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리내
갤럭시
은하
하한
하순
d라이브러리
"
은하수
"(으)로 총 344건 검색되었습니다.
제2회 닮고싶고되고싶은 과학기술인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교수는 천문학을 업으로 삼으려는 학생들에게 여름방학 때 시골에 가서 밤하늘의 별과
은하수
를 바라보라고 권한다. 몇시간씩 밤하늘을 쳐다볼 수 있다면 천문학을 해도 좋다고 말한다. 하늘이 선택한 사람만이 천문학을 해야 한다는 의미일까.물론 이 교수 자신도 흔들릴 때가 있었다. 연구를 더 ... ...
별밭에 숨어 있는 보물 석호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특징이 다소 불명확하다. 또 성운인지 아니면 별의 집합체인지도 뚜렷하지 않다. 하지만
은하수
지역이므로 배경에 대단히 많은 별들이 깔려 있어서 두 성운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다.소형망원경에서는 석호성운의 특징인 암흑 띠가 초보자라도 쉽게 알아볼 수 있을 만큼 뚜렷이 드러난다. 성운은 ... ...
전갈의 심장에서 찾은 최고령 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밤하늘에 굽이굽이 흘러가는
은하수
를 따라가다 보면 남쪽에서 커다란 S자 모양(또는 큰 낚싯바늘 모양)을 한 별자리를 발견할 수 있다. 바로 독침을 품은 꼬리를 치켜 세우고 있는 전갈이다.현재 땅에 사는 전갈은 몸길이가 1.5-21cm 정도라고 하는데, 밤하늘에 걸려 있는 전갈은 얼마나 클지 쉽게 ... ...
여름
은하수
에 묻혀있는 쌍둥이 별무리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여름철 남쪽하늘을 대표하는 산개성단이다. 올여름 야외로 캠핑을 나가면 남쪽하늘
은하수
에 묻혀있는 이 보석을 찾아보자.이달의 밤하늘에 어떤 일이? 7월 새벽녘 가장 밝아지는 ‘이상한 별’7월 새벽녘 고래자리가 떠오르면 옛날사람들이 이상한 별로 간주했던 미라를 볼 수 있다. 미라는 밝기가 ... ...
북반구하늘 최고의 구형 별무리 M13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왜냐하면 여름철에는 우리은하의 중심 방향 쪽이 보이기 때문이다. 구상성단은
은하수
(우리은하) 중심 방향인 궁수자리에 가장 많이 밀집돼 있으며, 궁수자리 주변으로도 상당히 많은 수가 존재한다.구상성단 가운데 가장 밝고 크게 보이는 것은 유명한 ‘오메가 센타우리’와 ‘47투카니’다. 이 ... ...
러시아 우주비행선은 국제우주정거장의 생명줄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해독제 등을 사용하지만, 무엇보다도 빨리 의사의 치료를 받아야 한다여름밤 남쪽하늘
은하수
가운데에 있는 별자리 날개를 활짝 펴 나는 새, 또는 독수리 모양이다이와는 대조적으로 이 자리의 직녀성은「떨어지는 독수리」로서 부근의 별과 연결되어 날개를 포개고 하강하는 새의 ... ...
우주에 거대한 바다 넘실대는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날씨가 더워지면서 슬슬 바다가 그리워지는 여름의 초입이다. 물결이 넘실거리다가 해안에 밀려오면 파도가 되고 도중에 바위라도 만난다면 하얀 포 ... 가스의 바다를 떠올려보면 어떨까. 궁수자리는
은하수
의 중심 방향에 있기 때문에
은하수
를 함께 볼 수 있다면 더욱 운치가 있으리라 ... ...
컬럼비아호 잔해 2만개 조각맞추기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견우성 (牽牛星)인 독수리자리의 알테어와 마주보고 있다 거문고별자리의 직녀성에서
은하수
쪽으로 비스듬하게 걸쳐 있는 특이한 근접 식연성(近接蝕連星) 주기 12일 22시간 22분으로 광도가 변하는 식연성이며 1784년 영국의 굿리크(Goodricke) 에 의해 처음으로 알려졌다 결정의 반면상 및 4반면상의 ... ...
미국이 준비한 첫 인터넷 전쟁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자외선은 차단하고 이보다 파장이 긴 적외선은 그냥 통과시킨다 따라서 성간먼지가 많은
은하수
쪽의 하늘을 관측하기에는 자외선보다 적외선이 훨씬 유리하다이산화탄소 중 탄소(C)를 기준으로 환산한 무게 탄소의 원자량은 12고 산소의 원자량은 16이므로 이산화탄소의 원자량은 44(12+16×2)다 ... ...
봄철 대표하는 은하 한쌍 M81과 M82
과학동아
l
2003년 04호
해도 은하의 정체가 무엇인지 알지 못했다. 가끔 천체망원경으로 관측됐던 은하들 또한
은하수
(우리은하) 내에 있는 천체로 인식했으며 다른 성운과 구별하지 못했다. 하지만 1924년 미국의 천문학자 에드윈 허블이 윌슨산천문대에서 당시 세계 최대 망원경을 이용해 안드로메다은하까지의 거리를 ... ...
이전
13
14
15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