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숨
수명
삶
인생
생애
명
생계
d라이브러리
"
생명
"(으)로 총 5,709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GMO 안전성 논쟁 종지부 찍자”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높았다. 암컷 쥐의 경우에는 22% 집단에서 가장 사망률이 높았다.김해영 경희대 식품
생명
공학과 교수 역시 같은 의견을 보였다. “생존율과 발암성을 보기 위해서는 암수 각 군당 50마리 이상의 동물을 사용해야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볼 수 있다고 인정되는데, 이 논문에서는 10마리씩의 ... ...
[Editor’s Note] 사소한 감사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삶을 준비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 뿐이다. 그리고 그것만으로도 우리는 이 작은
생명
체에 대해 감사해야 할 것이다. 만병통치약을 의식한 거창한 감사는 필요없다. 사소하고 심상한 감사가 필요하다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또한 크기가 작아 좁은 면적에서도 고농도의 물질을 만들어 낸다.심상준 고려대 화공
생명
공학과 교수는 광합성 효율이 높은 동시에 생성물의 경제적 가치도 높은 미세조류를 찾는 데 앞장서고 있다. 특히 과거 일일이 미세조류를 관찰하며 특성을 알아가던 방식을 개선하고자 다양한 조류를 섞어 ... ...
[Career] “기계 없는 현대는 상상할 수 없죠”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그만큼 기계는 우리 삶에 있어 지배적인 존재다. 공학에서도 마찬가지다. 컴퓨터공학,
생명
공학 등 많은 공학이 기계의 도움을 받고 있다. 지난 8월 5일에 만난 이관중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기계항공공학은 현대 공학 그 자체”라며 “다른 모든 공학의 기반이 된다”고 말했다. 오경훈 ... ...
INTRO. 장난감에서 합성생물까지 블록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안녕? 난 30년이 지나도록 꾸준히 인기를 얻고 있는 레고 블록 인형이야.그런데 그거 아니? 내가 이렇게 인기 있는 이유엔 놀라운 과학 원리가 숨어 있단 사실~!어과동 친구들~, 나와 함께 블록의 비밀을 알아보지 않을래?▼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장난감에서 합성생물까지 블록의 과학A 블록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전세계 사람들이 1년 동안 레고를 가지고 노는 시간이 얼마나 되는지 아니? 무려 50억 시간이나 된다고 해. 그 인기비결을 알기 위해 우선 블록 장난감의 역사를 알아보자.블록의 진화알록달록한 색깔에, 올록볼록한 모습.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블록 장난감의 모습이지요. 하지만 블록이 처음부터 ... ...
[과학뉴스] 툴리 몬스터의 정체를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모양을 근거로 툴리 몬스터가 연체동물이라고 추측하는 의견도 있었지만, 최근까지도 이
생명
체의 정체는 수수께끼로 남아 있었어요. 그런데 최근 영국 레스터대학교 토마스 클레멘츠교수팀이 툴리 몬스터가 척추동물이었다는 증거를 발견해 발표했어요.툴리 몬스터의 화석을 조사하던 연구팀은 ... ...
PART 2. 제2의 게놈 효과 과연 어디까지일까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부르는 데는 큰 무리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유전자와 장내미생물을 종합하면 우리 몸의
생명
활동에 대한 이해가 어마어마하게 높아질 것만은 사실이니까요.” 천 교수는 미생물의 특성을 잘 모르는 일반인들에게 특히 장내미생물의 효과와 한계를 정확하게 전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 ...
[Knowledge] 내 손이… 옛날엔 물고기 지느러미?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고생물학자들이 연구한다), 그 유전자를 제거해가며 발생 과정을 비교해야 한다(
생명
과학자가 한다). 물론 두 방법을 다 쓸 수도 있다(슈빈 교수).슈빈 교수는 어류의 지느러미 가시와 네발동물의 손 뼈가 같은 유전자에 의해 발생하는지 실험했다. 먼저 실험 생물인 제브라피시의 유전체에서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이것이 소위 슈퍼박테리아”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지난 1월 최상호 서울대 농업
생명
과학대 교수,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함께 박테리아의 유전자 수평 전달을 파악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인 ‘HGTree’를 개발했다. 신·변종 식중독균과 슈퍼박테리아의 출현 원인을 분석하고 대처방법을 마련하기 ... ...
이전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