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식량
식품
양식
음식물
요리
먹거리
영양물
d라이브러리
"
음식
"(으)로 총 2,581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미리 보는 이소연 씨의 ISS 10일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마련된 ‘특별식’은 밥과 된장국, 김치, 홍삼차를 포함한 한국
음식
10가지.한국 우주
음식
은 ISS에서 오래 보관할 수 있으면서도 먹음직스러운 형태와 맛을 유지하도록 개발됐다. 우주밥은 고온살균과 무균포장으로 수분을 65% 함유했다. 김치는 고유의 맛과 씹는 느낌을 주면서도 국물이 흐르지 ... ...
part 2 지구 위에 뜬 거대 실험실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횟수는 하루 다섯 번에서 세 번으로 줄었다.특히 미국과 러시아의 식단만으로 구성된
음식
은 다른 나라 우주인에겐 큰 곤혹이었다. 이에 유럽의 콜럼버스 모듈과 일본의 키보 모듈이 본격적으로 운영된다면 유럽식과 일식 메뉴도 ISS에서 정식으로 제공될 예정이다.ISS에 방문하는 사람은 크게 ... ...
감금증후군에 걸린 남자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기능이 정상인지 판단한다. 뇌가 손상된 환자는 후두덮개의 움직임이 불완전해 입으로
음식
을 먹기 힘들다.이 때문에 의학적으로는 쟝 도미니크 보비가 혀를 움직이기 전까지 코에 플라스틱 관을 꽂아 식사를 해야 하는 것이 맞다. 하지만 영화 내내 보비의 코에 관을 꽂은 장면이 없어 아쉬움이 ... ...
1. 역사 속 '마리 퀴리'를 찾아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성장한 인물을 만날 수 있다. 최초의 여성 수학박사 소냐의 두 남자6살이 되도록 손으로
음식
을 집어 먹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닥치는 대로 주위 물건을 집어던지는 야수 같은 아이가 있었다. 태어난 지 19개월 되던 때 열병을 앓으며 눈이 멀고 귀가 먹어 벙어리가 됐기 때문이다. 이 아이는 앤 ... ...
달콤살벌한 성형의 유혹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위험이 있다.6. 사각턱방법 뼈가 각진 경우에는 입안을 절개해 들어가 턱뼈를 깎는다.
음식
을 씹는 데 사용하는 저작근이 큰 경우에는 근육을 절제한다.주의 턱뼈를 과도하게 자를 경우 얼굴 아래쪽 3분의 1 감각을 담당하는 신경을 다칠 위험이 있으므로 반드시 치아 방사선 촬영으로 신경의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통조림, 배추김치, 만두 찍어먹던 간장까지 고스란히 소각로로 직행한다. 서양에 비해 짠
음식
을 많이 먹는 식단 탓에 우리나라에서 배출되는 소각재 속 염소(Cl) 성분은 굉장히 높다. 소금(NaCl)에서 염소가 분리돼 나오기 때문이다. 생활쓰레기 1kg을 태운 소각재 속에는 약 30g의 염소 성분이 ... ...
폭설과 혹한에서 전원 살아 귀환하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모닥불 둘레에 모여 앉아 초콜릿과 비스킷, 그리고 트보로크(우유로 만든 러시아 전통
음식
)으로 허기를 채웠다. 고 씨는 비상식량 주머니 안에서 찾은 홍차를 끓여 마시다 이내 잠이 들었다.얼마 지나지 않아 고 씨가 몸을 부르르 떨며 잠을 깼다. 낮에 나무를 하는 동안 땀에 젖었던 내복이 밤이 되자 ... ...
PART3 폐식용유 먹고 달리는 자동차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폐식용유를 얼마나 원활히 수거할 수 있느냐다. 우리나라 가정에서는 기름기 많은
음식
을 서양보다 덜 조리하기 때문에 패스트푸드점이나 라면공장 같은 산업체로 눈을 돌리는 편이 좋다. 또 추운 겨울철에는 폐식용유가 응고되기 쉬우므로 적절한 수거 장비를 개발하는 일도 시급하다. 폐식용유를 ... ...
당뇨병과 간질병이 '사랑'받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경우 저혈당 상태는 ‘배가 고프다’는 신호를 발생시켜
음식
을 먹도록 하거나 당장
음식
을 먹을 수 없을 때에는 간에 저장된 글리코겐을 분해시켜 혈당을 높여 일시적으로 허기를 없앤다. 그러나 당뇨병 환자의 경우 몸이 저혈당 상태에 적절히 대처할 수 없기 때문에 저혈당증이 쉽게 생긴다. 이때 ...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방법까지, 모든 것을 해결하기 위해‘어린이과학동아’명예기자가 숙명여자대학교 한국
음식
연구원의 진소연 박사님을 만났답니다. 먼저 떡을 만들어 볼까요? 떡에 대한 궁금증 다섯하나, 떡은 언제부터 먹었나요?떡은 밥보다 더 오래 전부터 만들어 먹은 것으로 알려져 있어요. 삼국시대의 떡 ... ...
이전
149
150
151
152
153
154
155
156
1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