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학
생명체
동물
생태학
피창조물
만물
바이오
d라이브러리
"
생물
"(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2. [변신 2단계] 더 작게! 더 간편하게!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작은 수박이 씨가 큰 수박에 비해 우성 ●형질을 갖는 특성을 이용하는 거예요.●형질 :
생물
체가 가지는 모양이나 성질을 일컫는 말.수박은 같은 형질을 결정하는 유전정보를 늘 한 쌍씩 가지는데, 이때 한 쌍에 속한 두 개의 유전정보가 서로 다를 수도 있어요. 그 중 수박의 실제 모습으로 나타나는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이번에는 우리가 주로 어디에서 무엇을 사냥하는지가 궁금했나 봐. 우리는 다양한
생물
들을 촬영해줬어. 크릴은 보통 먼 바다와 해저 양쪽에서 모두 살지만 멍게와 친척뻘인 살프는 먼 바다에 많이 살고 있어. 그런데 바다에 사냥감이 많다고 해서 아무거나 먹지는 않아. 우리는 살프 보다는 ... ...
[Interview] ‘융합형 창의’ 발휘되도록 학부생 지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스타트업의 탄생으로 일자리도 만들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이사장은 서울대 화학
생물
공학부 교수로 재직하면서 평소 과학기술 대중화에 관심이 많았다. 특히 문화 콘텐츠의 영향력을 절감해왔다고. 그는 “영화 ‘건축학개론’이 공전의 히트를 치자 이듬해 건축공학과 커트라인이 매우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결정짓는 이 관계를 ‘반응 확산 모델(reaction diffusion model)’이라고 부릅니다. 이 모델은
생물
학자가 아닌, 영국의 수학자이자 암호해독학자였던 앨런 튜링이 처음 제안했습니다. 영화 ‘이미테이션 게임’에서 베네딕트 컴버배치가 열연했던 인물이죠. 정리하면, 시계방향으로 도는 섬모에 의해 ... ...
[Career] 슈퍼컴퓨터로 단백질 연구하는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어떻게 전파되는지 양자역학적으로 계산했다. 2년 이상 연구에 매달린 김 연구원은 “
생물
학적인 현상을 물리학적인 문제로 정의하는 게 가장 어려웠다”고 말했다. 문제를 제대로 정의해야 올바른 답을 얻을 수 있는 만큼 이 과정이 핵심이다. 김 연구원은 “동일한 신경세포에서 신호가 발생해도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수출국이 될 수 있었던 것도 사암이 많은 지형 덕분이라고 해요. 석유는 땅속에 묻힌
생물
의 사체가 높은 열과 압력을 받아 만들어져요. 이후 지층 사이를 흐르며 이동하다가 빈 공간인 ‘저류암’에 모이지요. 따라서 저류암은 석유가 스미기 쉬운 사암과 석유가 빠져나가지 못할 만큼 치밀한 ... ...
[식물 속 동물 찾기] 토끼가 좋아하는 먹이 토끼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봄에서 여름으로 넘어가는 계절이면 공원에서 하얗고 동그란 꽃들이 피어나기 시작해요. 바로 토끼풀의 꽃이지요. ‘클로버’라고도 불리는 이 식물은 토끼가 좋아하는 먹이 ... 특별한 유성생식 과정 없이도 똑같은
생물
체를 만들어낼 수 있는
생물
을 ‘모듈
생물
체’라고 부른답니다 ... ...
[과학뉴스] 플라스틱이 물벼룩 생존 위협한다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분해된 미세 플라스틱이 수중
생물
인 물벼룩의 생존을 위협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안윤주 건국대 보건환경과학과 교수팀은 미세 플라스틱이 물벼룩의 알주머니에 침투해 생식과 발달을 저해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9월 21일자에 발표했다. 미세 플라스틱은 ... ...
Part 1. 뇌는 어떻게 얼굴을 인식하나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전인데, 이들은 어떻게 구별하는 걸까. 올해 7월 도리스 차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
생물
학및생명공학부 교수팀은 하나의 세포가 하나의 얼굴을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얼굴 인식 세포 200여 개가 얼굴이나 표정에 따라 활성화되는 패턴이 다르고 이를 통해 얼굴을 인식한다는 열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 ...
[Origin] 그 많던 개미는 다 어디로 갔을까
과학동아
l
2017년 12호
펴낸 동민수 씨(강원대 응용
생물
학과 2학년)와 개미를 찾아 나섰다. 그는 중학생 때부터
생물
학연구정보센터(BRIC)의 곤충 종 동정위원으로 활동하면서 개미를 알리고자 노력해 온 ‘개미 마니아’다. 겨울 개미 찾기 TIP 1: 사람 발길 적은 곳으로 떠나라스산한 바람이 불던 11월 10일 금요일 오전 ... ...
이전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