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도서"(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때이른 혁명, 프리프린트의 탄생과 좌절2020.04.09
- 교환소(Physics Information Exchange·PIE)가 만들어졌다. PIE는 출판전 논문을 회원이 아니라 각 도서관에 송부한다는 점에서 IEG와 다를 뿐 당시 전세계의 선도적 과학자들은 모두 출판전 논문교환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이를 직접 실천해나갔다. 이렇게 급속히 성장해나가던 출판전 논문 공유의 혁신은, ... ...
- 사상 첫 온라인에서 맞는 과학의 달동아사이언스 l2020.04.01
- 과학 크리에이터가 과학사나 이론을 설명하는 ‘과학덕분에’도 진행된다. 우수과학도서 저자와 전문가가 들려주는 북토크쇼 ‘사이언스 책방’, 청소년이 참여해 게임이나 미션 해결을 통해 수학과 소프트웨어(SW)를 배우는 ‘도전 수학·소프트웨어 학습 미션’도 진행한다. 집에서 과학을 ... ...
- 코로나19 논문 '800건 중국 vs 28건 한국'…왜?연합뉴스 l2020.03.31
- 국제사회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미국 국립보건원(NIH) 산하 전자도서관인 펍메드 센트럴(PMC) 등 국제학술지 사이트에서 검색해보면, 31일 기준으로 전 세계에서 나온 코로나19 관련 논문 중 국내 연구팀이 발표한 건 28건(국내 발행 국제학술지 포함) 정도에 그친다. 그나마 이들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커먼즈로서의 과학지식2020.03.26
- 자발적인 운동을 시작해야 한다. 이미 살펴보았듯이 과학자들은 자발적으로 공공과학도서관(PLoS) 운동을 시작해서 국제학술지에서 오픈액세스를 기본적인 형태로 만들었다. 또 각종 프리프린트 서버를 만들어 논문이 출판되기 전에 과학자 공동체가 논문에 접근하게 허용하고 있다. 전세계의 ... ...
- "15일간 사회적 거리두기 뒤 생활방역체계로 전환"…정부 조심스러운 출구 전략동아사이언스 l2020.03.22
- 또한 기자와 대면하지 않는 온라인 브리핑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정부 산하 수련원과 도서관, 박물관 등의 운영은 이 기간 모두 중단한다. 외교부는 국외 출장을 자제하고 법무부는 수용자 이동을 최소화하며 국방부는 장병의 외출 및 외박, 휴가 전면통제를 계속하기로 했다. 국토교통부는 ... ...
- 12개국 과기장관들 '코로나19 데이터 신속히 공개·분석 위해 AI 투입' 공감대동아사이언스 l2020.03.13
- 방법을 논의했다. 먼저 미국국립보건원(NIH) 산하 국립의학연구소(NLM)이 운영중인 전자도서관으로 500만 편 이상의 논문과 학술자료를 보유한 PMC 등 데이터베이스에 코로나19 자료를 즉각 공개할 필요가 있다는 데 공감했다. 과학기술계에서 연구 중인 코로나19 관련 기초 및 임상 연구 내용을 빠르게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알렉산드라 엘바키얀, 논문 해적 혹은 지식공유의 화신2020.02.28
- 이 프로젝트 또한 미국 법원에 의해 금지된 바 있다. 2011년부터 사이허브는 창세기도서관의 서버를 사용했고, 지금은 독립적인 서버를 운영중이다. 하지만 그들 또한 독립적으로 엘바키얀을 돕는 것이다. 즉, 사이허브는 철저하게 자발적으로 시작되었고, 이타적인 사람들의 노력으로 존재하고 있는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혁명과 뉴턴주의 2020.02.20
- 샤틀레의 도움이 결정적이었다. 샤틀레는 남편 소유의 지방 성 하나를 통째로 연구실과 도서관으로 꾸며 사교와 과학연구의 장으로 활용했다. 일화에 따르면 장서를 구매할 돈이 떨어지면 자신의 수학적 재능을 십분 발휘해 도박판에서 큰돈을 벌어 책을 구매했다고 한다. 기회가 되면 자세히 ... ...
- [AAAS연례회의]실리콘밸리가 선택한 '홈리스' 위한 기술동아사이언스 l2020.02.17
- 데이터 요금을 지불할 여유가 없어도 전화번호를 유지할 수 있도록 했고 특정 카페나 도서관에서 스마트폰 충전도 지원했다. 모랄레스 교수는 “스마트폰으로 데이터를 제공하고 요금을 내지 않아도 전화번호를 유지하도록 하는 것은 노숙자들에게 굉장히 중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미국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과학출판의 급진적 변화를 위해2020.02.13
- 문제를 풀기 위해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들을 중심으로 새로운 학술지 ‘과학의 공공도서관(PLoS)’가 설립되었고, 이후 수많은 오픈액세스 학술지가 만들어졌다3. 각종 민간과학연구재단과 미국과유럽연합 등의 정부기구가 연구자들에게 오픈액세스 출판을 강요하면서, 어쩔 수 없이 기존 ... ...
이전1112131415161718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