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 [Mathematician] 질병 분석부터 지하철 혼잡도 개선까지 삶의 문제 해결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23년 11호
- 있어요. Q. 다른 분야와 협업을 자주 하나요? 네. 우리 팀은 의학, 경제학, 법의학, 생물학 등 각기 다른 분야의 전문가의 의견과 데이터를 제공 받아 이를 수학적으로 분석해요. 최근엔 검찰청, 법의학자와 함께 유전자 데이터로 민족을 분류해 시각화하는 연구를 했어요. Q. 다른 분야와 협업할 때 ... ...
-
- [노벨상 2023] 30년 뒤 노벨상 수상자를 우리는 알아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입을 모아 말했다. 1988년 노벨 화학상을 받은 하르트무트 미헬 독일 막스플랑크 생물물리학 연구소장은 “과학자의 연구 성과를 네이처, 사이언스 등 영향력이 큰 학술지에 논문을 낸 횟수로 평가하는 것부터 굉장히 잘못됐다”면서 “이런 학술지에 연구 성과를 싣기 위해서는 주류 연구를 해야 ... ...
-
- [과학사 극장] 파스퇴르는 생명 윤리를 위반 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탄저균 연구를 참조해 독성이 약해진 탄저균을 백신으로 만들었다. 그는 산소에 미생물의 독성을 약화시키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추론하며, 병원체를 공기에 노출 및 건조시켜 독성을 약화시키는 방법을 백신 개발의 핵심으로 삼았다.이듬해 봄, 백신 접종에 회의적인 수의사 히폴리트 로시뇰이 ... ...
-
- 박멸이 답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신이현 연구소장은 “모기의 애벌레인 장구벌레는 잠자리 애벌레, 물고기 등 다양한 생물의 먹이가 된다”며 “모기가 박멸될 경우 생태계에 어떤 변화가 생길지는 아무도 모른다”고 경고했어요.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사람에게 큰 피해를 주는 모기, 아예 지구상에서 사라져야 할까요? ... ...
-
- [과학뉴스] 시조새만 조류의 조상일까? 롱다리 조류 공룡, 푸젠베나토르 발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조류로 진화하고 있었다는 증거라고 설명했다. 연구를 진행한 유 하이루 중국과학원 고생물학자는 “초기 새의 진화는 복잡하다”고 후속 연구를 예고했다 ... ...
-
- 죽은 거미로 만든 로봇, 전기 충격 젓가락..., 이 과학자들, 왜 이랬을까?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사용해왔습니다. 뼈로 만든 도구나 모피 옷처럼요. 우리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죽은 생물 전체를 로봇의 재료로 쓰기로 결정했습니다.” 네크로봇을 만든 프레스턴 교수가 9월 30일,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설명했다. 연구의 주저자인 파예 얍 박사과정 연구원은 “복도에서 다리를 오므린 ... ...
-
- [논문탐독] 생명현상의 실타래에서 찾아낸 맞춤형 암 치료의 실마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암 치료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등을 연계한 다중체학 분석, 즉 생물정보학(바이오 인포매틱스) 연구를 적용해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중체학이 풀어낸 조기발병위암 수수께끼이번 논문은 다중체학을 활용해, 현대 사회에서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상승 중인 40대 ... ...
-
- [최신 이슈] 세상 가장 무거운 동물? ‘페루세투스’가 말해주는 것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암컷도 관찰된 바 있는데, 당연히 체중은 훨씬 더 무거울 것이다. 체중 측정(추정)은 고생물의 영역으로 가면 훨씬 어렵다. 우선 얻을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다. 페루세투스처럼 겨우 몇 조각 남은 뼈에서 체중을 추정해야 하고, 그 추정치도 자주 뒤집히기 일쑤다. 대표적인 예가 가장 거대한 육상 ... ...
-
- [인터뷰] "후배 과학자들이 새로운 시도를 두려워 하지 말길"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NCT) 선임연구원에게 돌아갔다. 양자점 합성은 현택환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 연구단장)가 노벨 화학상을 받게 되리라고 점쳐지던 분야기도 하다. 2020년 글로벌 학술정보분석기업 ‘클래리베이트’가 현 교수와 바웬디 교수를 노벨상 수상자 후보로 점친 이후로 ... ...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자율주행차처럼 변기 아래로 떨어지는 똥을 실시간으로 인식했다. 스마트 변기는 생물학은 물론 기계공학, 컴퓨터 공학이 합쳐져야 가능한 발명품이었다. 성공적인 연구, 잇따른 좌절 더 심각한 난관은 사용자 구별 단계에서 발생했다. 방금 용변을 본 사람이 누구인지 어떻게 알아낼 것인가? ... ...
이전1011121314151617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