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 [옥스포드대 수학 박사의 수학 로그] 4화. 수학자의 연구 여행기, 41년 역사의 군론학회 GSA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자극을 받았습니다. 2021년보단 코로나19 상황이 나아졌지만, 그래도 여전히 코로나19가 영향을 미쳐 이번 GSA에 많은 사람이 참석하진 못했습니다. 이런 힘든 상황 속에서도 학회를 열기 위해 노력한 많은 수학자 덕분에 GSA 전통을 계속 이어갈 수 있는 것 같습니다 ... ...
- [기획] 지구온난화, 화산폭발 감시한다! 소리 터널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기사를 보려면? Intro. [기획] 지구온난화, 화산폭발 감시한다! 소리 터널Part1. [기획] 바닷속 소리터널 지구 온난화 진행 상황을 알려준다!Part2. [기획] 하늘의 소리터넣 열기구로 최초 발견!Part3. [기획] 우주 소리 메아리 블랙홀의 ... ...
- [기획] 하늘의 소리터널 열기구로 최초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있었고, 로켓이 대류권계면 근처를 통과하며 상승할 때 또 들을 수 있었어요. 마지막으로 1단 로켓이 다시 대류권계면 근처를 지나며 떨어질 때 소리를 들을 수 있었답니다. 대기에도 소리가 400km만큼이나 멀리 이동할 수 있는 터널이 있다는 것을 확인한 거죠 ...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용암에서 살아남을 수 있을까? 용암 파쿠르 게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코드 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채팅명령어 ‘1’를 실행하세요. 기반암(파쿠르 계단)과 용암이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계속해서 생겨요. 잠깐! 파쿠르가 너무 어렵다면? 플레이어에게 블록을 주는 명령블록을 게임 진행코드 아래에 오른쪽과 같이 ... ...
- [그래프 뉴스] 우주에서 ‘소 방귀’가 보인다고?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소들이 뀐 방귀를 저 멀리 우주에서도 포착할 수 있게 됐어요. 소의 방귀 속 ‘메탄가스’를 관측할 수 있는 인공위성 덕분이지요.캐나다 우주 ... 보라색은 0ppb를, 빨간색은 160ppb를 나타내지요. ppb는 농도를 측정하는 단위로, 10억분의 1을 뜻해요.대기 중 오염물질을 표시할 때 주로 쓰여요 ... ...
- [특집] 브릭에 담긴 숫자의 마법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틈이 생기기 때문이에요. 레고가 만드는 브릭은 오차가 0.005mm 이하로, 머리카락 굵기인 0.1mm보다도 작다고 해요. 레고는 하루아침에 탄생하지 않았어요 레고는 원래 나무로 장난감을 만들던 회사였어요. 덴마크의 목수였던 올레 키르크 크리스티안센과 그의 아들 고트프레드 키르크 ... ...
- 수콤달콤 연구소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최소공배수에 대해 알아봐요.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수콤달콤 연구소Part1. [그림으로 보는 수학] ‘공배수’로 여행 준비 끝!Part2. 수콤달콤 기차여행Part3. [수콤달콤 연구원의 비법놑이] 최대공약수와 최소공배수에숨은 규칙은?Part4 [놀이북] 여행을 떠나요!즐거운 마음으로~ ... ...
- [출동! 슈퍼M] 더 부드럽게, 더 멀리~! 바람의 비결은?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공기가 움직이는 속도가 느려지고 바람의 세기가 줄어들지요. 선풍기의 날개가 3개면 1번 회전할 때 바람을 3번으로 나눠서 밀어내고, 날개가 5개면 바람을 5번으로 나눠서 보내요. 바람을 나눠 보낸다는 것은 공기 분자를 그만큼 촘촘하고 잘게 쪼개서 밀어내는 것이기 때문에, 날개가 많을수록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반짝이는 아이디어로 "라하과통 을션미!"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2호
- 선수들도 각자 옷을 벗어들었지만, 딱지가 한발 빨랐습니다. “고딱지 통과!”딱지는 1등으로 골인 지점을 통과했습니다. 그때 우연히 로렌스 선배의 눈빛을 본 딱지는 소름이 돋았습니다. 너무나 무서운 표정으로 딱지를 노려보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 ...
- [과학뉴스] 깃털 옷 입고 안장된 석기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2호
- 마준수오 지역에서 발견한 황토무덤을 조사해 국제학술지 ‘플로스원’에 발표했다고 11월 2일 밝혔다. 연구팀은 2018년 해당 지역을 조사하던 중 무덤 일부를 발견하고 발굴에 돌입했다. 무덤에 서는 3~10세의 것으로 추정되는 치아 몇 개가 발굴됐다. 화살촉 2개를 비롯한, 석영으로 만들어진 물건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