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리내
갤럭시
은하
하한
하순
d라이브러리
"
은하수
"(으)로 총 344건 검색되었습니다.
허블의 우주팽창 발견 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09호
알려져 있었는데, 허블의 계산에 따르면 놀랍게도 안드로메다성운이 약 90만광년 떨어진
은하수
너머 우주에 있었다.1924년 12월 30일 미국 천문학회에서 섀플리와 커티스가 참석한 가운데 허블의 발견이 발표됐다. 두 사람의 논쟁은 끝이 났고, 커티스의 주장대로 우주가 생각보다는 매우 크다는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식별이 가능한 8천9백여 개의 별들과 그에 의한 별자리 그리고 잘 알려진 성운·성단·
은하수
등을 투영시킨다 또 밝은 1등성·2등성 45개에는 특별히 1개씩 투영기가 붙어 있고 변광성(變光星)도 나타낼 수 있다 두번 째 태양계 투영부에서는 태양과 달 그리고 여러 행성들의 궤도운행을 묘사하고 ... ...
박석재 블랙홀 박사 한국인은 우주 민족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어렸을 때 대전 시내를 흐르는 유등천으로 고기 잡으러 갔다가 밤하늘에 떠 있는 별과
은하수
의 매력에 흠뻑 빠졌다. 초등학교 때부터 천문학 책과 잡지를 닥치는 대로 읽었다. 그는 “초등학생 시절에 전과, 수련장을 베껴서 나름대로 천문학 책도 만들었다”고 회상했다. 대학 천문학과 진학은 ... ...
만약에 세상의 모든 가로등이 사라진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가려 우리 눈에서 사라져버린 별의 수는 자그마치 2000여개다. 현재 세계인구의 5분의 1은
은하수
를 볼 수 없는 곳에 살고 있으며, 황도 12궁의 별자리마저 온전히 볼 수 없다고 한다. 게다가 광공해 때문에 천체 망원경의 해상도까지 심각하게 떨어져 천문학자들은 연구에 난항을 겪기도 한다. 눈앞의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사진들이 붙어 있었다.
은하수
를 따라 걸으며 우주의 모습을 구석구석 볼 수 있었다.
은하수
끝에는 우리 태양계를 교실만한 크기로 만든 방이 있다. 가운데 붉게 빛나는 태양이 있고 주위에 수성, 금성이 돌고 하늘에는 커다란 목성과 토성이 달려 있다.무지개빛 보석과 광물 가득 “학생들이 ... ...
눈과 망원경으로 즐기는 가을밤 페르세우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쌍안경에서 쉽게 보이는 별의 밝기인 10등급보다 밝은 별들이 대략 70개를 헤아린다.
은하수
에 위치해 있어서 운동성단의 주요 별들이 빛나는 배경으로 잔별들이 깔려있다.망원경이 있다면 이제 캘리포니아성운을 관측해보자. 이 성운은 소형쌍안경으로도 볼 수 없다. 다만 하늘이 아주 좋다면 ... ...
고대 그리스 향기 짙게 나는 페르세우스 이중성단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수많은 별들이 모인 두 덩어리가 쌍안경 시야 중심에 가득 차 있다. 이 성단의 배경으로
은하수
의 잔별이 수없이 널려 있어 입체감마저 느껴진다. 페르세우스 이중성단의 별들이 너무나 많아서 쌍안경에서는 중심부가 밀집된 구상성단처럼 느껴지기도 한다.소형망원경에서는 어떻게 보일까. 아마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사랑은 남두육성으로 번졌다. 남두육성은 북쪽 하늘에 걸린 큰 국자를 축소한 것처럼
은하수
에 반쯤 잠긴 국자 모양을 띤다고 해서 남쪽의 국자 별자리란 의미로 붙여진 이름이다. 이 별자리는 고대 중국인에게는 거의 관심을 끌지 못했다. 반면 고구려 고분에서는 남두육성이 10기의 고분에 ... ...
전신수영복의 원리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해독제 등을 사용하지만, 무엇보다도 빨리 의사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여름밤 남쪽하늘
은하수
가운데에 있는 별자리 날개를 활짝 펴 나는 새, 또는 독수리 모양이다이와는 대조적으로 이 자리의 직녀성은「떨어지는 독수리」로서 부근의 별과 연결되어 날개를 포개고 하강하는 새의 ... ...
토성궤도에 진입하는 카시니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남쪽물고기의 입에 해당하는 1등성 포말하우트(Fomalhaut)로 들어간다고 한다 남쪽 하늘의
은하수
를 따라 자리하는 작은 별자리 대략적인 위치는 적경(赤經) 15h 40m, 적위(赤緯) -65˚ 우리나라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7월 저녁 무렵에 남중(南中)한다2등성인 α와 3등성인 β 및 γ의 세 별이 거의 정삼각형으로 ... ...
이전
11
12
13
14
15
16
17
18
1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