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터리
건전지
축전지
밧데리
논밭
앞다리
웨스턴
뉴스
"
전지
"(으)로 총 1,919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스톱-크로아티아 자다르 上] 바다가 연주하는 오르간과 밤에 만나는 태양의 인사
2015.12.20
Greeting To The Sun)’역시 니콜라 바시츠가 선사하는 또 하나의 설치예술 작품이다. 태양열
전지
판과 발광다이오드(LED)를 조합해서 만들어진 지름 22m의 원형 구조물이다. 태양의 인사는 지금 태양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중! - 고기은 제공 진짜 정체는 해질 무렵부터 서서히 드러난다. 낮 동안 ... ...
‘시장 1등’ 먹거리 ‘기술 1등’으로 지킨다
2015.12.18
차세대
전지
센터장은 “주요 소재에 대한 국산화가 절실하며 동시에 중대형 2차
전지
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개발에 적극적으로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물인터넷과 고화질 콘텐츠가 늘면서 현재보다 전송 속도와 용량이 1000배 더 빠른 초광대역 유무선 네트워크와 5G 통신 기술에 ... ...
日, 첨단 기초연구 산업화 시동…2020년 도쿄올림픽 목표
2015.12.18
정책조사원은 “도요타가 수소연료
전지
자동차를 개발했고, 혼다도 조만간 수소연료
전지
자동차를 출시할 예정”이라며 “도요타는 현재 수소버스를 테스트 중이며 2020년 도쿄 올림픽 개최에 맞춰 수소버스를 운행할 수 있도록 개발을 완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혁신적 구조 물질(SM4I)’ ... ...
물 속에서 햇빛 받아 수소 만드는 2세대 ‘인공 나뭇잎’ 나왔다
2015.12.15
또 보조
전지
로 기존의 실리콘 태양
전지
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
를 사용해 경제성까지 갖췄다. 이 교수는 “인공나뭇잎으로 수소를 생산하는 기술이 실현되려면 수소 전환 효율과 가격 경쟁력이 모두 달성돼야 한다”며 “실용화를 위해 필요한 최소 효율을 10% 정도로 ... ...
g당 200원, 초저가 촉매 나온다
2015.12.14
대량생산이 가능하다는 측면이 가장 큰 장점”이라며 “금속-공기
전지
를 비롯한 연료
전지
분야의 상용화를 가속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ved Science)’ 12월호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 ...
쏘나타 PHEV, 세계 10대 엔진 선정 ‘투싼 수소차 이어 2년 연속 수상’
동아닷컴
l
2015.12.11
연속으로 10대 엔진에 이름을 올린 타우 엔진을 비롯해 2012년 감마 엔진, 2014년 수소연료
전지
시스템까지 합쳐 총 6회를 수상하며 전 세계에 현대차의 우수한 파워트레인 기술력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워즈오토는 “현대차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카 시장에 처음 내놓은 쏘나타 PHEV는 뛰어난 연비와 ... ...
은 나노와이어로 고성능 투명 전극 만드는 기술 개발
2015.12.08
은 나노와이어로 만든 투명전극은 고성능 유기발광다이오드(OLED)는 물론 고효율 유기태양
전지
등에 응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나노분야 학술지 ‘나노레터스’ 11월 9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힘 좋고 오래가는 수소연료
전지
나온다
2015.12.07
저렴하게 만들 수 있다”며 “수소연료
전지
차량의 보급을 확대시키고 연료
전지
기반 사업에도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가 발행하는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4일 자에 실렸다. ... ...
LED, OLED 다음은 ‘PeLED’!
2015.12.04
재료로 주목한 것은 다름아닌 '페로브스카이트'다. 지금까지 페로브스카이트는 태양
전지
소재로 주목을 받았지만 디스플레이로서의 가능성도 높은 소재다. 가격이 OLED 소재의 10분의 1에 불과한데다 색순도가 OLED보다 훨씬 뛰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결정 크기가 크고 박막 안에서 납 원자가 ... ...
KAIST-GIST-DGIST-UNIST ‘업그레이드’, 기업혁신-산학협력 견인차 된다
2015.12.02
다차원탄소재료연구단장) 등 관련 분야 해외 석학을 적극적으로 영입했다. 그 결과 2차
전지
와 그래핀 등 신소재 분야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기관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UNIST는 부산, 경남권 지역 산업 수요에 적합한 바이오메디컬 분야와 정보통신기술(ICT) 융합 분야도 육성해 10대 연구 ... ...
이전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