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간"(으)로 총 9,15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식으로 읽는 하드 사이언스, 메타물질 도장깨기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곳으로 수집해 에너지를 얻어내는 효과도 낼 수 있을 것이다. 메타물질은 지난 수십 년 간 매우 다양한 형태로 연구가 이뤄져왔다. 많은 연구자들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는 것에 비해 실용화가 늦다고 생각할 수 있다. 이는 기존 물질의 한계를 극복하는 대신 반대급부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 ...
- [로보트 재권V] 앉았다 일어났다, 되나요? 4족 대신 2족 보행 선택과학동아 l2019년 04호
- 기다란 막대기를 손바닥 위에 올려놓고 쓰러뜨리지 않고 오랫동안 세우는 놀이를 해본 적 있으신가요? 2~3초 동안 세우기도 쉽지 않습니다. ... 한재권한양대 로봇공학과 교수다.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을 비롯해서 인간과 로봇간의 상호작용 연구를 활발하게 수행하고 있다. jkhan@hanyang.ac ... ...
- 고정환|'발사체 독립'의 꿈, 대한민국에 희망을 주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누리호를 개발하는 데 일조했다는 즐거움을 평생 안고 살아갈 것”이라며 “오랜 기간 하나씩 배우고 알아내 여기까지 온 우리 스스로가 자랑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이공계 연구가 힘들다며 기피하는 분위기도 있지만 그럼에도 관심과 끈기를 갖고 꾸준히 연구에 임하는 사람들이 있기에 큰 ... ...
- 김빛내리|인간이 풀지 못한 세포의 비밀 프런티어 과학자가 밝힌다과학동아 l2019년 04호
- 여성 과학자들의 롤모델로서 조언도 아끼지 않았다. 그 역시 출산을 하고 1년 6개월간 전업주부로 생활하며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연구를 포기할까 고민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야말로 용수철처럼 버틴 것 같아요. 실험을 못 하게 하니까 더 하고 싶더라고요. 그래서 기회가 주어졌을 때 ... ...
- [스타쌤의 수학공부 꿀팁] 움직이는 수학으로 공부하기수학동아 l2019년 04호
- 보고 싶을 때 ‘천천히 보기’라고 입력하면 속도도 늦출 수 있다. 최 교사는 약 2년 간의 작업 끝에, 초, 중, 고 교과과정은 물론 대학교 학부 과정까지는 문제없이 사용할 수 있을 정도로 한글화 작업에 성공했다.문제는 한국 교육 현장에서 실제로 사용하게끔 만드는 것이었다. 그러던 중 해외 ... ...
- Part 1. 90.5가 의미하는 것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보고서에 나온 통계자료를 정리해 플라스틱의 생산과 이용량을 조사했어요. 그 결과, 65년간 총 83억t(톤)의 플라스틱이 생산됐고, 그중 63억t이 쓰레기가 되었다고 추정했지요. 플라스틱 쓰레기 중에선 9.5%에 해당하는 6억t만이 재활용되었답니다. 재활용되지 않은 90.5%의 쓰레기는 소각되거나(12.7%) ... ...
- [3·1운동 100주년] 일제강점기 조선 과학자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직후 북으로 간 사람들의 업적에 대해서는 애써 외면한 경우도 적지 않았다. 그동안 시간이 꽤 흘렀음에도 식민지 시절의 억압과 남북 분단이 초래한 상처는 여전히 우리 과학사에 짙게 드리워져 있다. 대한민국의 과학은 그 줄기를 거슬러 올라가면 과학조선을 꿈꿨던 그때와 맞닿아 있다. 해방 ... ...
- 수압, 감수하시겠습니까... 해저 36m 수중 데이터센터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예정이다. 데이터센터에는 인공지능(AI) 소프트웨어가 설치돼 있어 서버 등 장비를 실시간으로 감시해 오류 발생 여부를 감시하고 있다. MS는 “현재까지는 모든 것이 계획대로 진행되고 있다”며 “아직은 연구 초기 단계인 만큼 해저 데이터센터의 성공 여부를 평가하거나 이후의 계획을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영화 ‘그래비티’의 모티브가 된 인물, 케이디 콜먼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우주가 어떤 곳인지 너무나 잘 표현한 영화임과 동시에, 위기 상황을 헤쳐 나가는 인간의 이야기를 다룬 휴먼 드라마라고 평가했다. “영화에서 이야기하는 모든 위험이 사실이지만, 그것이 과연 우리가 우주에 가지 못할 이유가 될까?”라고 되묻는 그의 말에선 우주인으로서의 자부심과 도전 ... ...
- Part 4. 계주처럼 여럿이 함께 개최하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원칙을 없애고, 분산개최를 허용한다는 내용이 담겨 있어요. 1국가 1도시 개최 원칙은 그간 여러 개최국에 재정 악화와 환경 훼손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남겼어요. 분산개최는 각 도시, 국가별 기존 시설을 살려 덜 짓고 환경파괴도 줄일 수 있어요. 한편, 미래엔 기후변화로 인해 올림픽을 개최할 수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