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명"(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사라져가는 생물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안녕? 난 저 깊은 바다에 사는 블롭피시야. 지금 막 ‘멸종위기 못친소’ 프로젝트의 투표 결과가 발표됐다고 해서 후보들이 모였어. 과연 누가 1등을 차지했을지 궁금하지? 그런데 말야, 사실 여기 모인못친들이 결과 발표에 앞서 각자 할 얘기들이 있다고 해. 먼저 우리 얘기 좀 들어 볼래?▼관련기 ... ...
- Part 2. 지금이 ‘인류세’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안녕? 내 멋진 숟가락 모양 부리를 보고 날 알아보는 친구들이 많을 듯 해. 난 한국에 자주 찾아오는 저어새야. 나도 하고 싶은 말이 있어. 요즘 사람들 때문에 먹이를 잡을 곳이 많이 사라져서 불만이 많았거든. 못친들, 내 억울한 얘기 좀 들어 줄래?빠른 멸종은 사람 탓생물이 멸종하는 건 어쩌면 ... ...
- [과학뉴스] 칭기즈칸, 알고 보니 서양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호령했던 칭기즈칸의 가계계보를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밝혔다. 이광호 중앙대 생명과학과 교수는 몽골국립대 고고인류학과 투멘 교수와 함께 2004년 몽골 동부에서 발굴된 고인골 다섯 체를 6년간 분석했다.연구팀은 고인골의 절대연대가 칭기즈칸의 생존 시기와 비슷하고, 발견된 무덤의 ... ...
- [과학뉴스]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티모시 리온스 교수는 “현재 시점에서 인류가 외계행성에서 메탄을 발견하면 그건 생명체가 있을 수 있다는 강력한 증거”라며 “그러나 수십 억 년전에 우리 행성에서 메탄가스는 그렇게 큰 역할을 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9월 26일자에 발표됐다 ...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세포 내 재활용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는 오토파지 현상(Autophagy, 자가포식)의 원리를 밝힌 일본 도쿄공업대 오스미 요시노리 명예교수에게 돌아갔다. 2010년 체외수정 기술 개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에드워즈 교수 이후 오랜만의 단독 수상이다.오스미 교수는 ... ...
- [Interview] 우주생물학자의 ‘발칙한’ 문명 재건법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미국의 경제학자 레너드 리드는 1958년 ‘나는 연필입니다(I, Pencil)’라는 논문을 썼다. 원료를 제공하는 곳과 생산수단이 따로 흩어져 있기 때문에 연필이라는 지극히 단순한 도구를 만들어낼 능력과 자원을 동시에 가진 사람이 지구에 더 이상 없다는 것이 결론이었다. 산업화와 전문화의 그늘을 ... ...
- [Knowledge] 서열 사라진 사회에서 태어난 지상 낙원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싸움이 끊이지 않는 침팬지와 달리, 보노보침팬지(이하 보노보)는 평화로운 ‘에덴동산’을 구축할 수 있었다. 지금까지 필자가 찾은 이유는 크게 다섯 가지다 윤택한 자연환경, 알아차리기 어려운 발정기, 암컷 위 주의 사회, 성(性)적 놀이 문화, 그리고 콩고 강이 제공한 자연 장벽 등이다.먹이 풍 ... ...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과학동아 l2016년 11호
- 1993년 개봉한 영화 ‘쥬라기 공원’은 인간이 과학기술을 이용해 공룡을 복제하면서 일어난 재난을 담았다. 특히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든 티라노 ... 500만 년 동안 쌓인 퇴적층 사이사이에 다양한 옛 생명체의 화석들이 숨어 있는 이곳은 지구와 생명의 역사를 알려주는 중요한 역사 장이다 ... ...
- 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수가 포유류보다 훨씬 많지만, 포유류에 대한 연구 결과는 양서류보다 10배 이상 많아요.생명다양성재단 김산하 사무국장은 사람들이 외모로 동물을 차별하는 것에 대해 “사람의 기준으로 동물을 평가해선 안 된다”며 “모든 동물은 아름답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위상 물질을 제작하고 전자 소자에 응용하는 분야에서 큰 도약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생명력 있는 물리학 분야에서는 노벨상이 여러 차례 나오기도 한다. 노벨위원회는 입자물리학의 새로운 입자 예측과 관측에 대해 꾸준히 상을 수여해 왔고, 중성미자 물리학에 대해서도 여러 차례 노벨상을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