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주에서 극지를 보는 이유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촬영할 때 한 칸(픽셀)의 길이가 30cm인 초고해상도 영상을 촬영하는 것이 목표다. 채태병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위성활용부장은 “우리나라가 운용하는 인공위성을 이용해 앞으로 극지를 더욱 촘촘하게 관측할 수 있을 것”이라며 “우리나라 연구자가 타고 있는 ... ...
- 지구 반대편 남극, 매일 인공위성으로 봅니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위치를 더욱 정확히 파악할 수 있다.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는 아리랑 5호를 운용하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협력해 남극 대륙의 히든 크레바스를 찾아낸 뒤 이 정보를 실제 탐사에 활용하고 있다. 현장에서 탐사 중인 과학자가 쉽게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글 어스(Google Earth)에 표시해 ... ...
- 최초의 민간 유인 우주선 크루드래건, 64일 만의 귀환 스토리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동부 시간 8월 2일 오후 2시 48분(한국 시간 3일 오전 3시 48분) 플로리다주 펜서콜라 인근 바다에는 미국항공우주국(NASA) 소속 우주비행사 두 명이 탑승한 우주선이 무사히 ‘스플래시다운(착수)’했습니다. 스페이스X가 개발한 ‘크루드래건(Crew Dragon)’이 약 두 달간의 임무를 마치고 지구로 무사히 ... ...
- AI가 선택한 칼군무 아이돌 1위는?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생각합니다. 지금은 코딩 실력이 많이 늘어 다양한 주제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Q 한국 아이돌 그룹의 안무를 분석하게 된 계기가 있나요?K팝은 지난 몇 년간 제게 큰 행복이었기 때문에 K팝 커뮤니티에 어떤 식으로든 보답하고 싶었습니다. 그게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아이돌 그룹의 안무를 분석한 ... ...
- [비하인드 로켓] 절치부심, 두번째 도전에 나서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위해서는 다시 또 여러 단계의 점검을 거쳐야만 했다. 발사 연기가 불가피했다. “한국은 운이 참 좋은 것 같습니다. 나로호에 액체산소가 충전된 상태에서 소화약품이 분출됐다면 나로호가 폭발할 수도 있었으니까요.”그날 밤, 러시아측 나로호 발사 책임자인 유리 바흐발로프는 이렇게 말했다. ... ...
- [SF에 묻는다] 최후의 질문 vs. 두 번째 유모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우리나라 SF작가인 듀나의 단편소설입니다. 듀나는 1990년대부터 활동해 온 대표적인 한국 SF작가죠. 여기서 소개하는 두 번째 유모는 다른 작가들과 함께 낸 단편집 ‘아직 우리에겐 시간이 있으니까’와 듀나의 단편집 ‘두 번째 유모’에 실려 있습니다. 이전에 있던 가을이라는 유모에 이어 ... ...
- 기후변화 비밀 품은 북극의 사계절을 보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보정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래서 우리 연구팀은 현장 조사도 직접 나간다. 한국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의 이동 경로를 따라 해수를 떠서 담기도 하고, 해빙 표면에서 지름 10cm의 얼음 기둥을 시추하기도 한다. 아라온호에 탑재된 헬리콥터를 타고 인공위성보다 낮은 고도에서 해빙을 ... ...
- 논란 많은 러시아 백신 집중 분석과학동아 l2020년 09호
- 3만 명을 대상으로 3상 임상시험에 들어갔다. 미국 바이오기업 이노비오는 6월 22일 한국인 160명을 대상으로 1/2a상 임상시험(1상과 2상을 동시에 진행하는 임상시험)에 돌입했다. 이르면 8월 중 3상 임상시험을 진행할 계획이다. 모더나와 화이자가 개발 중인 백신은 RNA 백신, 이노비오에서 개발 중인 ... ...
- 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끝이 아닌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바탕으로 수를 빠르게 늘릴 수 있어요. 항생제를 오·남용하면 이런 과정이 촉진되지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류충민 감염병연구센터장은 “감기 같은 바이러스성 질환에도 항생제를 쓰거나, 항생제가 가축을 살찌운다는 이유로 불필요하게 항생제를 먹이는 등 오용과 남용 사례 탓에 슈퍼버그가 ... ...
- 새로운 적에 대항할 ‘슈퍼약물’이 나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8호
- 있는 건 아니에요. 비온드백스도 사람에게 주로 유행하는 3종에 대해서만 실험을 했어요.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의 김두진 연구원은 “범용백신을 만들면 예방할 수 있는 변종의 범위가 늘어난다”며, “코로나바이러스도 세포 감염 과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잘 변하지 않는 부분을 찾으면 ... ...
이전1511521531541551561571581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