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에 만난 아마추어천문가 신혜성 발견 꿈꾸는 조상호씨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신혜성이나 소행성을 한번 발견해보고 싶습니다."서울대 기계공학과
대학원
을 마치고 연구소에 갓 입사한 아마추어천문가 조상호씨(24)의 소망이다. 핼리나 오스틴처럼 '상호'혜성을 기록해보고픈 욕심이다.조씨의 욕심이 실현불가능한 것만은 아니라는 것이 주위의 얘기다. 현재 국내에서 ... ...
소련 과학기술계 탐방기-자영협동체 결성, 연구성과 분배요구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전공과목, 외국어 그리고 철학을 보는데 철학은 주로 공산주의 이념관계를 다룬다.
대학원
교육은 3,4과목의 시험은 치르고 연구논문을 작성한 후 마치는데, 이 때 받는 학위는 Candidate of Science. 다른 나라의 박사학위에 해당된다. Doctor of Science도 있는데 이는 주로 학문의 절정기에 거대한 논문을 ... ...
중화(中華)적 세계관이 우르르 마테오 리치 충격파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1603년 조선에는 새로운 세계지도가 전래됐다. 중국에 사신으로 갔던 이광정(李光庭)과 권희(權憘)가 1602년 제작된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坤與萬國全圖)를 가져온 것이다. 그것은 조선학자들에게 커다란 충격을 주었다.타원형으로 그려진 세계의 서쪽에는 거대한 유럽대륙이 자리잡고 있었다. ... ...
비(非)과학 속의 과학─천하도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조선 지도책의 맨 앞장에 수록되었던 천하도. 이 속에는 실재와 상상의 세계가 혼재돼 있다.배를 타고 몇시간 바다로 나가면 멀리 보이는 수평선이 둥글게 떠오른다. 시야에 들어오는 푸른 바다가 원반(圓盤)의 반조각처럼 선명하다. 돌아서 보면 그 쪽도 둥근 선이다. 눈에 보이는 바다는 분명히 둥 ... ...
PARTⅢ 메탄과 암모니아의 변신 생명의 씨앗은 어디에서?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재현그러나 과연 이러한 일이 실제로 일어날 수 있었을까. 1950년대 초 시카고대학의
대학원
생이었던 밀러(Stanley Miller)는 유레이(H.C. Urey)교수의 지도하에 박사학위논문으로 이 문제를 해결해보려고 시도했다.그는 (그림)과 같은 장치를 마련하여 플라스크에 물(${H}_{2}$O) 메탄(${CH}_{4}$) 암모니아(${NH}_ ...
노출시간과 필름의 감광속도에 주의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그동안 서울대에는 16인치 반사망원경 밖에 없어 관측천문학을 전공하는 석박사과정
대학원
생들은 소백산 천문대의 망원경(24인치)을 이용하느라 어려움을 겪었던 것이 사실.15.5등급까지 관찰 가능한 이 망원경은 부경(副鏡)이 두개로 실제로는 두대의 역할을 한다. 때문에 서울대 천문학 ... ...
나만 엉뚱하게 이해하고 있는 게 아닐까?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도서관에 가서 이것저것 뒤져보는 것이 용이하다.미국의 이공계 대학들은 대부분이
대학원
위주로 운영되기 때문에, 학부과정에서는(한국에 비해) 전공과목을 그리 많이 수강할 수 없다. 따라서 대학에서 같은 4년을 공부한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을 비교하면 한국학생이 훨씬 앞서 있다고 자부할 수 ... ...
첨단시대 첨단학과, 그 전망은?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전자계산기학과와 컴퓨터공학과, 유전공학 유전자과학 생명과학과 등 등.
대학원
이상의 과정에선 엄밀한 차이가 있을지 모르나 학부강의는 거의 공통적인 학과들이 이름을 달리해 수험생들을 적잖이 혼란시킨다.내용 변화도 없이 이름만으로 수험생을 끌어모으려 한다는 비판이나 지나친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마테오 리치의 「곤여만국전도」가 나오기 전까지 세계최고로 평가되었던 지도를 조선초기의 학자들이 제작했다.서유럽과 아프리카대륙의 존재를 한국인은 언제부터 알았을까. 사람들은 흔히 1603년에 이광정(李光庭)이 중국에서 가져온 마테오 리치(Matteo Ricci)의 1602년 세계지도를 보고 나서부터 ... ...
PARTⅤ 한국 유전공학의 현주소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유전공학을 활발히 응용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예외는 아니다.연세대 환경
대학원
정용교수는 "기초분야 처리기술분야 행정적 기술분야가 함께 발전해야 소기의 목적을 이룰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한다.농업분야에서 유전공학은 '차세대의 육종법' '제2 녹색혁명의 견인차'로 인정받고 있지만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