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부
전문학부
d라이브러리
"
대학원
"(으)로 총 1,736건 검색되었습니다.
20세기 최대의 과학계획 초전도 거대가속기는 왜 필요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모습을 보여주는 것이다. 반면 '페르미'연구소의 경우처럼 가속기에는 수백명의 교수와
대학원
생들이 참여해 각기 거대연구사업의 작은 한 부분을 맡아 일하고 있다.전체 연구계획을 책임지고 있는 지도학자는 과학을 하기보다는 관리기능과 여러가지 번잡스런 사무처리에 매달리게 된다. 이것이 ... ...
이상희 과학기술처 장관 "10만 양병이 절실한 시점입니다"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증가에 따라 희석된 것은 사실입니다. 또 일반대학에 대한 정부지원 강화로 타
대학원
의 전체수준이 향상, 과기원의 인기가 상대적으로 떨어지고 있는 것으로 보이나 우려할정도는 아닙니다."―그러면 과기원의 질적수준유지를 위해 어떤 일을 하고 있나요?"대덕이전을 계기로 과학고-과기대 ... ...
대학컴퓨터기술연구소 설립
과학동아
l
1989년 06호
전자공학과 계산통계학과등 컴퓨터관련 7개학과와 전국 13개대학 전산관련학과 교수와
대학원
생을 주축으로 4백명 규모로 설립될 예정이다.연구소의 위치는 서울대 전자계산소내로 하며 기초연구부 신기술연구부 응용연구부 교육지원부 등 5개 부서를 두고 연구분야로는 ▲컴퓨터아키텍처 ... ...
과학에세이 인공지능의 허와 실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인공지능은 인간과 똑같은 능력을 가진 기계를 만드는 것도 아니며, 껍데기만 인간을 흉내내고 속은 텅빈 꼭두각시를 만드는 것도 아니다.일반적으로 기계는 반복적인 작업 또는 주어진 제약 조건 아래서 어떤 융통성도 갖지 않는 작업을, 인간보다 훨씬 잘 수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컴퓨터의 ... ...
AIDS보다 무서운 질병 유행성출혈열과의 한판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위해 나는 의대를 졸업하던 해인 1954년에 다시 서울대
대학원
미생물학과에 입학하였다.
대학원
에서 나는 저명한 미생물학자이신 기용숙교수 밑에서 1년반 동안 미생물에 대한 기본지식과 연구방법 등을 배우면서 조교로 일하고 있었다. 그러던 중 나는 운좋게도 1955년 9월, 교환교수의 일원으로 ... ...
전자제품의 정밀화 소형화에 기여
과학동아
l
1989년 04호
판의 두께를 임의로 조정할 수 있으며, 세째 전기전도도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1974년
대학원
논문 연구테마로 관심을 두었다가 국내 최초개발의 주역이 된 김윤근박사는 PCB의 장래를 이렇게 진단한다."전자제품이 소형화 정밀화되고 회로망의 간격이 좁아져 더욱 얇은 동박이 요구되고 있다. 이번에 ... ...
국산로봇개발 10년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자동화공학과 등을 손꼽을 정도이다.그나마 대학을 졸업하는 인력들조차 해외유학이나
대학원
에 진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기업체에서는 전문인력을 구하기가 무척 어렵다고 관계자들은 말한다.둘째 선진국들이 국가차원에서 대규모 프로젝트를 마련해 집중적으로 미래형 로봇을 개발하고 ... ...
부자(父子)가 경영하는 전문소프트웨어사 컴퓨터 재벌의 기초를 다진다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시설투자에 들어갔다고 한다. 이런 조건 때문인지는 몰라도 본인도 그렇고 아버지도
대학원
에 진학, 공부를 계속하는 쪽으로 기울고 있다.'월수입 2백만원 이상을 올리는 컴퓨터의 귀재'라고 주위에 알려져 있다고 하자 "그렇게 돈을 버는지는 모르겠고 귀재는 무슨 귀재냐. 앞으로 잘하라는 뜻으로 ... ...
좋아하는 과목을 집중적으로 하면서…
과학동아
l
1989년 01호
분야를 스스로 찾아 공부해야만 했다.대체로 우리 과의 학부생들은 거의 전원이
대학원
에 진학, 새로운 길을 개척하는 개척자가 된다. 공부의 난이성은 기타 다른 공학들에 비해 결코 떨어지지 않는다.●―또 한차례의 선택 앞에서또 우리 과는 자연과학의 거든 모든분야에서의 잔 지식이 필요하며 ... ...
희귀학과 전성시대
과학동아
l
1988년 12호
것이다.그러나 이에 대해 반론을 펴는 학자들도 있다. 보다 세분되고 전문화된 교육은
대학원
에서 담당하고, 대학에서는 학문범위를 되도록 넓게 해야 한다는 것이 그들의 주장이다. 또 그들은 "미국의 유수 대학들은 대학시절에 전공을 세분화 하지 않는다"고 예증한다.또 학과의 '세분화'는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