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터리
건전지
축전지
밧데리
논밭
앞다리
웨스턴
뉴스
"
전지
"(으)로 총 1,91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론에서나 가능하다던 ‘수소 도핑’ 첫 성공
2015.12.01
금속 산화물을 얇게 펴 만든다. 투명하면서 전기 전도도 조절이 쉬워 디스플레이나 태양
전지
용 투명전극 등을 만드는 핵심 소재로 쓰인다. 그러나 금속 산화물을 넓고 크게 만들 때는 전기 전도도가 떨어져 제 성능을 얻기 어려웠다. 또 공기 중 수분이 금속 산화물의 표면에 닿으면서 수소 원자로 ... ...
마구 접고, 마구 구겨도 끄떡없는 태양
전지
2015.12.01
마친 뒤에도 초기 효율 대비 90% 이상을 유지할 정도로 내구성이 뛰어났다. 심지어
전지
를 완전히 구기더라도 기판의 형상 기억 특성 때문에 최초의 형태와 거의 유사한 모습으로 복원됐다. 원래 형태로 복구된 뒤의 효율은 6.1%를 기록했다. 고 연구원은 “유연성이 뛰어나고 효율도 높아 ... ...
좋은
전지
되려면…전기 잘 통하는 ‘촉매’ 써야
2015.11.26
수 있었다”며 “전도성이 높은 촉매를 개발한다면 수소연료
전지
나 차세대 금속공기
전지
의 발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응용화학 분야 권위지 ‘앙게반테 케미(Angewandte Chemie)’ 16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초대칭이론’으로 설계한 新 물질 나올까
2015.11.24
특성을 가진 물질로 설계할 수 있다”며 “이번 연구결과가 레이저나 반도체, 태양
전지
분야에서 고성능 신소재를 개발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자매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9월 16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하이브리드 전용차 안방서 맞대결… AE Vs 프리우스 스펙 비교
동아닷컴
l
2015.11.18
엔진의 효율성을 높여 연비를 이전에 비해 10% 이상 높였다. 외관은 토요타 수소연료
전지
차 ‘미라이’에서 영감을 얻은 디자인이 사용돼 이전의 효율 중심에서 주행성능이 더욱 강조됐다. 전면부는 토요타의 새로운 디자인을 적용하고 중앙 엠블럼을 중심으로 날렵하고 각진 느낌을 살렸다. ... ...
“화성에서 산소 사라진 원인은 태양풍 활동 때문”
2015.11.06
대기와 이온권, 태양풍의 영향 등을 면밀히 조사해 왔다. 메이븐은 거대한 태양
전지
판을 몸통 양쪽에 달고 있어 쫙 펼칠 경우 스쿨버스만큼 길어지고, 무게는 약 2.4t으로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과 비슷하다. NASA 연구진이 메이븐에 달린 이온측정기가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태양 활동이 ... ...
최적의 개미산 연료
전지
개발
2015.11.05
무해하다”며 “셀을 적층시키면 소형 연료
전지
뿐만 아니라 킬로와트(kW)급 중대형 연료
전지
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미국화학회(ACS)의 촉매 분야 권위지 ‘ACS 촉매작용(ACS Catalysis)’ 온라인판 10월 13일 자에 게재됐다. ... ...
다국적 제약회사 머크가 찾아낸 새 항생제 타깃
2015.11.01
리튬에어배터리는 거대한 배터리팩 없이도 자동차를 움직일 수 있다고 알려져 차세대
전지
로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연구현장에서 개발한 배터리는 중간에 작동이 멈추는 등 아직까지 상용화할 만큼 충분한 효율을 내지 못하고 있는 상태다. 최근 영국 케임브리지대와 이스라엘 텔아비브대 ... ...
값비싼 나노 촉매 10분의 1 값에 만든다
2015.10.27
산화그래핀, 티타늄이산화물 등 다양한 물질 개발에 활용할 수 있다”며 “앞으로 연료
전지
같은 전기화학 변환장치의 촉매와 센서, 광촉매 등 여러 분야에 쓰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 9월 18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차세대 태양
전지
재료, 차세대 메모리로 첫 변신
2015.10.27
동작전압과 열 안전성을 갖춘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만들 수 있었다. 최 교수는 “태양
전지
분야에 초점이 맞춰져 있던 유무기 복합 페로브스카이트를 저항변화 메모리 소자를 만드는 데 이용하는 ‘발상의 전환’을 이뤄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며 “소재의 특성을 살려 투명하면서도 유연한 ... ...
이전
159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