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부정맥 모음곡’으로 부정맥 조기 진단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듣는 이에게 부정맥에 대한 다양한 느낌을 줍니다. 우리는 부정맥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
를 이 ‘음악적으로 표현한 것(완전한 음악은 아닙니다)’을 이용해 설명할 계획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부정맥 전문 심장내과의인 피어 램바이어스 교수와 협업할 계획입니다. 심박 데이터를 제공하는 등 ... ...
Part 5. [노벨상 예측] 노벨상 제정 벌써 117년 향후 노벨상 탈 연구는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받았다. 또 1989년 발사된 NASA의 ‘코비(COBE)’ 위성이 우주배경복사의 비등방성과 흑체
형태
를 발견한 공로로 연구 책임자였던 존 매더 NASA 고다드우주비행센터 박사와 조지 스무트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교수가 2006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 2001년 발사된 ‘더블유맵(WMAP)’ 위성은 ... ...
[Photo] 위대한 후원자의 이름 딴 스미스소나이트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유명하다. 여기서 채굴되는 광물 243종 가운데 56종은 추메브 광산에서만 볼 수 있는
형태
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7개 원소가 발견된 스웨덴 이테르비라는 작은 마을이 과학자들 사이에서 ‘원소의 성지’로 불리는 것처럼, 추메브 광산은 ‘광물 수집가의 성지’로 불린다. 지금은 대량 상업 채굴이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합니다. 계통적으로 관련이 없는 둘 이상의 생물이 적응과 진화의 결과로 비슷한
형태
를 보이는 현상을 수렴진화라고 합니다. 박쥐와 새처럼 계통적으로 관련 없는 두 종이진화 결과 비슷한 날개를 갖는 게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또 말벌과 산호뱀처럼 맛이 없거나 유해한 동물은 붉은 줄무늬가 ... ...
[과학뉴스] 발암물질 석면, 안전하게 폐기 가능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섬유
형태
의 석면이 호흡기로 침투해서 몸에 바늘처럼 꽂혀서 질환을 유발하는데, 섬유
형태
를 다면체 결정으로 바꿔 유해성을 제거한 것이다. 또 처리 과정에서 나오는 옥살산마그네슘을 재처리하면 마그네슘을 얻을 수 있어 일석이조다. 조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보다 석면 배출물이 수십 배 ... ...
[과학뉴스] 아기 부르는 엄마 음색은 인류 보편적?
과학동아
l
2017년 11호
어머니가 아기의 언어 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암묵적으로 사용하는 보편적인 의사소통의
형태
”라며 “향후 음색 변화가 아기의 학습을 어떻게 돕는지 연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10월 12일자에 발표됐다. doi:10.1016/j.cub.2017.08.07 ... ...
사진 속에 비밀을 감춰라! 스테가노그래피
수학동아
l
2017년 11호
암호가 노출돼도 푸는 방법을 모르면 무용지물이지만, 스테가노그래피는 정보를 숨길 뿐
형태
를 바꾸지 않기 때문에 발각되면 즉시 정보가 드러납니다. 들키면 바로 들통나니까 안전하지 않다는 생각이 드나요? 오히려 정보를 숨겼다는 사실 자체를 알아채기 어려워 복잡한 암호보다 안전합니다 ... ...
[Issue] 토성 탐사 20년 그 위대한 기록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NASA)이 제작한 궤도선 카시니와, 유럽우주국(ESA)이 제작한 탐사선 호이겐스가 결합된
형태
다. 이들은 2004년 7월 1일 지구로부터 약 13억km 떨어진 토성 궤도에 도착했다. 1997년 10월 지구를 떠난 지 7년 만이었다. 인류 역사상 첫 토성 궤도 진입 성공이다. 토성에 도착하고 6개월 뒤 호이겐스는 ...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향후 우리나라가 전세계를 이끌 수 있는 연구 분야를 발굴해 CPS 글로벌센터와 같은
형태
의 글로벌 센터 2~3개를 DGIST 내에 구축해 키우고 싶다. Q. DGIST의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게 있다면.논어에서 30세는 ‘이립(而立)’이라고 했다. 학문의 기초를 닦아 자립한다는 뜻이다. DGIST는 2034년 30세가 된다.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
과학동아
l
2017년 10호
까닭은 명백하다. 어떤 의미에서는 유전자만이 불멸하기 때문이다. 유전자는 복제본의
형태
로 수십, 수백만 년 동안 안정적으로 전해진다. 자연선택이 작용해 더 ‘이기적’인 유전자가 널리 퍼지는 발판이 되는 것이다. 반면 개체나 집단은 짧게 나타났다가 이내 사라진다. 하늘에 떠있는 구름이나 ... ...
이전
148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