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소
스페이스
공백
여지
간격
빈틈
자리
d라이브러리
"
공간
"(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4. 누리안호를 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8호
낮춰 질소기체가 안전하게 몸에서 빠져나가도록 돕는 역할을 하는 거예요. 챔버의
공간
은 매우 넓어서 잠수사들이 장기간 머물며 숙식도 할 수 있다고 해요.잠수사가 흙을 쓸어내고 접시를 그물주머니에 담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보며 대화를 해 보는 체험은 매우 특별했어요. 발굴한 유물을 배 ... ...
[과학뉴스] 바퀴벌레 로봇이 사람을 구한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개의 판을 겹쳐서 충격에 강하면서도 구부렸다 펼 수 있도록 만든 거예요. 또한 좁은
공간
을 잘 통과하도록 다리가 180°로 벌어지게 만들었답니다.바퀴벌레의 특성이 고스란히 담긴 크램은 앞으로 재해가 발생했을 때 사람을 구조하는 로봇으로 활용할 예정이에요 ... ...
Part 4. 자동차, 환경을 지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때문이지요. 또한 엔진 대신 전기모터를 사용해 조용하고, 연료 탱크가 필요 없어 내부
공간
이 넓다는 것도 장점이랍니다.일반적인 자동차들은 화석연료를 태워서 얻는 에너지를 이용해 동력을 만들어요. 이 과정에서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발생하지요. 하지만 전기자동차는 전기로 모터를 돌려 ... ...
[도전! 코드마스터] 장애물을 피해 피아노를 옮겨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프로그래밍으로 만든 가상의
공간
안에서 로봇의 이동 경로를 찾아내는 거지요. 이
공간
에서 가상의 로봇은 몇 천 번, 몇 만 번씩 길을 계속 탐색하며 가장 좋은 경로를 발견할 수 있어요. 그것도 빠른 속도로요!이처럼 운동 계획 문제는 작게는 집안의 가구를 옮기는 문제에서, 넓게는 무인 공장을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뜻밖의 범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7호
얻은 부분은 가벼워져서 위로 상승하게 돼요. 그럼 위에 있던 차가운 분자들이 아래의 빈
공간
으로 밀려 내려와요. 이렇게 열을 받은 분자들이 이동하며 전체에 열을 고루 전달하는 과정을 ‘대류’라고 해요.지구를 둘러싸고 있는 공기층인 ‘대기’는 햇빛이나 땅에서 올라오는 열 때문에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공중의 ‘공(空)’은 구멍을 의미하는 ‘혈(穴)’과 소리를 나타내는 ‘장인 공(工)’이 더해진 글자예요. ‘공(工)’은 도구를 이용해 무 ... 시간을 의미하는 글자가 되었어요. 그리고 두 글자가 합쳐져 ‘만물을 포함하는 무한한
공간
과 시간의 모든 것’을 뜻하는 ‘우주’가 되었답니다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섭섭박사를 공중에 띄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OHP 필름으로 만든 기울어진 면이 투명한 막 역할을 해요. 그래서 피라미드 안쪽
공간
에 마치 섭섭박사님이 둥둥 떠 있는 것처럼 보이는 거랍니다. 착시로 만든 공중부양이지요.다양한 공중부양 실험을 하는 모습과 실험 결과를 홈페이지에 올려 주세요. 멋진 실험 모습을 뽑아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의문의 쪽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6호
6분의 1 정도인 달에 가면 몸무게도 그 만큼 줄어들어요. 그리고 중력이 아예 없는 우주
공간
에서는 몸무게가 0이랍니다.중요한 점은 몸무게는 상황에 따라 계속 줄어들지만 몸은 전혀 변하지 않았다는 거예요. 이렇게 사람이나 한 물체가 가지고 있는 고유의 양을 ‘질량’이라고 해요. 중력의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사라진 이모의 행방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5호
잡아먹을 확률이 높기 때문이에요. 몸집이 큰 숙주로 옮겨간 스파르가눔은 더 넓은
공간
에서 더 많은 자손을 퍼뜨릴 수 있지요.과학자들은 스파르가눔이 분비하는 성장 촉진 물질을 사람이 활용할 수 있도록 연구 중이랍니다 ...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4호
중력과 밀도를 측정해 보니 그 값이 매우 낮았어요. 소행성을 이루는 알갱이 사이에
공간
이 많았거든요. 이건 아주 작은 알갱이들이 작은 중력으로 서로를 끌어당기며 뭉쳐서 큰 소행성이 됐다는 증거랍니다. 지금은 태양계에 있는 대부분의 소행성이 이런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을 거라고 추정하고 ... ...
이전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