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문제 투성이의 학습자료와 학습방법 흥미있는 지구과학이 지루한 과목으로…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학생들은 이러한 문제점을 오랫동안 느껴왔던 것이다.1989년 4월, 36명의 현직교사와
대학원
생들을 중심으로 하여 구성된 '지구과학교사회'에서는 지구과학 교육에 있어서의 제반 문제점과 그 대책을 연구, 실천해오고 있다. 여기서는 과학교육과정상의 문제점을 거론하기에는 부적합하다고 ... ...
북한의 과학기술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각 대학 및 과학원산하 각 연구소에 박사원과 연구원이 설치되고 있다. 한국의
대학원
에 해당되는 이들 기관은 박사원 10개 연구원 53개소에 이른다.학사과정연구생은 입학 후 2년 이내에 학사학위논문제출 자격시험에서 전과목에 걸쳐 통과되어야 하고 정해진 연구기간이 끝나기 3개월 전에 소속 ... ...
공간을 넘어 우주로의 시간여행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질문받은 우주여행에 대해 답을 준비했다. 쏜은 잠시 생각한 후 '칼텍'(Caltech)의
대학원
생들에게 그것을 숙제로 냈다.그 문제는 '벌레구멍'(wormhole)에 관계된 것이었다. 이는 물론 지구상의 벌레구멍이 아니고 우주공간상의 한 곳으로부터 다른 곳으로 터널이 뚫려있는 것을 뜻하는 우주적인 벌레구멍 ... ...
공학도의 작은 변신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일정한 간격이 있어 보이는 유전·생물공학에 입문하면서…4년의 대학생활을 마치고
대학원
생이 된 지도 벌써 7개월이 되었다. 관악산을 등산하는 기분으로 걸으면서 제2의 보금자리인 유전·생물공학 실험실로 향한다. 머리 속으로는 오늘 해야될 실험을 구상한다. 이런 나의 모습을 보면 분명히 ... ...
바람의 과학 그 천태만상의 해부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바람은 에너지가 많은 지역의 공기가 부족한 지역으로 이동할 때 발생한다. 지구상의 수많은 종류의 바람은 어떻게 발생하고 인류에게 어떤 영향을 주나.바람은 인류 역사이래 항상 존재해 왔으며 인간에게 여러 면에서 영향을 주어 왔다. 유익함을 줄 때도 있었고 어느 때에는 신이 주는 벌로써 받 ... ...
환경과 공해연구회
과학동아
l
1989년 09호
벌이고 있다. 연구회원의 수는 현재 30여명에 이르는데 절반이상이 자연과학계
대학원
생들이고 일부 직장인과 주부들까지고 포함돼 있다고 한다.연구회원들은 각자 자신의 관심분야에 따라 환경보건 환경정책 환경기술 핵 등 4개분과로 나뉘어 활동한다.환경보건분과는 현재 가장 활발한 활동을 ... ...
변리사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뚜렷이 알지 못했었다.20년만에 다시 대학, 이 나이쯤에 통상 이름이나 걸어두는 무슨
대학원
이나 무슨 최고경영자 과정이 아니라 전자공학과의 학부를 다니면서 배우듯이, 변리사시험에 합격하고 4년 가까이 지난 지금도 새로운 직업에 대해 수습과정에 있는 느낌이다.어쩌면 나는 변리사란 직업을 ... ...
중국의 과학기술 정책
과학동아
l
1989년 08호
걸려서 만든 과학기술훈련기관이다. 이 센터의 강사진은 모두 미국인이다.고급인력은
대학원
에서 석사와 박사를 양성하고 있으며 그 외에 현재 약 3만명을 해외에 유학도 시키고 있다. 많은 인력이 해외연수를 하도록 하는 것은 중국개방정책의 하나다. 해외연수 폭이 넓어질수록 외국과의 유대가 ... ...
말썽많던 KAIST 연구부·학사부로 갈라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분리 운영되는 것은 있을 수도 없고 있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다.'과 대 과' 통합이란
대학원
지도와 학부지도를 번갈아 가면서 하고, 연구시설을 공유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연구시설면만을 본다면 서울캠퍼스 활용이 결정되면 자연스럽게 해결되지만 과기대교수들은 이 문제가 해결되지 ... ...
소련·루마니아·불가리아 과학기행 특색있는 제도와 내용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of Science)에 해당한다. 이 학위는 지원자 제도(Aspirantura)제도에 의해 수여되기 한다. 즉
대학원
강의를 받지 않았을지라도 논문을 제출하거나 기존 학술논문을 공부하는 것만으로 학위를 받을 수 있다.요즘에는 보(Soiska1stvo)과정을 통해서도 과학후보자 학위가 주어진다. 즉 연구소의 연구원이 소정의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