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 [퍼즐라이프] 풀면 갇히고 꼬면 빠진다! 클로버 퍼즐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클로버 퍼즐의 해법을 분석해보도록 해요! ※ 편집자 주KPP(한국 퍼즐 파티)는 ‘퍼즐을 좋아하는 사람들의 모임’입니다. 저희의 퍼즐 이야기를 통해 신기한 퍼즐과 그 속에 숨은 수학을 즐겨보세요! 중국의 퍼즐 디자이너 아론 왕이 고안한 클로버 퍼즐은 세잎클로버 ...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보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래서 우리 연구팀은 현장 조사도 직접 나간다. 한국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해수를 떠서 담기도 하고, 해빙 표면에서 지름 10cm의 얼음 기둥을 시추하기도 한다. 아라온호에 탑재된 헬리콥터를 타고 인공위성보다 낮은 고도에서 해빙을 ... ...
-
- ‘꿈틀’ 깔따구 유충 나온 수돗물, 정수 과정에서 대체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수 있다는 점이다. 국민생활과학자문단이 7월 31일 진행한 온라인 포럼에서 채선하 한국수자원공사 케이워터연구원 수석연구원은 “깔따구 유충은 염소에 대한 저항성이 강해 잔류염소 농도가 50mg/L인 물에서 48시간 동안 생존할 수 있다는 연구가 있다”고 설명했다.이에 대해 구 교수는 “그렇다고 ... ...
-
- 꽃가루를 소개합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돌아왔는데 지역별, 시간별 꽃가루 종류나 양에 대한 기초 자료가 없었어요. 그래서 한국에 와서도 혼자 계속 꽃가루를 채집했습니다. Q 그렇게 모은 자료는 어떻게 쓰였나요?2008년 기상청에서 제가 모은 자료를 분석해 ‘꽃가루 지수’를 만들어 보자고 연락했어요. 당시 기상청에서는 어느 날, 몇 ... ...
-
- 기후변화는 이미 시작됐다! 대한민국을 덮친 벌레의 난수학동아 l2020년 09호
- 기후변화에 어떻게 대응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자. ★ 참고자료기상청·환경부 ‘한국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2020’, 박해철 ‘기후변화가 곤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국내외 연구 분석’, 장철현·유대영 ‘깔따구, 곤충의 친환경적인 포집방안에 관한 연구’ ... ...
-
- [수학동아 탐정클럽] 인기 캐릭터의 비밀을 밝혀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Part2. 어떤 디자인을 좋아할까?Part3. 펭수의 인기 비결은 5가지 놀이 구조 ★ 참고자료한국콘텐츠진흥원 ‘대한민국 캐릭터 변천사 연구보고서’, ‘2019 캐릭터 산업 백서’, 서송이, 허정윤 ‘디지털 캐릭터 유형에 따른 이미지의 차이와 캐릭터 선호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양식화 디자인과 ... ...
-
- [이달의 수학자] 한국이 제2의 고향이라는 필즈상 수상자, 예핌 젤마노프수학동아 l2020년 09호
- 9월 7일은 한국을 제2의 고향으로 여기는 1994 필즈상 수상자, 예핌 젤마노프 고등과학원 수학부 교수가 소련(현재 러시아)에서 태어난 날입니다.젤마노프 교수는 ... 제2의 고향으로 생각한다”며, “한국의 술과 감자전을 특히 좋아한다”고 말할 정도로 한국을 사랑하는 수학자입니다 ... ...
-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막 시작한 단계여서 아라온호에 정기적으로 제작해 배포하지는 않고 있다. 앞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공동으로 북극해 해빙 지도를 주기적으로 제작하는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다. 아리랑 위성으로 촬영한 극지 영상은 국내 연구기관이나 교육기관이면 누구나 사용할 수 있다. ... ...
-
- 과학동아 At a Glance과학동아 l2020년 09호
- 키울 수 있는 걸까요? 미국 연구진이 이와 관련해 발표한 최근 연구를 소개합니다. 한국에서 1만7000km 떨어진 남극, 인공위성으로 본다 (44p)☞바로가기서울에서 약 6400km 떨어진 북극다산과학기지, 서울에서 1만7240km 떨어진 남극세종과학기지. 이렇게 먼 북극과 남극에 직접 가지 않고도 연구할 방법은 ... ...
-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밀라노대 에너지학부는 첨단 합금 소재 분야에서 세계적인 연구팀이지만 그동안 한국 연구팀과는 교류가 없었다. 또 대부분의 공동 연구는 교수의 교류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공동 연구는 초면이었던 두 박사과정 연구원이 시작한 것이어서 더욱 뜻깊었다. 연구를 진행하던 당시에는 ... ...
이전1501511521531541551561571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