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측"(으)로 총 3,466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연구팀은 칠레에 암흑에너지 연구를 위해 설치한 고성능의 광시야 망원경으로 해질녘에 관측해 소행성의 존재를 확인한 것이죠. 발견된 세 개의 소행성 중 하나인 ‘2022 AP7’은 5년 마다 태양 주위를 공전하며, 지구에 잠재적으로 위협을 줄 수 있는 약 1.5km 크기의 위험한 소행성이라고 연구팀은 ... ...
- [뉴스&인터뷰] 다누리가 쏘아 올릴 작은 공, 달 착륙기지 결정할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달 탐사 로버가 영구음영지역 내 운행이 가능한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예정이다. 지형 관측 데이터는 얼음 입자 형성 과정을 추적하는 데도 활용된다. 즉 다누리에 탑재된 섀도캠이 촬영해 지구로 보내올 자료들이 2025년 아르테미스 3호기의 착륙 지점을 결정하는 데 큰 도움이 되는 것이다 ... ...
-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속에서 탄생하기 때문에 가시광선으로는 그 모습이 잘 안 보여요. 하지만 적외선으로 관측하면 먼지를 투과해 자세히 볼 수 있지요. 작년 크리스마스에 발사된 인류의 가장 강력한 적외선 망원경인 제임스웹 우주망원경이 황소자리에서 새로운 별이 탄생하는 모습을 포착했습니다. 퀴즈!별이 ... ...
- [Space Math] 우주와 지구를 레이저로 잇는다! 미라틀라스수학동아 l2023년 01호
- 회사에 수학이 얼마나 중요한 학문인가는 두말하면 잔소리인 이유다. 그리고 이러한 관측 결과와 기술이 더 축적되면 지구 대기 오염과 기후 변화에 대한 대처 방안을 내놓을 수도 있다. 레이저 물리와 비선형 광학 박사이며, 미라틀라스 공동설립자 겸 대표이사인 장-에두아 커뮤날 대표는 ... ...
- [특집] 양자의 '기분’을 바꾸는 과학자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작업”이라고 설명했다. 다채로운 기분을 가진 입자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이 정밀한 STM 관측에 몰두하는 이유는 원자나 분자를 양자컴퓨터의 기본 연산 단위 ‘큐비트(qubit)’로 이용하기 위해서다. 동시에 큐비트가 나아가야 할 길을 짚는 연구 또한 이뤄지고 있다. 장원준 연구기술원은 ... ...
- [뉴스&인터뷰] 형보다 나은 아우, 차세대 쇄빙연구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건조하기 전까지, 배의 형상이나 운항 속도 등에 따라 얼음을 깨며 생기는 현상을 눈으로 관측하고 직접적인 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다. 67mm 얼음이 새하얀 도화지처럼 펼쳐져 있던 빙해수조 위 모형선은 마치 나룻배처럼 보였다. 차세대 쇄빙연구선의 모형선이라고 해서 크기만 작을 ... ...
- [논문탐독] 지구 속 험준한 지진파 산맥의 비밀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깊은 지점에서 AB 상전이가 일어나고, 그 결과로 지진파 불연속면이 더 깊은 지하에서 관측될 수 있다는 거죠. 이번 논문을 쓰기 위해 연구팀은 지구 내부 환경과 유사한 고온, 고압 환경을 구현하고 동일한 온도 조건에서 압력을 세밀하게 조절해 실험했습니다. 이로써 특정 온도에서 상전이가 ... ...
- [특집] 최초로 별을 기록한 천문학자 히파르코스는 누구일까?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분석하고 인류 처음으로 일식을 예측하는 방법을 개발했어요. 또한 오랜 기간 정밀한 관측을 통해 처음으로 지구의 세차운동을 발견했어요. 16~18세기에 이르도록 천년이 넘는 시간 동안 천문학자들의 지침서가 된 에는 1000개가 넘는 별들의 좌표가 기록돼 있는데, 대부분 히파르코스의 ... ...
- [특집] 히파르코스에서 히파르코스까지 별 지도는 계속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수 있었어요. 이뿐만 아니라 소행성이나 행성의 위성, 은하계 밖 퀘이사와 다른 은하들도 관측할 수 있었죠. 게라 연구원은 “히파르코스 위성과 가이아 위성이 그린 별 지도는 천문학자들에게 보물”이라고 말했어요 ... ...
- [특집] 한반도에도 있다! 우리나라 별 지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삼국시대 때부터 천문학이 급속도로 발전했어요. 기원전 54년 고구려에서는 일식을 관측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때부터 실제 하늘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기록했다는 뜻이죠.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에 있는 첨성대는 일종의 국가 천문대인데, 고구려에도 첨성대와 같은 천문대가 있었다는 기록이 ... ...
이전12131415161718192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