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나라"(으)로 총 7,884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사람도, 연구도 융복합에서는 최고가 되겠다”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연구도 진행했다. 로보틱스, 뇌 인지 전문가들과의 융합연구에서 나온 성과였다. 향후 우리나라가 전세계를 이끌 수 있는 연구 분야를 발굴해 CPS 글로벌센터와 같은 형태의 글로벌 센터 2~3개를 DGIST 내에 구축해 키우고 싶다. Q. DGIST의 미래를 위해 준비하는 게 있다면.논어에서 30세는 ‘이립(而立 ... ...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있어 연구원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다고 하네요. 주변 경관도 ICTP의 큰 장점입니다. 우리나라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트리에스테는 유럽 물류의 중심지로 꼽히는 유명한 항구 도시입니다. 연구소에서 10분 거리에 바르콜라라고 하는 해변 공원이 있어서 아드리아해의 풍경을 만끽할 수 있죠. 또 ... ...
- [과학뉴스] 플라밍고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올 여름에는 플라밍고(홍학)가 대유행했습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 분홍색 플라밍고 튜브를 탄 피서객들을 쉽게 만날 수 있었죠. 그 ... 등으로 모두 5000km 이상 떨어져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큰홍학이 이동 중 무리를 벗어나 길을 잃고 우리나라에 온 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 ...
- [Issue] 탄도미사일 둘러싼 궁금증 4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해제하는 데 합의했다. 1979년 처음으로 미사일지침을 체결한 이후 38년 만이다. 이전까지 우리나라의 미사일 탄두중량은 500kg, 사거리는 800km로 제한돼 있었다. 사거리가 제한된 상황에서 탄두중량 제한을 해제하는 것이 의미가 있을까. 한미 미사일지침에는 중요한 개념이 포함돼 있다. 바로 ... ...
- [Origin] 어떻게 유전자가 ‘이기적’일까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불러일으켰다. 이 책이 과학분야 베스트셀러 자리를 수십 년째 굳건히 지키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이 책에 대해 열광적인 찬사와 저주 섞인 비난이 동시에 쏟아진다. 누군가에게는 인생관, 가치관, 세계관을 하루아침에 송두리째 뒤바꿔놓은 책이지만, 다른 누군가에게는 인간사의 모든 것을 ... ...
- Part 3. [안내] 사람과 동물 모두를 위한 인공 음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9호
- 축산업은 환경오염에도 책임이!공장식 축산업은 환경오염에도 큰 문제가 되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 해마다 발생하는 가축의 배설물은 4600만 톤이 넘어요. 원래 가축 분뇨는 농사에 거름으로 유익하게 사용할 수 있지만, 너무 많은 가축이 사육되는 오늘날에는 땅과 물을 오염시키는 주범이 되고 ... ...
- Part 3. “나는 ‘과학자 엄마’ 입니다”과학동아 l2017년 09호
- WISET)가 발간한 ‘2015년도 여성과학기술인 양성 및 활용통계 재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이공계 출신 기혼여성 중 비(非)취업자는 43만9300명이다. 이 중 출산과 육아 등으로 직장을 그만 둔 경력단절 여성은 29만7200명으로 70%에 육박한다. 엄마가 된 우수한 여성 과학기술인을 놓치지 않을 ... ...
- [Future] 한국 온 지 9개월, ‘닥터 왓슨’ 뭐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지역별 또는 인종별로 많이 발생하는 암 연구도 가능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위암 환자가 가장 많다. 전문가들은 그 이유로 맵고 짠 음식을 자주 먹는 문화 때문인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미국이나 유럽 등 서양에서는 위암 환자가 많지 않기 때문에, 위암 치료에 있어서는 ... ...
- 여성 최초 필즈상 수상자 미르자카니 눈을 감다수학동아 l2017년 09호
- 원수가 수상자에게 필즈 메달을 수여한다. 2014년 세계수학자대회 및 필즈상 시상식은 우리나라 서울에서 열렸다. 이날 4명의 필즈상 수상자가 나왔다. 마리암 미르자카니 스탠퍼드대 수학과 교수가 그중 한 사람이었다. 미르자카니 교수는 기하학과 곡면의 역학을 다룬 논문으로 연구 업적을 ... ...
- Part 1. Back to the Moon, 다시 불붙는 달 탐사 경쟁과학동아 l2017년 09호
- 로봇 등 새로운 기술을 시험해볼 수 있는 테스트베드가 바로 우주라는 것이다. 그는 “우리나라가 선도할 수 있는 분야를 빨리 찾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실제로 항우연은 개발기간을 2년 더 늘리면서 궤도선의 임무 수명을 3개월에서 1년으로 늘리고, 탑재체 수를 4개에서 2개 더 추가해 총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