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칠
세븐
일곱
d라이브러리
"
7
"(으)로 총 10,332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 속 동물 찾기] 제주 바닷길 따라 한가득 … 까마귀쪽나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해안가를 가본 적이 있다면 까마귀쪽나무를 한 번쯤 봤을지도 몰라요.
7
m의 큰 키로 자라나는 까마귀쪽나무는 소금이 섞인 바닷바람을 쐬어도 잘 자라 해안가의 가로수로 많이 쓰이거든요. 제주도에는 까마귀쪽나무의 방언인 ‘구럼비낭’과 이름이 비슷한 ‘구럼비’라는 지역이 있는데, ... ...
[지사탐 수료식] 전국의 시민과학자 모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수료 대원도 역대 최대!“일단 박수부터 치고 시작할까요?”2부 지구사랑탐사대
7
기 수료식의 사회를 맡은 지구사랑탐사대 서경애 매니저의 말에 대원들이 서로를 칭찬하며 훈훈하게 행사가 시작됐어요. 올해 지구사랑탐사대의 탐사 기록은 1만
7
800여 건으로 역대 최대를 달성했고 서울시환경상 ... ...
[과학뉴스] ‘우주 불꽃놀이’ 감마선 폭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있는 전파망원경 ‘매직’으로 지난 1월 발생한 감마선 폭발 ‘GRB 190114C’와 지난해
7
월 관측한 ‘GRB 180
7
20B’를 분석했어요. 막스플랑크핵물리연구소 루이즈 벨라스코 연구원팀은 나미비아에 있는 전파망원경 ‘헤스’로 GRB 180
7
20B를 관찰하고 분석했지요.감마선 폭발은 별이 충돌하거나 블랙홀이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탱글탱글 톡톡! 먹는 물병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4호
수 없는 우주에선 필요한 것을 직접 만들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이 꼭 필요해요.지난
7
월, 유럽우주국(ESA)과 독일 드레스덴공과대학교 공동연구팀은 우주에서 3D 프린터를 이용해 피부와 뼈를 출력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우주 환경에서 3D 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해 인간의 ... ...
[가상인터뷰] 쥐사슴, 그동안 어디 있었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3호
3대의 트랩 카메라를 나무에 설치해 쥐사슴 사진 2
7
5장을 찍었어. 이후 집중 조사를 위해
7
월까지 같은 장소에 카메라 29대를 추가로 설치했고, 1881장의 사진을 더 얻을 수 있었지.세계야생생물보존협회는 이 자료를 바탕으로 쥐사슴에 대한 조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어. 수집한 모든 정보를 ... ...
자율주행차 안전성 높이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3호
‘차량사물통신(V2X)’ 기술에 주목하고 있어요. 이 기술은 2000년대 초부터 논의돼 2010년
7
월 미국에선 차량끼리 서로 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차량 이동 환경에서의 무선엑세스(WAVE)’가 만들어졌어요. 하지만 WAVE는 통신 속도가 느려 차량끼리만 통신할 수 있어요. 그래서 연구자들은 차량이 다른 ... ...
[핫이슈] 미래의 과학자를 꿈꾼다, 메이커 페어 타이베이 체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3호
육성 프로그램이다. 수개월 동안 소프트웨어 교육을 받은 1000여 명의 친구들 중 지난
7
월 ‘하인슈타인 올림피아드’에서 대상을 수상한 두 팀이 이번 ‘메이커 페어 타이베이’에 참가했다 ... ...
[과학뉴스] 핀란드 해변을 덮은 몽글몽글한 알의 정체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3호
담고 있어요. 얼음 알은 달걀 크기부터 지름 1m에 이르기까지 아주 다양했지요. 11월
7
일, 핀란드의 아마추어 사진작가 리조 마틸라와 그의 아내가 핀란드 하일루오토 섬 마르자니에미 해변을 방문했다가 이 사진을 찍었어요. 사진 속 수천 개의 얼음 알은 어디에서 온 걸까요?사진을 찍을 당시 ... ...
[과학뉴스] 지구사랑탐사대, 서울시 환경상 최우수상 수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3호
동아사이언스 장경애 대표는 “지구사랑탐사대 탐사대장인 장이권 교수를 포함해
7
년간 함께한 과학자와 1만여 명의 대원들께 감사 인사를 전하고 싶다”는 소감을 밝혔어요. 이어 “지구사랑탐사대는 미래세대인 어린이들이 지구를 탐험하면서 기후변화 문제 해결에 필요한 문제의식을 나누고 ... ...
우주의학 연구에 여성을 빼먹지 마!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22호
쥐만 대상으로 한 연구였어요. 연구팀은 암컷 쥐에게도 우주방사선과 비슷한 방사선을
7
분간 쏜 결과, 암컷은 전혀 그렇지 않다는 걸 밝혔지요.원인은 미세아교세포*의 성차에 있었어요. 뇌와 척수에 있는 미세아교세포는 방사선을 쬐면 흥분하며 주변 조직에 염증을 일으켜요. 연구팀은 수컷 쥐의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