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생물 주권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 과일 하나 먹으면 안 잡아먹지! 호랑이 농부가 만든 다양한 과일들을 맛보렴. 딸기가 왜 태극기를 들고 있냐고? 우리나라 과일이 생물주권을 지키기 위해 독립운동을 하고 있어. 생물주권을 지키는 길, 함께 따라오라흥!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특집]생물주권을 지켜라!Part1. 딸기 독립 ... ...
- [기획] 동물도 쓴다! 사투리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발성 학습이 일어나는 동물에서 발견됩니다. Q새는 왜 사투리를 쓰나요?여러 가설 중 하나는 사투리를 통해 소속감을 확인하기 위해서예요. 서로의 음색과 톤을 확인해 가족인지, 적인지를 확인하죠. 두 번째는 영역을 지키기 위해서예요. 집단의 대화 유형을 알아야 갈등을 해결할 수 있어요. 세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청소 대신해 줌! 로봇 팔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잘 연결하는 것도 중요해요. 모터에 연결된 빨간색 전선과 건전지 통의 빨간색 전선이 하나의 금속에 연결해야 해요. 또 검정색 전선은 검정색끼리 고정돼야 하지요. 부품을 다 조립하고 같은 색끼리 전선까지 연결했다면 로봇 팔 완성! 자, 이제 로봇 팔을 움직여 볼까요?! 건전지 통에 있는 두 개의 ... ...
- [통합과학 교과서] 기억력을 높이는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6호
- 학습과 기억은 대뇌 안에 있는 해마가 담당하고 있어요. 해마는 좌뇌와 우뇌에 각각 하나씩, 총 한 쌍이 있습니다. 단면이 바다 생물 ‘해마’를 닮아서 붙여진 이름이지요. 해마가 학습과 기억력을 담당한다는 사실은 1953년에 처음 발견되었어요. 당시 의사는 발작 증세를 보이던 환자 헨리 ... ...
- 사람 발길 닿지 않는 곳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주력했다. 하지만 각 문화권마다 토지를 이용하는 방법도 달랐고, 통계도 일정치 않았다. 하나의 지도에 합쳐놓기 어려우니 한눈에 파악하기도 어려운 노릇이었다.그러던 2002년, 인간발자국(human footprint)이란 개념이 등장했다. 인구 밀도, 토지 변형, 전력 사용 등 환경에 영향을 주는 인간의 행동을 ... ...
- [한페이지 뉴스] 척추동물 16종 완전한 표준유전체 공개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유사 유전자는 허위 소실 오류와 허위 중복 오류가 모두 존재할 뿐만 아니라, 유전체가 하나의 큰 덩어리로 조립되지 못한 단편화 오류까지 있어 유전자가 원래 크기보다 작은 두 개의 유전자로 쪼개진 것처럼 오인돼 왔다. 김 교수는 “표준유전체가 유전자의 위치와 역할을 알려주는 ... ...
- [긱블x과학동아] 게임 속 지팡이의 화려한 변신, 버블건 & 5연발 리볼버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맞춰 탄창 중심부에 다섯 개의 작은 홈을 동그란 형태로 팝니다. 그리고 그 홈에 쇠 구슬 하나를 얹어놓고 스프링으로 밀착합니다. 그러면 회전식 탄창이 쇠 구슬에 걸려 마구잡이로 돌아가지 않고 고정되죠. 회전식 총탄을 강제로 돌려도 쇠 구슬은 스프링이 누르고 있어서 바로 옆에 난 홈 정도밖에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로봇공학전공, 초음파 영상에 '접묘법'을 들이다과학동아 l2021년 06호
- 처리 방법을 개선한다면 형태 외에 다양한 정보를 추가로 얻을 수 있다. 유 교수는 “하나의 장비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중 모드 초음파 영상진단장치를 개발하고 있다”며 “이전에는 잡음으로 취급받던 신호를 어떻게 분석하는지에 따라 가치 있는 정보가 되기도 한다”고 말했다 ... ...
- [기획] 폐기물의 마지막 종착지, 매립지과학동아 l2021년 06호
- 발생하지 않도록 막고, 매립가스가 밖으로 새는 것을 방지한다.이런 과정을 거쳐 하나의 매립지가 가득차면 마지막으로 최종 복토층을 덮는다. 아래에서부터 물이 잘 통과하지 않는 점토를 45cm 두께로 덮은 차수층, 부직포를 깔아 배수를 돕는 배수층, 그리고 식물이 자랄 수 있도록 양질의 흙을 60cm ... ...
- [수학체험실] 비틀비틀 공처럼 구르는 '스피리콘'수학동아 l2021년 06호
- 접한 채로 또 다른 스피리콘이 회전할 수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테트라 스피리콘 하나의 면을 따라 최대 여덟 개의 스피리콘이 동시에 회전할 수 있다.또 스피리콘을 평면에서 굴리면 중심이 좌우로 크게 흔들리면서 똑바로 나가는데, 바로 옆에서 보면 스피리콘 중심의 높이가 항상 일정하다.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