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요
요약
개략
적요
개괄
결론
요지
스페셜
"
대의
"(으)로 총 220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40억년간 '진흙'이 바꾼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8.23
삼각주 역시 교란이 일어났다. 전세계 1만1000개 삼각주를 조사한 네덜란드 위트레흐트
대의
1월 ‘네이처’ 논문에 따르면, 이런 변화 때문에 전세계 삼각지의 9%가 1985~2015년의 30년 동안 면적이 줄었고 14%는 늘었다. 전세계적으로 삼각지는 매년 경기도 안양시 면적과 비슷한 54km2씩 늘고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박쥐에게도 백신을 접종해야 할까
2020.08.19
야생동물에게 이런 식으로 백신을 접종한다는 건 불가능하다. 각각 미국 아이다호
대의
생물학자와 수학자인 두 저자가 논문에서 말하는 건 ‘스스로 퍼지는(self-diseminating) 백신’이다. 야생동물을 포획해 접종한 뒤 풀어주면 서식지로 돌아가 동료들에게 백신을 퍼뜨려 집단면역을 갖게 한다는 ... ...
행성사냥꾼 테스 2년간 찾아낸 외계행성만 2100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카메라가 장착됐다. 카메라는 하늘을 상하와 좌우로 24도씩 나눠 볼 수 있는데 테스는 네
대의
카메라를 이용해 좌우 24도, 상하 96도의 하늘을 관찰한다. 24도로 나눈 하늘을 27일간 관찰하며 외계 속 행성을 찾는다. 테스는 임무 첫 1년간은 남반구 하늘을 13개 구역으로 나눠 관찰해 남반구 전체의 별 ... ...
"25일 신규 코로나19 환자 100명 넘을 듯" 방역당국 전망
동아사이언스
l
2020.07.24
3명의 이라크 건설 근로자와 이들을 이송하는 데 동행한 요원 등 총 339명이 이날 오전 두
대의
공중급유기를 통해 귀국했다. 권 부본부장은 “이날 오후 현재 293명의 근로자 중 89명이 유증상자로 파악된다”라며 “검사 결과가 24일 중으로 나올 것인데 상당수가 확진 판정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고 ... ...
110억년 우주팽창의 역사 자세히 담은 새 3D 우주지도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관측 결과와 일치한다. 윌 퍼시벌 캐나다 워털루대 교수는 “가장 광범위한 시간
대의
우주 팽창 역사를 가장 정교하게 관측했다”며 “관측 데이터를 통해 우주 팽창을 가장 잘 이해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4개국 주도 화성클럽 판 깬 아랍의 강소국
동아사이언스
l
2020.07.20
두바이샛1호와 2호를 공동 개발한 경험을 살려 아말 개발에 미국의 콜로라도볼더
대의
엔지니어들을 파트너로 삼았다. 또 다른 미국 애리조나주립대와도 협력을 통해 아말에 설치될 적외선 분광계를 개발했다. 아말을 화성으로 실어나를 발사체도 일본과 협력을 통해 해결했다. 아말은 일본 ... ...
코로나19 발열 확인에 얼굴인식 AI가 결합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화두’인 재인식 기술을 결합하면 코로나19 의심환자의 추적도 가능하다. 재인식은 한
대의
카메라로 인식한 인물이나 사물을 다른 환경의 카메라로도 동일인으로 인식하는 기술이다. 이 기술이 가능해지면 여러 CCTV를 연계해 사람의 이동 동선을 추적할 수 있어 보안에 유리하다. 전 교수는 ... ...
'무거운 중성자별일까 가벼운 블랙홀일까' 중력파로 미지의 천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5
가능은 하지만 발견하기 힘들 것이라는 예상이 많았다"며 "이번 발견으로 이런 질량
대의
블랙홀 또는 중성자별이 존재하며, 심지어 그리 드물지 않을 가능성도 제기됐다"고 설명했다. 왼쪽은 태양 질량의 23배인 블랙홀을 형상화했다. 이와 충돌한 짝별의 존재가 이번에 밝혀지지 않았다. 태양 ... ...
보이지 않은 작은 바이러스가 900년 묵은 대학교육의 근간을 흔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24
'온라인' 맞은 대학 "실습 중심·개인 맞춤화로 900년 대학 강의 혁신" "온라인은 대면 강의 대체 수단 아냐...독자적 장점 살려야" ... 학생이 굳이 유학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국제무
대의
주도권이 서방국가에서 동양으로 갈 것이라는 예측도 나왔다. ... ...
[팩트체크]모르고 먹는 미세플라스틱 얼마나 될까
과학동아
l
2020.06.13
김 교수는 “해양으로 쏟아지는 미세플라스틱은 바닷물의 흐름이 적은 환류
대의
중심에 모이는 경향이 있다”며 “인도양(1곳)과 대서양(2곳), 태평양(2곳) 등 대양에 있는 대표적인 환류대 5곳이 기본 조사대상”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북극환류대와 소규모 환류대 등 환류대는 여러 개가 더 ... ...
이전
10
11
12
13
14
15
16
17
1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