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지금은 ‘미소년’ 시대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만들었던 미인상과 비교해 눈썹과 눈 사이 거리가 멀어졌고, 눈은 더 크고 동그란
형태
이며, 입은 더 얇아졌다”고 밝혔다. 이 박사는 “이런 특징은 동안의 특징과 유사하다”며 “동안은 턱이 작고 눈이 둥글며 얼굴이 작은 편”이라고 덧붙였다. 특히 아이돌의 데뷔 나이가 점점 어려지는 현상에 ... ...
[과학뉴스] 지구 생명체 기원의 ‘미싱링크’ 찾았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뒤 짧은 펩타이드 사슬로 분자를 연결시켰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 DAP가 여러
형태
의 당을 효율적으로 인산화시켜 ‘인 함유 탄수화물’을 만들 수 있음을 보였다. 인 함유 탄수화물은 초기 생명체 형성에 관여했을 가능성이 있는 물질이다. 이번 연구는 DAP가 생명체 기원에 훨씬 더 중심적인 ... ...
[Issue] 동물정신과 측면에서 본 공격성과 치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때문이다. 따라서 두려움으로 인해 공격성을 보이는 개의 행동치료 1원칙은 ‘어떤
형태
이든 체벌 금지’다. 초크체인이나 전기충격목걸이로 공격행동을 교정하려다 괜히 개를 예측 불가한 위험한 상태로 내몰 수 있다. 사회화 교육이 답일까?‘공격적인 개는 사회화 교육이 필요하다’ ‘개가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연구원은 “사진에서 얼굴의 특징값을 일일이 뽑아내 얼굴을 인식하는 과정과 유사한
형태
로 얼굴을 인식하고 있었다”고 설명했다. 딥미러처럼 인공신경망을 보유한 AI는 수 없이 많은 값을 스스로 학습하고 찾아낸다. 대표적인 사례가 페이스북이다. 2014년에만 하더라도 인식률이 약 97.35%로 사람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내지는 못하더라고. 그래서인지 언젠가부터 또 다른
형태
의 카메라 로거를 가져와서 번식지에서 우리 보금자리를 촬영하더라고. 몸에 부착하는 비디오 로거와 다르게 이 장치는 우리 집 앞마당에 떡하니 자리 잡고 주기적으로 사진을 찍어. 2012년에 처음 봤는데 그때는 ... ...
Part 2. 100년 日기초과학 경쟁력의 상징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김 박사는 “일본의 R&D 평가시스템은 오랫동안 정량 평가보다 정성평가에 무게를 두는
형태
로 발전해왔다”며 “자신의 연구 분야에서 동료 과학자에게 인정받는 일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가령 평범한 수준의 논문 10편보다 뛰어난 논문 1편이 과학자로서 더 인정받는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관여하고 뇌는 얼굴을 인식하게 된다. 현재로써는 각 단계에서 시각정보가 어떤
형태
로 처리되는지, 또 이들 단계마다 어떤 정보가 이용되는지 알 길이 없다. 그저 시각정보가 상위 단계로 전달될수록 뇌는 점점 더 복잡하고 구체적인 정보를 인지하고(이 사람이 누구인지, 누구와 닮았는지), ... ...
Part 1. 연구개발(R&D) 평가 패러다임이 바뀐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말했다. 김 팀장은 “궁극적으로는 동료평가 방식 등 완전한 질적 평가에 가까운
형태
로 평가 방식이 발전하겠지만 그때까지 연구자들에게는 질적 성과지표가 매우 유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과학자 100명에게 물었습니다Part 1. 연구개발(R&D) 평가 ... ...
[Photo] ‘만인의 광물’ 방해석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개발과 환경 정책이 마련되고 있다. 지구 전체로 보면 이산화탄소는 대부분 탄산염광물
형태
로 암석 속에 갇혀 있다. 동물의 호흡 등 생명 활동이나 화석 연료에 의해 발생된 이산화탄소는 대기로 방출되지만, 일부는 바다 등 물속에 용해된다. 대기 중으로 방출된 이산화탄소가 물에 용해되고, ... ...
[과학뉴스] 아기 부르는 엄마 음색은 인류 보편적?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어머니가 아기의 언어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암묵적으로 사용하는 보편적인 의사소통의
형태
”라며 “향후 음색 변화가 아기의 학습을 어떻게 돕는지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0월 12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16/j.cub.2017.08.07 ... ...
이전
146
147
148
149
150
151
152
153
1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