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기"(으)로 총 5,585건 검색되었습니다.
- 너무 춥고, 너무 더운 날씨 북극에서 답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20호
- 보고서를 발표했어요.보고서에 따르면 현재와 같은 추세로 온실가스를 배출할 경우, 21세기 말(2081~2100년) 지구 평균기온은 3.7℃ 오르고, 해수면이 63㎝ 상승한다고 해요. 이럴 경우, 일본이나 방글라데시, 네덜란드 같은 지대가 낮은 나라의 육지 대부분이 잠기게 돼요.우리나라 기온은 지구 평균기온 ... ...
- 엄마 뱃속에서도 억양은 알아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때 CD를 꾸준하게 들은 아기들의 뇌 반응이 더 강했지요. 이 아기들은 또 음의 높낮이나 세기, 음절의 변화까지 구분할 수 있었답니다. 엄마 뱃속의 아기가 억양까지 알아듣는다니 정말 신기하죠 ... ...
- 부력으로 둥둥 물로 가는 친환경 보트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8호
- 물에 뜨지 않는 물체도 있잖아요.맞아~. 물에 가라앉는 물체는 부력보다 중력이 더 세기 때문이야. 부력은 물같은 유체 속에 있는 물체 부피에 비례하고 물체 무게에 반비례하거든. 따라서 물에 잠긴 물체의 부피가 작고 무게가 무거우면 물에 가라앉는 거지.아하! 그래서 나무젓가락은 물에 뜨지만 ... ...
- 우사인 볼트도 깜짝 놀란 번개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지름은 2m이고 전류 세기도 3만A(암페어)나 되지만, 작은 빛줄기는 지름도 작고 전류 세기도 수십에서 수백 A(암페어) 정도로 약해요. 따라서 사람이 번개의 작은 빛줄기에 맞았을 때는 부상만 입고 살아남을 수 있답니다. 전기를 모아서 한 번에!번개를 직접 만들어 내는 과학자들도 있어요. ... ...
- 썰렁홈즈의 희한한 얼음 여행 앗! 세상에 이런 얼음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6호
- 제거하려는 연구가 한창이다.* 무극성 : 물 분자처럼 분자 간에 전자를 좋아하는 세기가 달라서 한쪽으로 치우치면 극성, 이산화탄소처럼 균형을 이루면 무극성 분자다.잠깐! 뜨거운 물이 더 빨리 언다?뜨거운 물이 차가운 물보다 더 빨리 얼 수도 있다는 사실. 언뜻 이해가 되지 않을 수 있지만, ... ...
- 화려하면서도 수수한 이슬람에서 보물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4호
- com쿠란에서 탄생한 빛나는 문화이슬람이란 아랍을 말하는 거지?정확히 말하면 이슬람은 7세기 초 예언자 무함마드가 완성한 종교야.오~, 그렇다면 이슬람교와 관련 있는 진귀한 보물들을 볼 수 있겠구나.응. 쿠웨이트 알사바 왕실에서 수집한 것들이라고 하니 정말 기대 돼!이슬람교는 어떤 종교일까 ... ...
- 위생해충에 대한 오해와 진실, 진드기는 억울해!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피를 빨아 먹음.관련 질병 흑사병 등 잠깐! 쥐벼룩이 옮긴 페스트균에 5000만 명 사망 14세기 중반 유럽 인구의 3분의 1이 한꺼번에 목숨을 잃었어요. 원인은 흑사병. 흑사병은 쥐에 기생하면서 페스트균에 감염된 쥐벼룩이 사람을 물어 생기는 급성열성 전염병이에요. 흑사병에 걸리면 열이 나고 ... ...
- 21세기 연금술 뭐든지 인쇄하는 3D프린터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3호
- 만들어 낸다고? 도대체 3D프린터가 뭐 길래, 세계 유명 인사들이 이러는 걸까요? 21세기 연금술이라고도 부르는 3D프린터의 정체를 파헤치러 IT전문가인 박 기자가 출동합니다.3D프린터는 3차 산업혁명의 주인공입니다. 제레미 리프킨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교수3D프린터는 모든 것을 만들 잠재력이 ... ...
- Part 3_ 우주의 종말은 뜨거울까, 차가울까?과학동아 l2013년 12호
- 휴거? 이런 식의 종말론이 종종 세상을 휩쓸고 지나간다. 전부 의미 없는 이야기다. 21세기 인류답게 사고의 규모를 키워보자. 진정한 종말은 이 광대한 우주의 끝이다. 그리고 그건 바로 암흑에너지에 달려 있다.거의 2000년 동안 서구 과학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아리스토텔레스는 우주가 ... ...
- [knowledge] 인류는 지금도 진화하고 있다과학동아 l2013년 12호
- 유전학자의 말은 인류가 정말로 진화와는 관련이 없어졌다는 뜻이었습니다.하지만 21세기에 유전학 분야에서 새로운 연구 결과가 발표되며 사정이 바뀌었습니다. 인간의 유전체(게놈)가 해독되고, 해독된 유전체의 수도 나날이 늘고 있습니다. 이제는 여러 사람의 유전자를 서로 비교해 볼 수 있을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