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7"(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알고 보면 2배로 재밌다! 수학으로 보는 스타워즈수학동아 l2020년 01호
- 작았다. 출신 행성은 총 294개였고 640개의 서로 다른 집단에 속했다. 제다이 기사단에는 1367명이 속했고, 다스 베이더와 함께 타락한 제다이 기사인 시스는 724명이 등장했다. 스타워즈 세계관의 시간은 3만 6000년스타워즈 이야기가 펼쳐진 시간이 무려 3만 6000년이나 된다는 것도 밝혔다. 또 연구팀은 ... ...
- [신년기획] 내 이름은 ‘쥐D’, 인간 질병 대신 앓쥐, 그렇게 인류를 구하쥐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실험동물은 372만7163마리로 조사됐습니다. 그중 저를 포함한 설치류가 무려 84.1%(313만3927마리)를 차지했죠. 설치류 안에서도 우리 같은 쥐가 73.5%(273만9198마리)로 가장 많고, 래트, 기니피그, 햄스터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핵인싸 비결이 하나 있기는 해요. 우리가 번식 ...
- 곡물 고기는 진짜 고기 맛 날까?과학동아 l2020년 01호
- Food Institute)와 시장조사기관인 이노바마켓인사이트(Innova Market Insights)의 조사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전 세계 육류 생산량은 돼지고기 1억1100만t(톤), 가금류 9050만t, 소고기 6130만t 등 총 2억6280만t에 달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한 2018년의 육류산업 규모는 약 1001조1293억 원이 ...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1단이 외나로도에 오던 날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상세하게 분석해 보니 1단에 해결해야 할 기술적 문제가 남아있더라는 내용이 2009년 7월 30일 언론에 보도된 것이다. ‘러시아를 믿을 수 없다. 한국이 당했다’는 논조였다. 8월 4일 부랴부랴 나로우주센터에 머물고 있던 러시아측 책임자를 만나 러시아 연구자들이 별도로 수행한 지상연소시험의 ... ...
- [일본유학일기] 오타쿠의 성지로 유학 간 성공한 덕후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창원과학고 학생들은 대부분 2학년 때 조기 졸업을 한다. 그래서 대개 2학년 여름인 6~7월이 되면 슬슬 입시 준비를 시작한다. 내가 선생님께 교무실로 ‘소환’된 건 이때였다. 학교 자율학습실에서 친구들은 모두 고교 ‘필수템’인 ‘수학의 정석’에 얼굴을 파묻고 수학 문제를 풀고 있었다. 나는 ... ...
- 칠교놀이 한판 승부수학동아 l2020년 01호
- 넓이가 같다는 것과, 반대로 넓이가 같으면 분할합동이라는 것을 증명했어(77쪽 참조). 비슷한 시기에 프로이센의 수학자 파울 게르빈과 헝가리 수학자 보여이 퍼르커시도 서로 다른 방법으로 이 문제를 증명했어. 그래서 이 정리를 ‘월리스-보여이-게르빈 정리’라고 불러.이렇게 모든 문제를 ... ...
- 소프트웨어와 촉감으로 정교해진다! 휴머노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한국과학기술원 기계공학과 김정 교수는 “사람의 손에는 촉감 수용기가 약 1만 7천 개 있지만, 로봇 손은 비용 탓에 많아야 십여 개의 센서를 손가락 끝에만 달고 있다”며, “현재 구현된 촉감은 사람의 30% 수준”이라고 말했어요.이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교수팀은 지난해 8월 센서 수가 적어도 ... ...
- [이달의 과학사] 주세페 피아치, 최초의 소행성 ‘세레스’를 발견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9세기 초까지 인류가 태양계에서 발견한 행성은 수성부터 천왕성까지 7개! 행성의 궤도를 연구하던 천문학자들은 화성과 목성 사이에서 넓은 공간을 발견했어요. 천문학자들이 발견한 법칙에 의하면 그 자리에 분명히 행성이 하나 있어야 했죠. 그래서 헝가리의 천문학자 프란츠 자베르 폰 자크는 ... ...
- [한페이지 뉴스] 대왕고래가 지상 최대 동물에 등극한 비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몸길이는 30m, 몸무게는 100t(톤)에 이른다. 육상동물 중 가장 큰 코끼리(몸길이 5~7m)의 4배가 넘는다. 대왕고래가 이같이 큰 몸집을 가지게 된 이유는 오랫동안 미스터리였다. 그런데 최근 국제공동연구팀이 고래의 먹이 사냥 패턴을 분석해 이유를 알아냈다. 제레미 골드보겐 미국 스탠퍼드대 ... ...
- 영화처럼, 정말 백두산이 폭발한다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상황이 겹쳐 지금은 어느 쪽으로도 허가가 나지 않고 있다. 백두산 남북공동연구는 2007년과 2011년, 2015년 총 세 차례에 걸쳐 협의가 있었지만, 안타깝게도 모두 무산됐다. 현재 남한 연구팀은 북한과 공동연구를 하는 국제 연구그룹인 백두산지구과학그룹(MPGG·The Mt. Paektu Geoscientific Group)을 통해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