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간"(으)로 총 5,5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아름다운 수학을 탐험하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박사 후 연구원 | 2016 ~ 고등과학원 조교수 | 연구 분야 : 수리물리학, 타이히뮐러 공간, 표현론. 최근에는 그날그날 재미있는 것을 연구. | 취미 : 미국에 있을 때는 양궁, 축구. 최근에는 독서와 드럼.고등과학원(KIAS) 수학부 김현규 교수는 바로 올해, 2016년 상산 젊은 수학자상 수상자다. 인터뷰를 위해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처음 계획했다. 야생식물은 쉽게 말해 ‘잡초’다. 일부러 많은 돈을 들여 지하공간을 파내면서까지 잡초의 종자저장고를 만든 이유가 뭘까. 김재현 산림청 산림복지시설사업단 시설과 연구관은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는 주로 식량작물의 종자를 보관한다”며 “야생식물은 식량작물보다 ... ...
- [Tech & Fun] 디즈니 리서치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창가를 따라서 연구실과 회의실이 스무 개 정도 쪼르르 늘어서 있습니다. 안쪽에 열린 공간은 인턴들이 사용합니다. 연구실의 문은 넓은 통유리로 돼 있어 안이 훤히 들여다보인다고 해요. 누가 어떤 연구를 하는지 쉽게 알 수 있겠죠. 연구실은 연구원들의 취향에 따라 꾸며져 있는데, 선반 하나를 ... ...
- [수학동아클리닉] 여러 가지 문제 해결하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스도쿠와 비슷한 논리로 해결하는 ‘네모네모로직’이 란 게임도 있습니다. 추리력과 공간지각력을 키우는 데 좋습니다. 플렉사곤(flexagon)은 긴 띠 모양의 종이를 접어 만든 다각형 또는 다면체 모양의 장난감입니다. 구부렸다 펼칠 때마다 가려져 보이지 않던 새로운 면이 나오는 신기한 ... ...
- [수학동아클리닉] 대나무로 이해하는 입체도형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잘 휘어져 구조물을 쉽게 만들 수 있다.이러한 다면체 구성 작업은 막연하게 느꼈던 공간과 입체에 대한 새로운 경험이 될 수 있다. 아울러 대나무로 만든 구조물은 실내 장식 등으로 다양하게 쓸 수 있다. 이 수업은 자유학기제 주제선택프로그램, 영재교육에서 기본 원리를 가르칠 수 있는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지진파를 이용해 백두산 아래에 서울시의 2배가 넘는 면적(1256km2)을 가진 공간이 있고, 그 속에 마그마가 존재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논란 지진파 상으로 물성이 다른 부분을 모두 마그마 방으로 통칭할 수 있는가에 대한 논란이 있다. 마그마가 2~9% 포함된, 스펀지 같이 구멍이 뚫린 ... ...
- [News & Issue] 최순실 PC,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운영체제가 작업을 수행하고 있지 않을 때, 기존에 삭제했던 데이터를 영구히 지워 저장 공간을 확보하는 작업이다. 정보 저장 장치로 하드디스크가 아닌 SSD(Solid State Drive)를 사용하는 PC나 태블릿 PC에 필요한 기능으로, 데이터의 모든 기록을 그때그때 삭제함으로써 정보 처리 속도를 높인다. ... ...
- Part 3. 진단부터 치료까지 프랙탈 의학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알 수 없다. 이때 건강하게 남아 있는 조직의 프랙탈 법칙을 분석하면 비어 있는 공간의 구조도 추측할 수 있다. 황 박사는 “폐기종뿐만 아니라 혈관이나 기도처럼 프랙탈 구조를 띤 다른 부위가 손상됐을 때도 같은 방법으로 인공장기 설계도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프랙탈이 현대 의학에 ... ...
- Part 1. 제2의 지구를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어요. 왜 이렇게 많은 사람들이 제2의 지구에 관심을 기울이는 걸까요?지구는 무한한 공간이 아니에요. 지구에 사는 사람들이 환경오염을 걱정하는 것도, 우리가 자원을 아껴 써야 하는 것도 지구에 있는 자원의 양이 이미 정해져 있기 때문이죠.하지만 지구의 인구가 꾸준히 늘어나면서 자원 ... ...
- [지식] 빛과 거울, 명작의 비밀병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명암의 대비가 강하게 드러난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얼굴만 밝게 밝히고, 나머지 공간은 어둡습니다. 오닐은 렘브란트 초상화의 배경이 모두 어두워 암실처럼 캄캄한 곳에서 그림을 그렸다고 추측하는 것이지요.초상화 속 렘브란트의 시선을 보세요. 중심에서 벗어나 있습니다. 그림에서 정면이 ... ...
이전1591601611621631641651661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