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실
실상
진실
실질
현실
실태
실천
d라이브러리
"
실제
"(으)로 총 6,115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이색 악기 패밀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연주할 때는 소프라노가 허밍하는 듯이 조금 으스스한 분위기도 난다. 이 톱으로
실제
톱처럼 혹시 나무를 벨 수 있을까. 다행히 연주용으로 만들어진 악기이므로 날카로운 톱날은 모두 제거했다. 8 음악을 연주하려면 춤춰라! 스파인캐나다 맥길대에서 전자기기와 음악 간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는 ... ...
[소프트웨어] 경기 안산해양중학교 합치고 나누는 SW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된 뒤에 똑같은 아이디어를 자동차에 적용했어요. 기울기 센서를 가지고 간단하게나마
실제
로 만들 수 있었습니다. 학생의 창의력이 실현될 기회가 넓어진 겁니다.”세상을 넓게 보다세상을 보는 눈이 넓어지자 학생들의 꿈도 많이 바뀌었다. 예전에는 과학자, 의사처럼 흔하고 두루뭉술한 꿈이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쿠니오 카이호 교수팀은 7월 14일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
실제
모델링을 해본 결과 황산 증기는 성층권에서 높은 밀도로 응축될 수 없는 데다, 오랫동안 잔존할 수 없어 지구의 기온을 떨어뜨리는 데에는 역부족”이라고 밝혔다.연구팀은 햇빛을 막은 물질이 황산 증기가 ... ...
[Knowledge] 미크로네시아 해양과학기지를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않다”고 말했다.
실제
로 본 물고기의 뇌는 정말 눈곱만 했다(관용적인 표현이 아니라
실제
크기가 그렇다).물고기 해부만큼 단원들이 재미있어 했던 실습은 ‘흑진주 삽핵’이었다. 태평양해양과학기지에서는 2008년 국내 최초로 흑진주 양식 기술 개발에 성공한 이후, 꾸준히 흑진주 수확률을 ... ...
[Knowledge] 동물 잡는 밀렵꾼 잡는 동물 로봇들!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자료는 부표를 거쳐 인공위성을 통해 WHOI의 해양생태학 연구실 컴퓨터로 전송된다.
실제
로 홈페이지에서 특정 해역에 어떤 고래가 지나갔는지 확인할 수 있다. WHOI는 앞으로 이 정보를 선박과 실시간으로 공유해 배의 속도를 늦추거나 정지하게 해 고래가 배를 피하게 할 계획이다. 하늘에서도 ... ...
[과학뉴스] 동물 박제 로봇으로 밀렵꾼 체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법망을 교묘히 피해 동물을 무자비하게 사냥하는 밀렵꾼을 잡을 수 있는 기발한 아이디어가 있다. 동물처럼 잠자코 있다가 밀렵꾼이 나타나면 체포하는 것이다. 사람대신 로 ... 단속원에게 재빨리 알리고, 곧 순찰차가 출동한다. 여러분은 과연 동물로봇과
실제
동물을 구분할 수 있을까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커지면서 압력이 생겨 주름이 만들어졌다고 설명했다.재미있게도 뇌 모형에 생긴 주름은
실제
와 거의 흡사했다. 모양이나 크기뿐만 아니라 주름이 향한 방향까지도 비슷했다. 지금까지 뇌 주름이 생기는 데 GPR56, 라미닌감마3 같은 유전자가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져 있었다. 하지만 뇌가 물리적인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생명의 진화가 일어날지는 알 수 없다. 결국 우리가 외계인을 직접 발견하기 전까지는
실제
외계문명의 분포는 구체적으로 알 수 없다.몇 가지 사고실험을 할 수는 있다. 모든 골디락스 행성에서 지구에서와 똑같은 과정을 통해 문명이 나타났다고 가정하면, 우리은하에는 총 14억 개 정도의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깨닫는다. 법의인류학자가 신원 확인 결정을 할 땐 오류의 가능성이 없어야 하고, 또
실제
로도 오류의 가능성은 0에 가깝다.이처럼 신원 확인 과정에서의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는 건 이미 신원이 확실한 데이터가 마련돼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치아검색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사용한 5만8000명의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일하다 오른손을 잃었다. 그는 셀보의 의수와 비슷하지만 더욱 발전한 의수를 개발했다.
실제
손이 아니라 집게 모양을 한 손이 달린 의수였다. 이 의수는 많은 절단 장애인들이 최근까지도 사용할 정도로 실용적이었다. 제1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절단 장애인의 수가 더욱 많아졌다. 이 때엔 드디어 ... ...
이전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