀다. 바위를 ... ...
- [과학뉴스] 허블 뒤이을 차세대 우주망원경 완성과학동아 l2016년 12호
- 관측할 예정이다. 특히 외계 행성의 대기 성분도 관측할 수 있어 Center향후 외계생명체 탐색에도 도움이 될 전망이다.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1년 이상 다양한 테스트를 거친 뒤 2018년 10월에 발사할 예정이다. 발사 때의 진동이나 우주의 극저온 환경에 제대로 작동하고 초점이 제대로 맞는지 ...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는 가능성도 높아질 겁니다. 하지만 갑자기 백두산 연구가 중단된다면요? 자신의 연구생명을 걸고 뛰어든 학자에게는 그보다 더한 악몽이 없습니다. 백두산 연구자들에게 지금 가장 필요한 건 다름 아닌 연구의 지속성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백두산이 언제쯤 분화할 것인가를 알려면 ... ...
이전1491501511521531541551561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