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을 바꾼 원소] 수소, 미래를 여는 '작은 거인'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떠오르고 있다.138억 년 전 탄생한 최초의 원소, 수소. 가장 간단한 화학 구조를 가졌지만 하는 일은 가장 많고, 눈에 보이지 않지만 우리 주위에 있는 모든 물체에 존재한다. 주기율표의 1번에 걸맞은 ‘작은 거인’인 셈이다. 바로가기 ☞https://tv.naver.com/periodictable 용어정리 ... ...
- [수동TV] 수학 셔플쇼 더 사제수학동아 l2019년 05호
- 했지만, 구 장학사는 그날에 대해 이렇게 전했다. “육체적으로 힘들고 고단한 시간을 말없이 함께 걷는 경험은 굉장히 특별해요. 우리는 같은 수학 교사고, 같은 학교에서 공부했고, 같이 대구에 사는 등 이미 많은 것을 함께하고 있어요. 제가 교사로서 경험했던 힘든 일들을 원택이도 겪게 될 ... ...
- [사랑고민상담소] 25년차 솔로의 소개팅앱 성공전략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문제는 그들 자신이 원하는 과학 사실만 쏙쏙 골라 본다는 겁니다. 예를 들어 인간이 기후 변화를 야기하는 게 아니라고 생각하면, 그와 반대되는 수백 가지 연구들은 싹 무시하고 자기 생각을 뒷받침해줄 일부 연구만 본다는 것이죠. 이를 확증 편향(confirmation bias)이라고 합니다.연구팀은 ... ...
- [어벤져스:엔드게임] 타노스 핑거 스냅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9년 05호
- 모두 한국인처럼 산다면 지구가 3.5개 필요하다. 글로벌풋프린트네트워크는 매년 1년간 생태용량을 모두 써버린 시점을 ‘지구 생태용량 초과의 날(Earth Overshoot day)’로 지정해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이날은 점점 당겨지고 있다. 지구 생태용량 초과의 날은 1970년에는 12월 29일이었지만, 1986년에는 ... ...
- [JOB터뷰] 과학책방 '갈다' 이명현 대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여기서 얘기를 나누실까요?” 십여 명의 작가들이 친필 사인본과 그림 등을 남기고 간 작가의 방에 앉아 이명현 대표의 이야기를 들어 보았어요. ● 이명현 대표에게 물어봤다! Q. 먼저 자기 소개를 부탁드려요! 저는 원래 전파천문학을 연구하던 천문학자예요. 유치원생이던 1969년, 미국이 ... ...
- [혀의 진화] 혀를 정복하려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9년 05호
- 그것이 즐겁기 때문이다. 연세대 RYU 회원인 정민영 군(의예과 2학년)은 “랩을 하는 그 순간을 즐길 수 있으면 된다”며 “자신의 스타일을 자신감 있게 살릴 수 있다면 랩을 하면서 큰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고 말했다. 리버브 회원인 황의찬 군(의정부고 3학년)은 “선생님들은 래퍼의 길이 ... ...
- [10대의 약] 아무 진통제나 먹지 마세요. 생리통 약도 증상 따라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약이 되지만 그렇지 않으면 독이 됩니다. 집에 오래된 진통제가 있을 경우 유효기간이 지나지는 않았는지도 제대로 살펴야겠습니다. 이소정. 고려대에서 약학을 전공하고, 서울대 약학대학원 물리약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약학 정보를 쉽게 널리 알리기 위해 블로그와 유튜브 채널을 ... ...
- 과학은 대화다_홍영덕 교사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주체는 철저히 학생이다. 교사가 설명하는 시간이 있지만, 학생들이 서로 설명해주는 시간이 수업의 핵심이다. 학생마다 설명할 부분을 정해 각자 맡은 부분을 집중적으로 학습하게 한 뒤 학생들끼리 서로 설명하면서 의견을 교환한다. “학생들이 역동적으로 수업에 임하길 바라는 마음으로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중국 최초 우주인 과학선생님 '왕야핑'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우주인으로 새로 건설될 우주정거장 임무에도 참여하고 있다. 중국은 우주 개발에 연간 9조 원 가량의 예산을 투입하며 ‘우주 굴기’라는 목표에 점점 더 가까이 가고 있다. 지난해 한 해에만 로켓을 39차례나 쏘아 올렸고(미국은 31회), 올해 1월에는 탐사선 창어 4호를 인류 최초로 달 뒷면에 ... ...
- [미국유학일기]3일 밤샘 공부 가능한 스탠퍼드대 도서관과학동아 l2019년 05호
- 스탠퍼드대 도서관들은 여전히 학생들의 지적 탐구의 열정이 한데 모인 상징적인 공간이다. 비록 모든 도서관에서 밤을 샐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말이다 ... ...
이전15215315415515615715815916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