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물"(으)로 총 6,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 Part 6. 사이보그의 캐논포 바이오닉 팔로 해결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궁극적인 목표도 역시 머리 밖에서 뇌로 직접 지식과 정보를 전달하는 것이다. 생물학적인 뇌 신경망과 반도체 회로망을 연결하는 것은 간단한 일은 아니다. 우리 뇌는 신경세포의 전기적 활동에 의해 작동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복잡한 뇌의 활동을 전기적인 현상만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 ...
-
- Part 2. [화학상] 현미경의 ‘혁명’을 이끌다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함께. 이병길고려대에서 구조생물학을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영국 MRC 분자생물학연구소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일하며 세포분열과 관련된 생체분자의 구조를 연구하고 있다.blee@mrc-lmb.cam.ac.uk ‘과학동아’가 1년 먼저 알아본 리처드 헨더슨 박사 리처드 헨더슨 박사는 1996년부터 2 ... ...
-
- [Origin] 이기적 유전자는 왜 중요한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대중서일 뿐이라는 인식은 윌슨 뿐만 아니라 많은 이들에서 엿볼 수 있다. 고등학교 생물교사이기도 한 조진호 작가는 ‘판타스틱 과학 책장’이라는 저서에서 “‘이기적 유전자’의 주된 내용은 도킨스가 창조했다기 보다는 당시 신(新)다윈주의 학자들의 이론에 바탕을 두고 있는데 (중략) ... ...
-
- Part 3. 소라게, 인공집은 과연 필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현황이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뤄지지 않고 있지요.국립해양생물자원관 한동욱 박사는 “앞으로 우리나라 소라게들에게도 인공집이 필요한 날이 곧 올 수 있다”며, “해양 산성화나 해양 쓰레기가 미치는 영향을 더 면밀히 연구해야 한다”고 강조했어요. ▼관련기사를 ... ...
-
- [과학뉴스] 전세계 꿀 75%에서 살충제 성분 검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10월 6일자에 발표했다. 에드와르드 미첼 스위스 노이샤텔대 생물학연구소 교수팀은 전 세계에서 수집한 198종의 꿀 샘플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계열의 살충제 성분이 남아 있는 지 조사했다. 네오니코티노이드는 니코틴계의 신경자극성 살충제로 다섯 종류가 가장 널리 ... ...
-
- [Origin] 미라가 알려주는 조선 양반 사망 사건의 전말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살아 있을 때 건강 상태와 사망 원인 등을 추정할 수 있다. 신동훈 서울대 의대 생물인류학및고병리연구실 교수는 2003년부터 미라를 의학적으로 연구하고 있다. 묘에서 갓 발굴한 미라를 컴퓨터단층촬영(CT)하면 내부 장기까지 확인할 수 있다. 신 교수는 “미라의 장기는 수분이 하나도 없이 바짝 ...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진화생물학자 존 메이너드 스미스와 미국의 이론 생물학자 조지 프라이스는 게임이론을 생물학에 적용해 ‘진화 게임이론’을 정립했습니다. 1973년 두 학자는 게임이론과 수학식을 이용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으로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을 제시했습니다. 진화 게임이론은 고전적인 ... ...
-
- [과학뉴스] 스스로 빛을 내는 버섯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옥시루시페린이 초록색의 빛을 내지요.연구팀은 “버섯의 루시퍼레이스는 다른 생물과 달리 종류에 상관없이 다양한 루시페린과 반응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라며, “이를 이용해 루시페린의 양을 조절하면 초록뿐만 아니라 노랑, 빨강, 파랑 등 다양한 색깔의 빛을 내는 버섯을 만들 수 있다”고 ... ...
-
- Part 1. 플라스틱 소라게가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치약 뚜껑, 병 뚜껑, 세제 뚜껑은 물론 깨진 유리컵과 플라스틱 숟가락, 전구 소켓까지…! 우리 소라게들이 집으로 삼고 있는 다양한 해양 쓰레기 목록이야. 우린 몸을 보호하기 위해 어디든 들어가 살지. 집게 뒤에 숨겨진 연약한 배를 보호하라!소라게를 보면 집 밖으로 빼꼼 내민 두 개의 눈과 단 ... ...
-
- Part 3. 둔갑과 은신을 위한 변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보유하도록 진화하는 ‘수렴진화’이기도 합니다. 계통적으로 관련이 없는 둘 이상의 생물이 적응과 진화의 결과로 비슷한 형태를 보이는 현상을 수렴진화라고 합니다. 박쥐와 새처럼 계통적으로 관련 없는 두 종이진화 결과 비슷한 날개를 갖는 게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또 말벌과 산호뱀처럼 ... ...
이전155156157158159160161162163 다음