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SF 소설] 당신의 신호과학동아 l2021년 07호
- ” “당신 나라와 내 나라는 사이가 안 좋으니까. 전쟁이 일어날 수도 있지.”“만에 하나 그런 일이 생기면 건물은 무너져도 해안선이나 자연환경은 그대로지 않을까? 여기 방파제 자리에서 만나면 돼.” 아버지가 말했다.“내가 안 나타나면 24시간 계속 기다릴 거야?” 어머니가 물었다. “응, ... ...
- [똥손 박 기자의 수학 체험실] 나는야 달콤 젤리 요리사~! 커다란 곰젤리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쉬워요! 슈퍼에서 파는 곰돌이 젤리의 길이는 보통 얼마일까요? 대표적인 곰돌이 젤리 하나를 골라 재보니 세로 길이는 1.5cm, 가로 길이는 0.8cm였지요. 이제 여러 크기의 곰돌이 젤리 틀을 이용해 만든 곰돌의 젤리의 크기를 알아 봐요. 곰돌이 젤리 만드는 방법은 다음 쪽에서 확인하세요. 만든 젤리 ... ...
- [특집] 다양한 지도를 만드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메르카토르의 북극 지도 : 최초로 만들어진 북극의 지리적인 지도. 북극을 4등분 된 하나의 대륙으로 표현하고, 가운데에 우뚝 솟은 검은 바위를 나타냈다. 18세기, 프랑스 카시니의 지도 : 눈으로 보고 만들었던 지도 제작 방식에서 벗어나 최초로 위치, 면적 등을 측정해 만든 지도. 프랑스 카시니 ... ...
- [가상 인터뷰] 참을성 있게 기다리는 갑오징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마시멜로를 먹지 않고 기다리면 마시멜로 두 개를 먹고, 그전에 먹고 싶으면 종을 울리고 하나만 먹는 거야. 일부 아이들은 연구자가 나 가자마자 종을 울리고 마시멜로를 먹었고, 또 어떤 아이들은 참고 기다렸지. 더 큰 보상을 위해 얼마나 기다릴 수 있는지 알아본 거야. 그걸 네가 통과했다고? ... ...
- [질문하면 답해 ZOOM!] 왜 딸꾹질을 하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주저 말고 어과동에 물어봐요! 어과동 기자들이 답을 찾아서 알려 줄게요! Q.왜 딸꾹질을 하나요? 이은성 (eunseongy) A.우리 몸의 횡격막이 경련을 일으키면 딸꾹질을 해요. 횡격막은 가슴과 배 사이에 있는 막으로, 가로막이나 늑막이라고도 불러요. 사람의 폐에는 근육이 없으므로 폐 아래 횡격막과 ... ...
- [특집] 새로운 화폐, CBDC의 등장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보안에 구멍이 생기지 않을까? 오 교수는 “CBDC의 참여자 수는 적지만 그 참여자가 하나은행이나 국민은행 등 상당히 높은 보안성을 띤 기관”이라며 “이 기관들의 보안체계를 동시에 과반 이상 해킹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할 정도로 어렵다”고 말했다. 용어정리* 법정화폐: 정부나 중앙은행이 ... ...
- [하비맨] 하비맨, 국내 1위 오목 기사와 배틀 뜨다?수학동아 l2021년 07호
- 1개, 백돌이 0개이므로 전체 오목판에서 흑돌이 차지하는 비율은 100%입니다. 백돌은 아직 하나도 없으니 0%죠. 백돌이 다음 돌을 놓으면 오목판에 있는 흑백돌의 개수가 같아지므로 흑돌과 백돌의 개수 비율은 모두 50%입니다. 흑돌이 두 번째 돌을 놓으면 흑돌의 비율은 66.7%(3개 중 2개), 백돌의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수도 있는 일이었다. 그렇게 모든 데이터를 쭉 같이 살펴보다가 모순된 데이터를 하나 찾을 수 있었다. 한 논문에서 고토 박사와 핀키엘스테인 교수님은 PER 단백질이 p53 단백질을 안정화한다는 것을 밝혔다. 이 결과를 통해 PER 단백질의 양이 24시간 주기로 변하니 PER 단백질이 많을 때 p53 단백질은 ... ...
- [에디터노트] 사람은 강을 넘지 못하고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그 물가 역시 조만간 공사의 파고에 휩싸일 운명이었습니다.그 때 찍은 남한강 사진 하나를 이번 호 후기(156쪽)에 실었습니다. 지금은 사진을 찍은 정확한 지점이 어디인지 잘 기억나지 않습니다. 기억한다 해도 물가가 달라져 알아보지 못할 것입니다. 11년 사이에 강은 변했습니다.이번 호 특집은 ... ...
- 한강, 그 흐름의 기록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발간된 ‘조선총독부 관보’에도 ‘남한강’이라는 용어가 등장한다. 양평에서 하나의 강으로 합류하는 북한강과 견주어 ‘남한강’이라는 이름이 탄생한 것으로 추측된다. 지금도 편의를 위해 남한강이 더 익숙하게 쓰이지만 2018년 국토교통부는 한국하천일람에서 강원도와 충청북도의 북부를 ... ...
이전1561571581591601611621631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