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미세 플라스틱 사람에게 돌아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다시 되돌아오게 되지요. 미세 플라스틱이 먹이사슬에 따라 상위 포식자로 쌓이는 ‘생물농축확대(biomagnification)’가 일어나거든요.예를 들어 볼게요. 아주 작은 플랑크톤이 미세 플라스틱을 먹이로 착각하고 먹으면, 몸속에는 작은 양의 미세 플라스틱이 들어 있게 돼요. 다시 작은 물고기들이 ... ...
- [현장취재] 지사탐 봄 현장교육 꿀벌이 윙윙, 각시붕어가 펄떡!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현장교육은 6월까지 계속 진행될 예정이에요. 수원청개구리, 귀화식물, 제비 등 다양한 생물이 탐사대원들을 기다리고 있답니다. 앞으로 이어질 현장교육도 기대해 주세요!※ 현장교육과 개별 탐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어린이과학동아 홈페이지(kids.dongascience.com)와 어린이과학동아 앱에서 확인할 ... ...
- [과학뉴스] 제주도 바닷가 신종미생물에서 항생제 물질 발견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제약시장에서 고가로 거래 되고 있다”며 “국내에서 발견한 신종 해양미생물에서 가치가 높은 항생제 물질을 찾아냈다는 데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doi:10.1099/ijsem.0.00212 ... ...
- Part 2. “털! 이번 生엔 널 없애기로 했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구조의 일부라고 할 수 있다. 피부 표면을 뚫고 나와 우리가 흔히 털이라 부르는 부위의 생물학적 명칭은 ‘모간(毛幹)’이다. 모간은 상피세포에 발달한 모낭에서 만들어진다. 모낭은 태아 때 발달이 덜 된 망울 형태로 존재한다. 태어날 때 이 망울은 머리에 약 10만 개, 몸 전체에 300만~500만 개 정도 ... ...
- [Interview] ‘빅 히스토리’ 창시자 데이비드 크리스천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이 행성에서는 몹시 중요한 존재다. 46억 년에 달하는 역사에서 지구 전체를 바꾼 최초의 생물이다. 이런 관점을 통해 우리 종, 바로 인류가 하는 이상한 일들을 객관적으로 바라볼 수 있다. 그는 “우리는 이야기의 아주 끝에 등장하지만, 지구를 바꿀 정도의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으므로 이제 이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펜실베이니아에서 태어났어요. 그는 ‘어류 및 야생생물청’에서 일하며 틈틈이 해양 생물학에 대한 책을 썼지요.특히 1962년 출간한 은 그 해에 60만 부가 팔리며 베스트셀러가 됐어요. 책의 제목은 ‘살충제의 독성으로 새가 사라져 조용한 봄’이라는 뜻으로, 무분별한 살충제 사용을 ... ...
- Part 1. 미세 플라스틱 바다를 뒤덮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99%의 플라스틱 쓰레기를 찾지 못했다”며, “이중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들이 바다 생물의 먹이가 됐을 것으로 의심된다”고 말했어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작을수록 더 위험하다?! 미세 플라스틱의 습격Part 1. 미세 플라스틱 바다를 뒤덮다!Part 2. 미세 플라스틱 옷에서 만들어진다?Part ... ...
- [식물 속 동물 찾기] 매의 발톱을 가진 매발톱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먹이를 노리는 매서운 눈빛과 뾰족한 발톱. ‘하늘의 제왕’이라 불리는 매의 가장 큰 특징이에요. 그런데 5~7월, 땅에도 뾰족한 매발톱이 나타난다는 사실, 알고 있나요?5월쯤 땅에서는 봄을 대표하는 꽃인 매발톱꽃이 피기 시작해요. 가지 끝에서 피기 시작한 꽃은 자랄수록 아래쪽을 향해 꽃잎을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년 10호
- 분화된 세포를 유도만능줄기세포로 만드는 연구들도 발표됐습니다. 발달생물학과 재생생물학 역사에 큰 획을 그은 야마나카 교수는 그 공로를 인정받아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 했습니다. 유도만능줄기세포, 의과학에서 핫한 이유? 앞서 유도만능줄기세포의 장점이 생명윤리 문제로부터 ... ...
- [Origin] 국제이론물리센터과학동아 l2017년 10호
- 응집물질 및 통계물리학, 지구시스템물리학 등으로 확대되는 추세입니다. 2015년에는 생물물리학 분야도 생겼습니다. 연구소 내에는 고성능컴퓨팅(HPC) 장비 같은 전산장비 시설도 갖추고 있습니다. ICTP는 이론물리학 분야 연구자들의 국제 교류 허브로 통하는데요. 연간 방문 연구자 수만 4000명에 ... ...
이전1571581591601611621631641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