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개요
요약
개략
적요
개괄
결론
요지
스페셜
"
대의
"(으)로 총 223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백내장과 녹내장은 왜 생기는 걸까
2019.04.09
녹내장 환자의 망막 검사 결과 각각 HSP27과 HSP60을 인식하는 T세포의 수치가 같은 나잇
대의
건강한 망막에 비해 5배가 넘었고 HSP27과 HSP60에 대한 항체(IgG) 수치도 두 배였다. 연구자들은 이번 발견이 새로운 녹내장 치료법 개발에 영감을 줄 것으로 기대했다. 비타민B3 섭취하면 예방에 도움 될 듯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활기차고 긍정적인 사람이 큰 사건·사고에 취약하다
2019.03.23
접한 후 정서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하지만 흥미롭게도 반
대의
결과가 나타났다. 신경증이 높은 사람들이 낮은 사람들에 비해 충격적인 사건을 접한 후 긍정적 정서가 크게 달라지지 않았거나 ‘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긍정적이고 활기찬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 ...
스페이스X, 민간 최초 유인우주선 발사 성공…3일 저녁 ISS도킹 시도
2019.03.03
탑재한 팰컨9이 발사되고 있다. 사진 제공 NASA 올해는 민간 유인 우주비행 시
대의
원년으로 기록될 것으로 보인다. 이번 발사는 조종사가 없는 무인 우주비행 시험이었지만 스페이스X는 5~6월에 비상탈출 시스템을 시험하는 과정을 거친 후 7~8월에는 실제 유인 우주비행에 나설 계획이다. 보잉도 다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그렇다’. 이를 이해하기 위해 먼저 근육세포에 대해 잠깐 알아보자. 미국 터프츠
대의
의학자 어윈 로젠버그 교수는 1989년 한 학술지에 발표한 글에서 근감소증(sarcopenia)이란 신조어를 만들어 처음 사용했다. 사진은 1979년 시카고대에 재직할 당시 모습이다. 시카고대 제공 무게는 30%, 세포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②코딩, 무엇으로 배울 것인가
2019.01.28
다시 대형 서점을 찾았다. 막상 아이에게 코딩교육을 하기로 마음 먹었지만 무엇을 어떻게 할지 아직 생각한 바 없었다. 구체적인 윤곽 그리기가 필요했 ... 냈다. 지난해 한층 강화된 '아빠의 달' 제도의 수혜자로, 9살 아이와 스킨십을 늘리며 복지 확
대의
긍정적인 면을 몸소 깨닫고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우리 몸에 운동이 필요한 이유
2019.01.15
걸릴 위험성이 크게 낮아질 것이다. 게티이미지뱅크 그러고 보면 말이나 개(늑
대의
후손) 역시 사람과 비슷한 길을 걷고 있는 것 같다. 수천 년이나 수만 년 전 사람에게 길들여진 뒤에도 이들은 여전히 몸을 많이 쓰는 삶을 살았다. 그런데 불과 100년 사이 말은 자동차와 기차에 직업을 빼앗기고 개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황금돼지해에 생각해보는 과학자의 인복
2019.01.08
이를 재현하는 실험을 했지만 기술적 난관에 부딪혀 실패했고 결국 친구인 컬럼비아
대의
물리학자 코리 딘 교수와 협력한 뒤에야 간신히 성공했다는 얘기가 나온다. 차오위안이 더 대단한 건 큰 좌절을 극복하고 이런 대발견을 해냈기 때문이다. 과학영재인 차오는 불과 18살에 허페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나이가 들면 왜 효자손이 필요할까
2018.05.08
때 긁으면 왜 ‘시원함’을 느끼는 것일까. ‘사이언스’ 같은 호에 해설을 쓴 미국 듀크
대의
요르크 그란델 교수는 가려운 곳을 긁는 물리적 자극이 메르켈 세포의 억제신호를 증폭해 가려움 활성신호를 압도한 결과라고 설명한다. 다만 메르켈 세포가 적을 경우 더 세게 오래 긁어야 효과를 볼 수 ... ...
강석기의 과학카페ㅣ똑똑한 사람의 뇌는 뭐가 다를까
2017.11.29
네트워크 구조와 연관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커넥톰(connectome)은 2005년 미국 인디애나
대의
신경과학자 올라프 스폰즈 교수와 동료들이 한 논문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로 뉴런의 전체 연결망 지도다. 사람의 뇌에는 뉴런이 860억 개 정도 있고 뉴런 하나당 평균 수천 개의 시냅스가 있어서 다른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파란빛의 두 얼굴
2017.11.14
담은 논문이 실렸다. 즉 파란빛 가로등과 일맥상통하는 얘기다. 스페인 그라나다
대의
연구자들은 스트레스를 받은 사람들을 백색광이 있는 방과 청색광이 있는 방에서 쉬게 할 때 어느 쪽이 스트레스가 빨리 해소되는지 ‘측정’했다. 즉 단순히 ‘마음이 얼마나 편해졌냐?’ 같은 심리적인 평가뿐 ... ...
이전
14
15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