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d라이브러리
"
오늘날
"(으)로 총 2,714건 검색되었습니다.
색맹 병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8호
취지는 사회적으로 문제를 일으킬만한 완전색각이상자를 가려내는 일이었다. 그런데
오늘날
에는 이 검사가 정상적인 생활이 가능한 대부분의 색각이상자를 사회로부터 멀어지게 하는 결과를 낳았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경찰청의 채용공고에는 ‘색맹 또는 색약이 아니어야 함’이라 돼 있지만 그 ... ...
만약 이산화탄소가 물에 녹지 않는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식고, 지구 역사상 최초의 비가 내리면서 엄청난 양의 수증기가 바다로 자리를 잡았다.
오늘날
보통 빗물은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녹아 pH가 5.7 정도인 약한 산성을 띤다. 이점을 감안하면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훨씬 높았던 태초에는 지금보다 훨씬 산성도가 높았을 것이다. 그러나 걱정할 ... ...
2. 기능 없는 97% DNA의 비밀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이후 알파-글로빈 유전자 그룹과 베타-글로빈 유전자 그룹 안에서 유전자 복제 등을 거쳐
오늘날
의 게놈구조를 형성하게 된 것이다.게놈 진화의 또다른 증거는 반복체(repeti-tive elements)에서 찾을 수 있다. 반복체는 반복 DNA 중에서도 기능이나 형태 면에서 특이한 부분을 일컫는다. 단백질을 합성하는 ... ...
대륙이동설의 창시자 베게너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탐사 도중 실종돼 이 사진은 베게너의 마지막 모습을 담은 사진이 됐다.대륙이동설은
오늘날
지구물리학계에 정설처럼 돼있지만 1960년대까지도 학계에선 거의 공상적인 이론으로 취급받았다. 학자들간에 격렬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했지만 그때마다 베게너의 대륙이동설은 대륙을 움직일만한 ... ...
타임머신(The Time Machine)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최강대국이었고 과학과 산업 전분야에 걸쳐 최첨단의 길을 걷고 있었다. 따라서
오늘날
과 같은 자본과 노동 계급의 분화가 사실상 맨 먼저 이루어졌다. 웰스는 그러한 사회의 미래상이 어떤 불길한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는 지 예리한 통찰력으로 꿰뚫어 본 것이다. 어쩌면 그 자신이 중하층 집안 ... ...
10돌 맞은 월드와이드웹의 미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어떨까.전세계에 널리 퍼져있는(World-Wide) 단 하나의 네트워크(Network = Web). 이것이
오늘날
의 폭발적인 성장을 가져왔던 월드와이드웹의 의미로서 미래에도 변하지 않고 그 생명력을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 ...
스노우의 두 문화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사회 전반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그렇다면 ‘두문화’는 그로부터 반세기가 지난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주는가?지금의 우리 사회 역시 과학적 배경과 경험이 거의 없는 비전문가에 의해 과학기술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또 과학기술자들이 과학정책결정에 참여하더라도 역사적 안목과 ... ...
아프리카를 떠난 최초 인류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호모 에렉투스도 마찬가지로 아프리카에서 이주한 종이지만 그 사이에 멸종해
오늘날
로 이어지지 못했다” 라고 말했다. 이 설명은 1856년 발굴된 네안데르탈인 화석과 2천명의 현생 인류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비교한 결과 서로 다른 종으로 볼 수밖에 없다는 1997년의 연구와도 일치한다 ... ...
인터넷과 휴대폰 최강국 핀란드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매우 현명한 기술자 의식을 통해 한가지 목표를 위해 모든 국민이 단결했던 것이
오늘날
세계 첨단 기술 공업국가로 탈바꿈하는 원동력이 됐다.특히 통신강국으로 탈바꿈하는데는 무엇보다 국가적인 지원이 큰 역할을 했다. 정부와 기업의 연구 개발비가 핀란드 내 총생산(GDP)의 3%나 된다. ... ...
콘택트(Contact)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그는 1970년대 중반부터 활발하게 대중을 위한 과학저술 작업에 몰두했으며, 그 결과
오늘날
미국에서는 과학의 대중화에 사실상 제일 크게 기여한 과학자로 꼽히기에 이르렀다.세이건은 외계생명체에 대해 일찍부터 진지한 관심을 기울여온 몇 안되는 과학자 중 하나였다. 이미 1966년에 옛 소련의 ... ...
이전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