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인간이 사라진다면 지구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날 갑자기 지구상에서 ‘인간’만 사라지게 된다면 지구는 어떻게 변할까요? 다른 생물이나 자연환경은 모두 그대로인 채 오직 인간만 없어진다면 말이죠. 이러한 상상을 담은 앨런 와이즈먼의 책 을 바탕으로 한 유튜버가 영상을 만들었습니다. 인류가 없는 세상에 인류가 남긴 ... ...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적용 범위를 계속 확장해 가고 있다. 국가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는 2022년 9월 ‘법의학, 생물다양성 연구에 대한 eDNA의 잠재력’ 보고서를 통해 “바다에서 실종된 군인의 신원을 파악하는 데 eDNA가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전 세계적으로 바다에서 실종된 군인은 4만 100 ... ...
- [논문탐독] 생명현상의 실타래에서 찾아낸 맞춤형 암 치료의 실마리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암 치료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등을 연계한 다중체학 분석, 즉 생물정보학(바이오 인포매틱스) 연구를 적용해 치료법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다중체학이 풀어낸 조기발병위암 수수께끼이번 논문은 다중체학을 활용해, 현대 사회에서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상승 중인 40대 ... ...
- 끈질긴 생명력의 비밀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피부 온도를 바탕으로 사람을 찾는다고 알려졌어요. 그런데 지난해 미국 워싱턴대학교 생물학과 제프리 리펠 교수팀은 한 가지 요소를 더 찾아냈습니다. 바로 색깔이지요. 연구진은 이집트숲모기 등 세 종류의 암컷 모기를 여러 색상의 점이 그려져 있는 터널 안에 넣었어요. 터널 안으로 ... ...
- 좌절된 아이디어는 어떻게 (이그)노벨상을 받았나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자율주행차처럼 변기 아래로 떨어지는 똥을 실시간으로 인식했다. 스마트 변기는 생물학은 물론 기계공학, 컴퓨터 공학이 합쳐져야 가능한 발명품이었다. 성공적인 연구, 잇따른 좌절 더 심각한 난관은 사용자 구별 단계에서 발생했다. 방금 용변을 본 사람이 누구인지 어떻게 알아낼 것인가? ... ...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소리는 기대하거나 추측한 대로 들리기도 한다. 니나 크라우스 미국 노스웨스턴대 신경생물학 교수가 저서 ‘소리의 마음들’에서 비유한 것처럼, 청각 경로는 귀에서 뇌로 흘러가는 일방통행로보다는 여러 진입로와 교차로가 엮인 복잡한 도로 네트워크에 더 가깝다. 뇌파로 뇌에 흐르는 노래를 ...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 노오란 마리골드 꽃이 피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연구팀이 했던 것처럼 나도 토양에 포함된 광물을 분해해 양분으로 만들 수 있는 미생물을 투입하기로 했다. 마리골드는 화려한 노란색과 붉은색 꽃을 피우기 때문에 황량한 화성의 풍경을 바꾸는 데에도 좋은 역할을 할 수 있으리란 기대도 있었다. 그러나 결과는 내 기대와 달랐다. 마리골드의 ...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쓴맛, 신맛, 매운맛까지! 그물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민그물버섯속을 주름버섯류가 속한 우단버섯과로 분류했어요. 그러나 최근 분자생물학적 분석을 통해, 민그물버섯속의 버섯은 그물버섯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민그물버섯속의 조상은 관공이 있었지만, 현재는 진화를 거듭하며 주름살 형태로 변모한 것이죠. 박상영 ... ...
- [가상 인터뷰] 문어가 다리로 맛을 보는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먹는 물고기는 대부분 물에 녹지 않는 물질이 몸을 덮고 있거든. 문어는 빨판으로 바다 생물과 물체들을 만져 미세한 화학물질 차이를 감지하고, 먹어도 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단해. 물론 문어 빨판에는 물에 녹는 분자를 감지하는 수용체도 있단다. 연구팀은 다리가 10개 달린 오징어도 빨판에 ... ...
- [지구사랑탐사대] 우리 함께 지켜요! 지구사랑탐사대 제11기 발대식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게 아니라고 설명했어요. “탐사대원들이 하는 시민과학은 자세히 관찰하고, 살피며 그 생물의 생태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것”이라고 강조했지요. 김정 편집장은 “대원들이 다양한 탐사 데이터를 올려준 덕분에 과학 논문 4편이 출간됐고, 수원청개구리의 서식지를 지킬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