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양자와 친구가 되는 곳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나노물질과 전기적으로 상호작용한다. STM은 이 상호작용을 이용해 나노물질의 특성을 관측하거나 나노물질을 조작한다. 1nm 거리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니, 작은 진동조차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진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는 실험실 안에도 있다. 4개의 에어스프링을 이용해 STM을 1cm 공중에 둥둥 ... ...
- [Research] 모든 한옥 지붕이 사이클로이드는 아니에요!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유사한 ‘근사 방정식’을 찾았지요. 이 과정에서 최소제곱법을 활용했는데, 이 방법은 관측값과 가장 가까운 식을 추정할 때 도움이 돼요. 그다음 근사 방정식의 그래프와 사이클로이드,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 건축물에서 많이 보이는 ‘현수선’과 비교했어요. 그 결과 세 곡선의 형태가 모두 ... ...
- [Data math] 케첩 짤 때 팍 튀지 않게 하는 방법은?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속도, 주사기 구멍의 지름을 다르게 하면서 피스톤을 누른 후 액체가 튀는 조건을 관측했지요.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변수에 대한 정확한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이 수학 모형을 통해 통 속 액체가 부드럽게 나오다가 갑작스럽게 팍 튀는 현상이 일어나는 ‘임계점’을 예측할 수 ... ...
- [커리어] 용인 반도체 클러스터와 안성천의 생물다양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등 다양한 곳에서 관측된 것이 눈에 띄었습니다. 데이터를 보다 제가 살았던 곳 근처도 관측지에 이름을 올린 것을 보고 정말 놀라기도 했습니다. 탐사대 데이터를 더 활용할 수 있을까요? 이번에는 ‘매미 종다양성 지수’를 도시화 지표로 활용 가능하다고 제시했지만, 더 나아가 동식물을 ... ...
- [특집] 양자전송으로 순간이동을 할순없더라도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상태다. 열쇠 하나의 모습이 정해지면 다른 하나의 모습도 결정된다. 단순히 열쇠를 관측하기만 해도 열쇠의 모습이 결정된다. 이 말은 만일 양자암호통신에서의 비밀키가 제3자에 의해 도청되거나 해킹된다면 곧장 알 수 있다는 뜻이다. 이는 양자역학적 원리를 통해 안전성을 보장하는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우주를 헤엄치는 해파리의 정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않았다. 가시광선 관측으로는 보이지 않는 가스 물질의 존재를 다양한 파장대의 관측을 통해 직접 확인하게 된 것도 비교적 최근의 일이다. 하지만 물의 역할을 배제하고 물고기의 삶을 이해할 수 없듯, 우주 속 은하들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선 이제 우주 공간을 채우고 있는 바다를 알아야한다 ... ...
- [과학뉴스] 웜홀과 블랙홀 똑같은 모습으로 보인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증거가 발견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웜홀의 실존 증거가 지금까지 발견되지 않은 이유가 관측 방법을 제대로 모르는 데서 비롯된다고 보고 새로운 실험을 설계했다. 연구팀은 웜홀을 둘러싼 강착원반을 이론에 따라 시뮬레이션하고 그곳에서 방출되는 빛을 분석했다. 강착원반은 웜홀이나 블랙홀 ... ...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강조했습니다. 양자전송은 C의 상태를 B에 전달하는 방법이니까요. A와 C의 얽힘 상태를 관측함과 동시에 B의 형태가 결정되므로 B의 양자상태가 변하는 데 걸린 시간이 이론적으로 ‘0초’인 것도 맞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이 변화를 알아차리는 과정에서 시간적 한계가 생깁니다. 김 책임연구원은 ... ...
- [과학 뉴스] 블랙홀로 파괴된 별, 빛나는 제트로 탈바꿈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은하의 중심에 있다”며,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 등으로 이 블랙홀과 은하를 제대로 관측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연구에 참여한 팔로마 천문대 이고르 안드레오니 연구원은 “먼 우주에 있는 블랙홀을 찾고 분석하는데 이번 발견에서 얻어낸 결과를 유용하게 쓸 수 있을 것”이라고 ... ...
- [과학사] 1610년 1월 7일 갈릴레오 갈릴레이, 목성 위성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갈릴레오는 외압에도 불구하고 꿋꿋이 연구해 천문학 발전에 큰 공을 세우며 ‘근대 관측천문학의 아버지’라고 불립니다. 지난 1989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발사해 1995년 목성에 도착한 목성 탐사선의 이름 또한 갈릴레오호였어요. 갈릴레오호는 목성 대기의 조성과 구조, 목성 고리 조사와 이오의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