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브릭에 담긴 숫자의 마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틈이 생기기 때문이에요. 레고가 만드는 브릭은 오차가 0.005mm 이하로, 머리카락 굵기인 0.1mm보다도 작다고 해요. 레고는 하루아침에 탄생하지 않았어요 레고는 원래 나무로 장난감을 만들던 회사였어요. 덴마크의 목수였던 올레 키르크 크리스티안센과 그의 아들 고트프레드 키르크 ... ...
- [별별 우주기네스] 가장 거대한 행성을 찾아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않는 물체의 고유한 양을 말해요. 어떤 물체의 무게를 결정하지요. 목성의 질량은 1898.19x10의 24제곱kg(킬로그램)으로, 지구보다 무려 317.83배나 무거워요. [우주기네스2] 우주에서 가장 큰 ‘HD 100546b’ 이번엔 우주에서 가장 큰 행성을 알아볼까요? 우주에서 가장 큰 ...
- [기획] 카마이클 수 비밀을 밝히다!수학동아 l2022년 12호
- 1910년 미국 수학자 로버트 다니엘 카마이클이 처음으로 카마이클 수의 최솟값이 561이라는 것을 알아내 그의 이름이 붙었어요. 수학자들은 카마이클 수가 소수의 또다른 성질을 만족하는지 연구했습니다. 그러다 1994년 2와 4 사이에 소수 3이, 10과 20 사이에 소수 11, ...
- [특집] 비눗방울 3개 문제는 ‘입체사영’으로 해결!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제시한 다음 추측을 문제를 푸는 데 적용했어요.구하려는 차원이 a라면 a+1차원에서 n+1개 비눗방울을 뭉친 뒤, ‘입체사영’ 시켰을 때 나오는 모양이 최소 표면적이 되는 모양이다.입체사영은 기하학에서 공간에 있는 도형을 한 차원 낮은 도형으로 변환해 분석하는 방법이에요. 쉽게 설명하면 ... ...
- [특집] 비눗방울 어디에나 있다!수학동아 l2022년 12호
- 만들었어요. 컴퓨터 모의실험으로 비눗방울이 만드는 구조를 이용해 14면체 3쌍과 12면체 1쌍을 결합해서 기본 형태를 만들고 반복되는 입체 구조를 만든 거예요. 이 구조는 다양한 건축물과 미술 작품에 활용되고 있어요. 중국 베이징에 있는 국립수영장 ‘워터큐브’가 웨이어-펠란 구조를 활용해 ... ...
- [역설 나라의 앨리스] 제 11장. 선택 공리가 만드는 역설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원소를 가집니다. 양의 정수 집합의 최소 원소는 1이고, 음의 정수 집합의 최소 원소는 -1이지요. 순서 →b와 같이 최소 원소가 항상 존재하는 순서를 ‘정렬 순서’라고 부릅니다. 이제 오늘의 수수께끼가 나갑니다. 실수 집합은 정렬 순서를 가집니다. 그런데 정말 이상하게도 실수 집합의 정렬 ... ...
- [가상인터뷰] 숲과 생태계를 지키는 박쥐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숲이에요. 박쥐 중 동굴을 아예 이용하지 않는 종이 많고, 이용한다고 하더라도 1년 내내 동굴생활을 하는 박쥐는 정말 소수종에 불과하죠. 대다수의 박쥐는 숲에서 살며 먹이 활동을 해요. Q 숲에서 어떤 먹이를 먹나요?열대지역에 사는 박쥐들은 꿀이나 물고기를 먹기도 하지만, 온대지역의 박쥐 ... ...
- 블랙홀 씨, 우리 밥 한번 먹죠과학동아 l2022년 12호
- 표현은 최근 자주 들어 익숙할 것이다. 이를 제목으로 한 가수 윤하의 노래가 음원차트 1위를 차지하며 인기를 끌고 있다. 원래 이 용어는 일반상대성 이론에서 내부의 사건이 외부에 영향을 줄 수 없는 경계면을 부를 때 쓰는 말이다. 블랙홀에선 탈출 속도가 광속보다 커져 빛을 포함한 어떤 ... ...
- 지구사랑탐사대, 10주년을 맞다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에코과학부 교수팀이 시작한 시민과학 프로젝트이다. 처음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으로 지정된 희귀 양서류인 수원청개구리를 관찰하고 지키는 활동으로 시작했다. 현재는 귀화식물, 화분매개자를 포함해 매미, 제비, 박쥐 등 17종에 이르는 생물을 탐사하는 프로젝트로 커졌다. 지난 10년 동안 ... ...
- [5년 후 과학] 나만의 맞춤 구름 모바일 클라우드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우리나라의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반 기 술인 5G, 6G 통신 기술 분야에서 세계 1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이 분야의 한 연구자로서 대한민국이 새로운 모바일 클라우드 기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앞으로도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필자소개.송재승. 세종대 정보보호학과 교수. 199 ... ...
이전15815916016116216316416516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