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수가 포유류보다 훨씬 많지만, 포유류에 대한 연구 결과는 양서류보다 10배 이상 많아요.
생명
다양성재단 김산하 사무국장은 사람들이 외모로 동물을 차별하는 것에 대해 “사람의 기준으로 동물을 평가해선 안 된다”며 “모든 동물은 아름답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위상 물질을 제작하고 전자 소자에 응용하는 분야에서 큰 도약이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명
력 있는 물리학 분야에서는 노벨상이 여러 차례 나오기도 한다. 노벨위원회는 입자물리학의 새로운 입자 예측과 관측에 대해 꾸준히 상을 수여해 왔고, 중성미자 물리학에 대해서도 여러 차례 노벨상을 ...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사는 생물들이기 때문이다. 정 책임연구원은 “심해의 원시극한
생명
체는 지표상의
생명
체가 가지지 못한 특성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며 “미래 바이오산업의 소재로 가치가 높다”고 말했다.전세계 해양바이오산업 시장은 2018년 5조5234억 원으로 2014년에 비해 173%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 ...
Part 3. 사람 앞서 화성 갈 눈 만든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가장 오래된
생명
체 화석 중 하나인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이 발견된 곳으로 외계
생명
체를 연구하는 우주생물학자들이 자주 찾는 지역이다. 어떤 미사여구도 필요 없는 붉은 길을 가로지르자 사방이 붉은색으로 둘러 쌓인 지대가 펼쳐졌다. 마치 화성의 모래 폭풍 속에 서 있는 것만 같았다 ... ...
[Knowledge] 암세포 ‘원샷 원킬’ 작은 RNA가 뜬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sgRNA)라는 RNA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밖에도 snRNA와 snoRNA 등 다양한 작은 RNA들이
생명
과학자들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다. 어쩌면 miRNA와 siRNA의 역할은 ‘작은 RNA 월드’에서 빙산의 일각에 불과할지도 모른다. 이들은 지금 우리 몸속에서 어떻게 상호작용하고 있을까. 앞으로 인간의 미래를 어떻게 ... ...
[Knowledge] 보석이 된 옛
생명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1993년 개봉한 영화 ‘쥬라기 공원’은 인간이 과학기술을 이용해 공룡을 복제하면서 일어난 재난을 담았다. 특히 컴퓨터그래픽으로 만든 티라노 ... 500만 년 동안 쌓인 퇴적층 사이사이에 다양한 옛
생명
체의 화석들이 숨어 있는 이곳은 지구와
생명
의 역사를 알려주는 중요한 역사 장이다 ... ...
[Info] “ 한반도 지진 제대로 알려면 역사 속 지진도 연구해야”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역사에 기록된 지진을 분석해 보면, 한반도는 최대 규모 6.7의 지진이 일어났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지난 10월 8일, 서울 용산 동아사이언스 사옥에서 열린 대 ... 김기문 포스텍 화학과 교수(IBS 단장), 소포체와 후성유전학 분야의 석학 백성희 서울대
생명
과학부 교수가 참여한다 ... ...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1년에 2000종이 사라진다?지금까지 과학적으로 분류된 종은 약 200만 종이에요. 하지만 몇몇 학자들은 최대 1억 종이 살고 있다고 이야기해요. 이렇게 전문가들의 의견마저 엇갈릴 정도로 우리는 아직 지구상에 살고 있는 생물의 수를 정확히 알지 못해요.하지만 지구상의 종 수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 ...
Part 4. 우리나라 멸종위기종에게도 관심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멸종위기종은 가까운 곳에 있다우리나라엔 몇 종의 생물이 살고 있는지 알고 있나요? 2015년 말까지 확인한 결과, 우리나라엔 4만 5295종의 생물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하지만 아무리 전문가들이라고 해도 모든 생물종을 확인할 순 없는 법~!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우리나라 땅의 넓이와 기후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올해 노벨 생리의학상은 세포 내 재활용 시스템이라고도 불리는 오토파지 현상(Autophagy, 자가포식)의 원리를 밝힌 일본 도쿄공업대 오스미 요시노리 명예교수에게 돌아갔다. 2010년 체외수정 기술 개발로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로버트 에드워즈 교수 이후 오랜만의 단독 수상이다.오스미 교수는 ... ...
이전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