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도
격렬함
계수
셈
힘
능력
효력
d라이브러리
"
세기
"(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체험] 말안장 곡면 만들기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정립한 것이다. 이후 2000년 넘는 세월 동안 전세계 기하학을 지배해 왔다. 그런데 19
세기
에 들어서 유클리드가 상상한 기하 공간이 우주를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우주 공간 자체는 휘어져 있는데, 유클리드 기하학은 휘어진 공간에서 성립하지 않기 ... ...
[퍼즐 해결사] 퍼즐 해결사가 되기 위한 첫 관문
수학동아
l
2014년 01호
뭔가에 집중할 때 손톱을 물어뜯는 버릇이 나온 것이다.“맞아! 피에트로 카탈디는 16
세기
이탈리아의 수학자야. 메르센 소수를 찾기도 했어. 메…, 메르센 소수? 그래! 그거야. 여섯 자리 비밀번호!”부산행 열차에서 만난 낯선 남자비밀번호를 찾은 소마는 폭탄이 터지기 전에 재빨리 비밀번호를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1911년이었으니까 그로부터 표준모형의 모든 입자들을 실험적으로 검증하는 데에 거의 한
세기
가 걸린 셈이다. 그 100년의 역사는 물리학 혁명의 역사였고 인류 문명의 혁명의 역사였다. 힉스 발견 이후의 또 다른 100년은 인류에게 어떤 역사로 펼쳐질 것인지 지금으로서는 가늠조차 하기 힘들다.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쓰이는 3세대 방사광가속기(현재 포항에서 사용하고 있는 가속기)에서 나오는 빛보다
세기
가 100억 배나 강하기 때문에 관측 크기가 수 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밖에 안 돼도 구조를 해석할 수 있다. 아직은 가설을 확인하는 단계지만 성공한다면 수많은 학자들이 단백질 결정을 목메고 기다리는 ... ...
진화론의 ‘첨단’을 읽는다!
과학동아
l
2014년 01호
꼽힐 인물이다. 이들 외에 추가될 인물은 ‘이기적 유전자’로 유명한 리처드 도킨스와 20
세기
중후반 진화학계를 뒤흔든 ‘포괄적합도’ 개념(아래에 소개하겠다)을 창안한 윌리엄 해밀턴, ‘천재’로 꼽히며 유전자 환원주의를 비판한 리처드 르원틴 정도다.다음으로 ②번. 그런데 이들 사이의 ... ...
소멸인가 생존인가, 아이손의 행방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4호
세기
에 나타나는 혜성 가운데 가장 밝을 것으로 예측돼 ‘
세기
의 혜성’이라고 불린 아이손(ISON). 그런데 지난 11월 29일, NASA(미국항공우주국)가 ‘마른하늘에 날벼락’ 같은 소식을 발표했어요. 아이손이 태양 부근을 지나다 사라져 버렸다지 뭐예요. 대체 무슨 소리일까요?아이손은 태양계 ... ...
아이손, ‘혜성’처럼 나타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2호
잘 몰랐던 사람들의 착각이야. 혜성은 태양계의 비밀을 품고 있는 작은 천체지. 때마침 21
세기
가장 밝은 혜성이자 딱 한번만 볼 수 있는 ‘아이손’ 혜성이 지구로 접근하고 있대. 같이 보러 가지 않을래? 혜성은 긴 머리를 휘날린다혜성은 타원 또는 포물선 궤도를 따라 우주를 돌고 있는 작은 ... ...
자석과 부력으로 오르락내리락 정신없이 바쁜 자석 바람개비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2호
바꿔서 전류를 만들어내는 ‘발전기’를 만들수 있답니다. 전류와 자기장의 관계는 19
세기
초반 덴마크의 한스 외르스테드가 알아냈지요.2 네오디뮴 자석으로 바람개비를 만들어라!앗! 제 주머니 속에 강력한 네오디뮴 자석이 들어 있었군요. 언제 넣어 놓으신 거예요~.사실은 실험 준비를 하다가 ... ...
건강한 색깔 입힌 기능성 과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1호
씹히는 ‘석세포’가 있어요. 맛은 달콤했지만 까끌까끌해서 먹기 힘들었지요. 그런데 18
세기
벨기에와 프랑스 과학자들이 석세포가 적어 씹기 좋은 배를 개발했답니다.*교배 : 동식물의 암수를 인위적으로 수정 또는 수분시켜 자손을 얻는 일.자두도 먹고 싶고, 살구도 먹고 싶어. 어떤 걸 먼저 먹어 ... ...
전기로 대화하는 물고기를 찾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21호
감전사할 수 있을 정도로 강한 전기지요. 하지만 저희의 전류는 아까 말씀드렸듯이
세기
가 너무 약해서 작은 먹이조차 잡을 수 없답니다.대신에 전기를 이용해 방향을 찾거나 주변의 친구들과 대화를 나누어요. 제가 살고 있는 가이아나의 마자루니 강은 강물이 늘 혼탁한 상태거든요. 앞을 제대로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