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d라이브러리
"
오늘날
"(으)로 총 2,714건 검색되었습니다.
간의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원들을 시선방향으로 일치시키면서 북극이 중심원 안에 들어오도록 조절하는 것이다.
오늘날
에는 작은곰자리 알파별(α UMi)을 북극성으로 보지만, 당시에는 그 옆의 작은 별인 천추성을 북극으로 보았다.거극도(적위)는 사유환을 이용해서 잰다. 사유환은 쌍으로 이루어져 있는 둥근 환이며 극축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4억-3억5천만년 전(데본기) 지구에 나타나 지금까지 살아왔다. 또 성공적인 진화를 거쳐
오늘날
지구상에서 가장 번성한 생물군이다. 확인된 종만 해도 1백20만종(최대 예상치 3천만종)으로 전체 동물 종의 80%에 달한다. 실질적인 이 땅의 주인인 셈이다.살아남기 위해 ‘모든 걸 다 바꿔’곤충은 ... ...
뇌파는 신호일까 잡음일까?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시스템에 관한 연구와 로봇 공학의 발전이 전문가들의 예측을 훨씬 앞질러가고 있는
오늘날
언제쯤 가제트 형사의 등장을 기대해볼 수 있을까. 오늘이라도 당장 가제트를 만드는 일에 과학자들이 몰두할 수 없는 데에는 한가지 중요한 이유가 있다. 가제트의 작동원리 속에는 “머릿속에서 생각이 ... ...
과학자들의 콤플렉스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후반기에 새롭게 출현한 옥스브리지와 같은 ‘대학’을 중심으로 전수된다. 그렇지만
오늘날
과학의 근본적인 토대는 르네상스 시대의 끝 무렵인 16-17세기에 등장한다. 이때의 과학은 기계적 철학에 바탕해 만물을 물질과 운동으로 환원시켜 설명한다. 이것이 고전물리학으로 불리는 것으로 이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③ 교실을 국립민속박물관으로 옮겨보자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같이 사람의 신체 부위를 사용한 것보다 기장 1백알을 사용하면 좋은 점이 무엇인가.
오늘날
길이의 기준은 무엇일까. 기준으로 사용하는 것이 짧을수록 좋을까, 길수록 좋을까. 그 이유는 무엇일까. 과거와 현재를 과학으로 연결해보자.국립민속박물관은 서울시 세종로 경복궁 내에 있으며, 서울을 ... ...
측우기·수표·풍기죽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비가 오면 얼마나 많은 빗물이 하천에 흘러들고 범람할 위험이 있는지를 관측했다.
오늘날
하천 교각에 수표를 만들어 놓은 것을 볼 수 있다. 수위가 얼마나 되는가를 보기 위해 만들어놓은 측정자이다. 한강에서도 한강대교와 영동대교의 교각에서 수표를 볼 수 있다. 건설교통부 산하 ... ...
Ⅰ. 과학교과서를 버려라 : ① 과학시간에 SF영화를 보자!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모든 계층의 사람들로부터 큰 호응을 받아 대중문화의 한 축이 됐다. 특히 SF영화는
오늘날
대중들이 가장 많이 즐기는 여가생활의 한 양식으로 자리잡았다. 동시에 엄청난 경제적 부가가치를 가져다주는 산업이 됐다.SF영화는 그 성격상 무수히 많은 과학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주제도 ... ...
1. 비눗방울 표면에 붙어있는 은하
과학동아
l
2000년 05호
현재의 모습이 아니라 먼 과거의 모습이기 때문이다. 그 은하에서 과거에 출발한 빛을
오늘날
우리가 받고 있는 것이며, 그 은하의 현재 모습을 보려면 다시 억겁의 시간이 지나야 한다.먼 우주에 있는 은하들은 매우 어둡기 때문에 관측하기가 매우 어려우므로, 대형 망원경이나 허블우주망원경과 ... ...
추진력과 성실성 갖춘 로봇축구의 대부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드라마 ‘카이스트’를 통해 대중들에게 알려진 로봇 축구. 하지만 로봇축구는 로보틱스를 전공하는 학생들 사이에서는 2002년 월드컵만큼이나 유명하다. 그 ... 택하게 된 까닭도 같은 맥락이 아닐까.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을 볼 줄 아는 혜안이
오늘날
의 로봇축구를 탄생시켰다는 말이다 ... ...
가장 좋은 자·가장 좋은 음악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따라 서로 연관돼 있기 때문에 기준음인 황종이 변하면 이에 따라 소리가 다 변해야 한다.
오늘날
의 시각에서 보면 물리량의 표준을 바꾸면서 음악도 바꿔야 한다는 생각은 불합리하게 보일지도 모른다.그러나 전통시대 사람들은 우주 자연이 모두 서로 연결돼 있다고 생각했다. 그리고 모든 제도는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