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1. 과학고 KAIST는 과학자의 산실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많이 수행하고 있으며, KAIST교수들은 프로젝트에 매달리기에도 바쁘다. 그래서 일반
대학원
에서는 '과학자'를 양성하고 KAIST에서는 '기술자'를 기른다는 얘기도 나돌고 있다. KAIST석박사의 졸업논문중에는 프로젝트를 수행하다가 부수적으로 얻은 것이 많다.한국과학의 큰 산인 KAIST는 벌써 20년의 ... ...
수수께끼의 과학자가 만든 19세기 서울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김정호는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것이 너무도 많은 사람이다. 그의 옥사설과 백두산 7회등정설은 과연 타당한가?올4월은 문화부가 정한 고산자(古山子) 김정호(金正浩)의 달이다. 조선시대의 대표적인 지리학자였던 김정호. 국민학교 학생들도 다 아는 이름이다. 우리나라 과학자들 중에서 그처럼 널 ... ...
2, 유학, 필수인가 선택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의사 정도는 밝힐 수 있어야 한다는 취지에서다.그러나 아직까지는 우리의 대학과
대학원
의 연구환경에 대해 낙관론을 펼 수만은 없다. 조건이 나아진 것도 서울대 포항공대 KAIST 등 '선택된' 몇 곳에 그치기 때문이다. 또 연구주제가 기술개발에 직접 연결되지 않는 이학계의 경우는 아직까지도 ... ...
5. 선배가 걸어온 길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KIST)에 들어와 실제로 금속재료에 대한 연구를 해보니 또 다시 난감해졌다. 국민학교부터
대학원
까지 18년간 배운 지식이 무용지물이 아닌가 하는 회의도 일어났다. 다행히 시간이 지나면서 실제의 현상과 이론을 경험에 의해 연결시킬 수 있는 방안도 찾으면서 미지의 과제에 대해서도 두려움이나 ... ...
지·금·유·학·현·장·에·서·는 응용천재 일본, 기초연구에 눈돌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도맡아 꾸려 나간다. 조수는 연구실의 실험을 수년 혹은 수십년간에 걸쳐 해왔으므로,
대학원
생의 실험에 대한 지도와 상담을 해준다.박사과정을 마친후 나는 일본의 대기업인 히타치사(社) 중앙연구소에 입사했다. 사실 일본유학을 준비할 때부터 기회가 닿는다면 기업연구소에 입사해 경험을 쌓고 ... ...
자연속에 묻힌 외곬 인생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생태사진가협회에는 홍일점 사진작가가 하나 있다. 전정란씨(29)는 사진 작가라기 보다는
대학원
에서 '무당거미의 변이에 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고 현재 박사과정(동국대 생물학과)에서 거미를 연구하고 있는 예비 학자다. 거미학자인 김주필박사(대영 EMI학원장, 서울대 강사)가 소장이며 재야 ... ...
천재 김정호의 선물 대동여지도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군용비도」를 제작한 일본 육군의 지도제작팀은 그보다 40년 전에 만들어진 대동여지도를 보고 세번 놀라게 된다.1898년. 대한제국 광무 2년, 일본 명치(明治) 31년이다. 일본 육군은 한국 땅에서 극비리에 지도제작에 착수하고 있었다. 육지측량부(陸地測量部)의 요원들이 암암리에 활동하고 있었 ... ...
지구 최초의 음식을 밝혀낸다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증거를 포착했는데 세이건은 이 물질을 톨린(Tholin)이라 이름지었다.1980년대 초 당시
대학원
생이었던 행성학자 캐롤 스토커와 미생물 학자 보스턴은 톨린을 여러 종류의 박테리아에 먹여보기로 했다. 다른 과학자들은 부질없는 실험이라고 충고하기도 했지만 그들은 아랑곳하지 않았다.마침내 ... ...
장애영재아의 세계 바보속의 천재들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관심이 날로 고조돼 가고 있다. 우주의 탄생 및 그 미래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호킹은
대학원
시절부터 약 27년동안 몽의 운동신경이 점점 마비되는 루게릭병(근위축성 측색 경화증)에 시달려왔다. 그는 아직도 케임브리지의 교수로서 우주론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몸이 거의 마비된 ... ...
줄어드는 삼각주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줄어드는 삼각주지난 1990년, 스미소니언 재단과 미국지리협회 후원하에 해양학자인 다니엘 스탠리씨가 지휘한 탐험은 지난 1만여년동안 인류 사회와 문명의 발전에 기여해왔던 지구상의 가장 기름진 지역이 점차 줄어들고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문제의 지역은 바로 나일강 어귀의 삼각주다.1만년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