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新 DNA 과학수사Prologue. 당신, 도대체 누구야?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Epilogue. 그리고… 아무도 ... ...
- 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新 DNA 과학수사Prologue. 당신, 도대체 누구야?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Part 2. 미생물은 모든 것을 알고 있다Part 3. DNA로 몽타주를 그릴 수 있을까Bridge. DNA 메틸화로 기자의 신상을 털다?!Part 4. 시체 없이도 살인을 증명할 수 있다Epilogue. 그리고… 아무도 ... ...
- 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전수해주고 있는 셈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바퀴벌레, 기생충 - 동거생물의 이유있는 동거Part 1. 우리 집 불청객, 바퀴벌레Part 2. 몸 속 생태계의 주인 - 기생충의 ... ...
- Part 4. 아이디어가 반짝! 착한 디자인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책상 겸 가방이 돼 주는 폐지가방 대신 책 보자기를 짊어진 아이들, 책상이 없어 바닥에 책을 놓고 허리를 굽힌 채 공부하는 아이들…. 인도에서는 아직도 이런 풍경이 흔하다고 해요. 인도의 사회적 기업인 ‘아람브’는 이런 열악한 교실 환경을 조금이나마 개선하기 위해 어린이들에게 특별한 선 ... ...
- [과학뉴스] 장수 정자가 건강한 자손을 만든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빠르게 움직였고, 수정에 성공하는 정자의 수 역시 20% 가량 더 많았다. 이스트앵글리아대 생물학과 시몬 임러교수는 “이번 연구는 시험관아기시술에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doi:10.1073/pnas.170560111 ... ...
- Part 1. 한국인의 조상을 찾다수학동아 l2017년 08호
- 민족 간 유사도를 알아내기 위해 주성분분석(PCA)이라는 통계학적 방법을 이용했습니다. 생물학자인 까발리 스포르자와 로널드 피셔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수학과 교수가 함께 개발한 기법이지요. 이것으로 세계 여러 민족이 섞여있는 데이터를 가지고 유전자 거리를 통계적으로 분류합니다. 그럼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3화] 땅 속에 있는 보물을 발굴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어떻게 살았는지 알 수 있어요. 또 이를 토대로 지구는 어떻게 변화했는지 과거의 생물이 지금까지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도 알 수 있지요. 그래서 많은 과학자들은 땅 속에 묻혀 있는 화석을 발굴해서 연구하고 있답니다.우리가 보석으로 쓰는 예쁜 광물도 땅속에서 찾을 수 있어요. 광물은 보통 ... ...
- 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나는야 16차원에서 날아온 섭섭박사! 과학 연구실이라면 가 볼 만큼 가보고, 웬만한 실험이나 메이커도 다 해 봤지! 그런데 뭐지? 뭔가 부족한 이 기분?안 되겠어! 과학의 달을 맞아 아주 특별한 과학을 찾아봐야겠어.▼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세상을 바꾸는 착한 과학이 뜬다!Part 1. 천사의 ... ...
- [과학뉴스] 패혈증 잡는 나노입자 개발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목숨을 잃을 수도 있다.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장(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수)과 이승훈 서울대 병원 신경과 교수 공동연구팀은 세리아 나노입자와 지르코늄 이온을 결합시켜 ‘세리아-지르코니아’ 나노입자를 합성했다.연구팀은 이미 2012년, 세리아 나노입자가 활성산소를 ... ...
- [Issue] 스트라디바리우스 280년만의 굴욕 명품 바이올린은 없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나누기 어렵다는 결론이 나왔다(Path through, The Strad, Sep 2005).미국 텍사스 A&M대 생화학및생물물리학과 조셉 내지배리 교수팀은 스트라디바리우스와 과르네리, 현대 바이올린의 내부를 긁어낸 톱밥을 관찰해 비교했다. 그 결과 두 명품 바이올린은 일반 바이올린에 비해 구성 원소가 다양하다는 사실이 ... ...
이전16116216316416516616716816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