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차디 찬 바이칼호수에서 발견된 열수배출구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정말로 마그마의 분출로 인해 생긴 틈인가를 알아내는데 두었다. 그들은 호수
밑
3백m지점까지 카메라와 감지기를 내려보냈고 고온구역 주위에 펼쳐져 있는 진흙의 온도와 모양, 염도 등을 측정했다. 어떤 특정지점이 열수배출구일 가능성이 있다고 여겨지면 곧바로 유인 또는 무인연구용 잠수정을 ... ...
남쪽하늘의 거대한 방패연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아주 재미있을 것이다(그림).이 오리온좌에는 아주 유명한 천체가 있다. 삼태성 바로
밑
에 있는 작은 삼태성(소삼태성)의 가운데 위치한 유명한 '오리온 대성운(M42)'이 바로 그것. 발광성운인 이 별은 눈으로도 그 존재를 확인할 수 있지만 작은 쌍안경을 사용하면 성운상의 모습을 확실하게 볼 수 ... ...
오스트레일리아 특별동물구(區)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연어는 자신이 알에서 깨어났던 그 물의 정확한 냄새를 기억하고 있다. 그 냄새는 물
밑
바닥 진흙에 함유된 광물질과 물 속에 살고 있는 동식물의 혼합으로 우러난 냄새다. 그들은 자신이 태어난 고향의 물이 몇 백만분의 1로 묽어졌다고 하더라도 그 차이를 알아낼 수 있다.이와 같은 기억력이 ... ...
히틀러를 악마로 만들어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Scott Kim)이 유명하다. 그는 전산학계의 대가인 스탠퍼드 대학 크누스(D.E.Knuth)교수
밑
에서 과학적 인쇄(computational typesetting)를 공부했는데, 영어 글자체를 연구해 '글자꼴의 전도'(inversions)라는 책을 썼다. 퓰리처 상을 받은 호프스타터(D. Hofstadter)가 극찬한 바 있는 이 글자꼴은 ...
외래해충에 파괴되는 생태계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뿌리에 붙어서 뿌리를 갉아먹어 벼의 생육을 억제한다. 논쪽이나 산기슭의 잡초, 나무
밑
흙속에서 겨울을 지낸 성충이 이른 봄철 논으로 날아가 벼의 물속 잎짚속에다 알을 넣으면 알에서 깨어난 어린 유충은 바로 뿌리로 내려가는 것이다.물속 뿌리틈새에 박힌 이 해충의 방제를 위해 사용되는 ... ...
한글 문서의 출력방법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된다. 특히 그림이나 도표 같은 것이 두 페이지에 걸쳐 인쇄되는지, 제목이 너무
밑
에 놓이지 않는지, 문단의 끝줄하나가 페이지를 넘어가 배치되지는 않는지 등을 검사할 수 있다. 이때 〈Esc〉키를 제외한 아무 키나 누르면 다음 페이지의 출력 형태를 보여주고, 〈Esc〉키를 누르면 편집 상태로 ... ...
이태규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필생의 연구성과를 전수해오고 있다."일제시대 우리가 공부할 때나 미국 유학시절 우리
밑
의 세대들이 겪은 고생에 비하면 요즘 젊은이들은 행복한 환경을 갖고 있습니다. 그리고 나무랄데 없이 우수한 학생들도 많습니다. 단지 순수한 학문적 열정보다 세속적인 욕망에 한눈파는 것을 볼 때 ... ...
PARTⅠ 소립자·생화학·면역학 단골 수상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남서연합대학을 나왔다. 그러나 그는 당대의 대물리학자인 엔리코 페르미와 유진 와그너
밑
에서 대학원과정을 밟기 위해 1945년말경 갖은 고생을 하면서 뉴욕에 도착하여 페르미가 재직했던 컬럼비아대학을 찾았다.그러나 당시 시카고대학과 로스알라모스연구소에서 원자폭탄 개발이라는 ... ...
원형춤·8자춤·엉덩이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같은 연골어류인 가오리나 홍어 등은 에너지 소모가 큰 꼬리짓을 아예 포기하고 바다
밑
바닥에서 생활한다.2. ① 초식동물은 먹이가 대개 질기므로 특별히 이빨이 좋아야 한다. 일단 자르고 갈아서 물러진 먹이는 삭여야 하는데, 식물의 세포벽을 이루는 섬유소는 매우 질기다. 이빨로 씹는 기계적 ... ...
PARTⅢ 노벨상에 근접한 한국인 과학자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아시아인이지만 그 학문적 계보는 모두 미국 유럽쪽에 속한다. 곧 노벨상을 탄 스승
밑
에서 연구를 하는 것이 노벨상을 탈 수 있는 첩경이다. 따라서 해외에 있는 한국인 과학자들이 국내 학자들보다 상대적으로 노벨상에 근접해 있다"고 지적한다.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물리분야에서 한때 한국인 ... ...
이전
160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