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밑바탕
밑동
내부
근본
바닥
저변
아래쪽
d라이브러리
"
밑
"(으)로 총 1,885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주도 남쪽과 동해 남부지역에 관심 집중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지층들은 석유를 매장하기에 적당한 조건을 갖추지 못하고 있으나, 한반도 주변의 바다
밑
에는 이들보다 석유매장에 유리한 조건을 갖춘 대규모 퇴적분지(퇴적암이 쌓여있는 우묵한 장소)가 발달되어 있다.동해에는 육지 가까이 까지 울릉분지라고 불리는 퇴적분지가 분포되어 있어, 이곳에 신생대 ... ...
폭우가 쏟아지면 잎으로 우산을 만들고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고 한다.이때 바른 대상물의
밑
에는 먹이가 숨겨져 있다. 반면 바르지 않은 대상물의
밑
에는 아무 것도 없다. 이제 실험에 참여한 영장류에게 주어진 과제는 어느 대상물이 바른가를 결정하는 일 뿐이다. (그림 2)는 이 고전적 양자택일식 식별훈련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다. 할로우는 동물들이 ... ...
컴퓨터에 상식을 가르친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가르쳐서 문장의 뜻을 이해하도록 한다. Cyc의 자료를 이용한 자연언어 처리기는 레너트
밑
에 있는 한 그룹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이 처리기는 문장을 분석하여 가능한 모든 뜻을 찾은 다음 이들 뜻의 공통된 의미를 찾아 가장 맞는 뜻을 골라 낸다.Cyc는 읽을 기회가 주어지기도 전에 ... ...
특수문자처리와 모양내기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이제 '-완료-'를 선택하면 된다. 만약 그림자 속성을 없애고
밑
줄 속성으로 바꾸려면
밑
줄 속성을 선택할 때 그림자 속성을 지워서 X기호가 나타나게 해야 한다 ... ...
파리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12개의 거리가 방사선처럼 뻗어나가 찬란했던 '황제시대'를 돌이켜 준다. 개선문
밑
에는 무명병사가 잠들어 있고 매일 저녁 6시 30분이면 조국을 위해 싸우다 간 병사를 기리는 불꽃이 밝혀진다.실용적 가치도 큰 에펠탑파리의 표상은 뭐니뭐니해도 에펠탑이다. 탑의 높이만 3백m로 19세기 말 건축당시 ... ...
단풍과 낙엽으로 군살뺀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지키기 위한 한 생리현상이다. 잎이 떨어지기 직전에 잎안에 있던 여러가지 물질들은
밑
둥으로, 뿌리로 내려가서 저장되거나 조직의 한 부분으로 통합된다.나무는 잎을 떨어뜨림으로써 겨울준비를 시작한 것이다 ... ...
PART1 대덕연구단지 92년 완성 앞둔 과학문화도시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등으로 빠져나가 연구프로젝트가 도중에 중단되기도 한다.연구소가 정부의 일괄 통제
밑
에 들어가 연구주제의 선정에서부터 연구사업의 발표에 이르기까지 상급자의 폐쇄적이고 자의적인 판단이 우세해 민주적으로 운영되지 못하는 문제점도 더러 노출되고 있다.아울러 충남대와 연구단지 ... ...
경기용차의 구조와 성능「극한」을 돌파하는 「첨단」의 노력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중심을 낮게 하려는 노력의 결과다.차가 바람을 강하게 맞으면 위로 뜨게 마련이니까
밑
으로 누르는 힘(down force)을 얻기 위해 날개(wing)를 단다. F-1카는 앞뒤에 날개가 달려 있다.■타이어/마찰력을 높이려는 노력타이어는 자동차의 신발이다. 시판타이어는 경기용과는 구조상에 있어서 많은 차이가 ... ...
수학공부 잘하는 비결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배울까 하는 호기심에 사로잡혔다. 특히 이름만으로 어렴풋이 알고 있던, 무리수를
밑
으로 하는 자연로그라는 것을 왜 생각하게 되었는지 알고 싶어 했다. 상용로그보다 자연로그가 먼저 만들 어졌다는 사실은 나에게 큰 놀라움이었다. 이런 궁금증과 더불어 공부한 수학 II-2 교과서를 통해 미적분을 ... ...
입자물리학계의 석학 강경식 박사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것입니다."유학 1세대강박사는 유학 1세대다. 그를 굳이 1세대라 부르는 이유는 강박사
밑
에서 공부한 2세대들이 현재 한국의 물리학계에 기둥이 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 표준연구소장 이충희 박사, 서울대 김진의 교수, 고려대 박만장 교수, 한국과학기술원의 고인규 교수, 연세대 장수경 교수 등은 ... ...
이전
161
162
163
164
165
166
167
168
16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